청랑 속담 풀이25 김수현, '망양보뢰'를 깨닫게 하는 고(故) 김새론과 부적절 관계 논란 사자성어의 의미와 유래 ‘양(羊)을 잃고 우리를 고친다.’는 뜻으로, 이미 어떤 일을 실패한 뒤에 뉘우쳐도 아무 소용이 없음을 이르는 말입니다. 이 사자 성어는 중국 전국시대(戰國時代) 초나라(楚)에 장신(莊辛)이라는 대신이 양왕(襄王)에게 간신(奸臣)을 멀리하고, 사치스러운 생활을 그만두고 국사에 전념할 것을 직언하였습니다. 양왕(襄王)은 충신의 말을 멀리하였고, 진나라(晉)의 침공으로 망명하는 처지에 놓였습니다. 그제야 잘못을 깨달은 양왕은 장신을 불러 대책을 물었습니다. 「토끼를 보고 나서 사냥개를 불러도 늦지 않고, 양(羊)이 달아난 뒤에 우리를 고쳐도 늦지 않다.(見兎而顧犬 未爲晚也 亡羊而補牢 未爲遲也)라고 장신이 대답했습니다. 이후 망양보뢰(亡羊補牢)는 「일을 그르친 뒤에는 뉘우쳐도 이미 소.. 2025. 3. 15. 백종원 빽햄 논란, 서민을 위한 상술의 이중성을 나타내는 속담 속담의 유래와 의미믿는 도끼에 발등 찍힌다는 속담은 믿었던 사람에게서 오히려 배신이나 피해를 당한다’는 뜻입니다. 속담의 유래는 정확하지 않으나 구전되는 내용에 따르면 과거 나무꾼이 도끼를 사용해 나무를 베다가, 단단히 고정된 줄 알았던 도끼날이 느슨해져 빠지거나 튀어나와 발등을 찍어버렸다는 일화가 전해진다는 해석입니다.속담의 사례더 본 코리아 백 대표는 ‘빽햄 가격 논란’ ‘브라질산 닭고기 밀키트 논란’ ‘제주감귤 함량 논란’ ‘불법 농지 사용 논란’ ‘LPG 가스통 안전 논란’ 등으로 비판 여론이 끊이지 않았습니다. 그는 유일한 소통 창구이던 개인 유튜브 채널에도 모습을 드러내지 않고 있습니다. 일부 커뮤니티에서는 ‘내로남불’ 백종원을 더 이상 보고 싶지 않다는 댓글이 심상치 않습니다. 서민을 생각하.. 2025. 3. 10. 미국 행정부 개혁, 과감한 리더십으로 일론 머스크가 알려주는 속담은? 속담의 유래이 속담은 전쟁이나 무예가 발달했던 시기의 경험적 교훈이 축적되어 구전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옛날 전쟁터에서 명장이 지휘하는 군대는 대개 훈련이 잘 되어 있고 사기가 높아, 약해 보였던 병사들조차도 전투력과 자신감을 키우게 된 사례가 많았습니다.속담의 의미“힘센 장수 밑에 약졸 없다”라는 유능하고 강인한 리더(장수) 아래에는 약하고 능력 없는 병사(졸개)가 존재하기 어렵다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즉, 리더가 가진 우수한 능력과 엄격한 통솔력이 부하들을 강하게 만들거나, 자연스럽게 강한 인재들이 그 리더를 따르게 된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로마의 명장인 율리어스 카이사르의 직속부대이기도 한 10군단에 들어가면 누구나 시저가 된다는 생각으로 용맹하게 싸웠다고 합니다. 시저를 믿기에 부하들도 용감하게.. 2025. 3. 6. 불난 빌라에서 주민을 구한 소방관, 그런데 배상까지 해야 한다고? 속담의 유래물에 빠진 사람을 힘들게 건져 올려 주었더니, 감사하기는커녕 오히려 자기 짐까지 찾아 달라고 한다는 데서 유래한 말입니다. 도움을 받고도 고마워하지 않고 더 많은 것을 요구하는 태도를 비판하는 의미로 쓰입니다. 예나 지금이나 사람들의 지나친 욕심과 배은망덕한 행동을 경계하는 교훈으로 전해 내려오고 있습니다.속담의 의미어려운 상황에서 도움을 받아 위기를 넘겼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더 큰 요구를 하는 경우를 빗대어 표현한 말입니다. 누군가의 도움을 받았을 때는 감사한 마음을 가져야 하지만, 되레 무리한 요구를 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인간관계에서 서로 배려하고, 받은 만큼 보답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일깨워 줍니다.속담의 사례얼마 전 광주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 소방관들이 신속하게 불을 진.. 2025. 2. 24. 인천소방본부의 ‘119원의 기적’ 캠페인이 알려주는 속담 속담의 유래'티끌 모아 태산'이라는 속담은 작은 노력이나 자원이 쌓이면 결국 큰 성과를 이룰 수 있음을 강조하는 말입니다. ‘티끌’은 아주 작은 먼지나 가루를 의미하고, ‘태산’은 중국의 유명한 산인 태산(泰山)에서 유래된 말로, 거대한 산을 상징합니다. 즉, 미세한 티끌이라도 계속해서 모으면 결국 거대한 산처럼 커진다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이 속담은 동양뿐만 아니라 서양에서도 비슷한 개념으로 전해집니다. 예를 들어, "Many a little makes a mickle(많은 작은 것이 모이면 커진다)"라는 영어 속담이 있으며, 이는 '작은 노력이라도 꾸준히 하면 큰 성과를 거둘 수 있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속담의 의미이 속담은 작은 노력이 모이면 결국 큰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음을 강조하는 말입.. 2025. 2. 17. 갑작스럽게 별세한 송대관과 태진아의 관계를 나타내는 속담 속담의 유래옛날 농경사회에서는 마을 공동체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사람들이 농사를 짓고 생활하는 과정에서 가까이 사는 이웃들과 서로 도우며 살아가는 것이 필수적이었기 때문입니다. 반면, 혈연관계가 있어도 멀리 떨어져 살면 직접적인 도움을 받기 어려운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러한 생활 환경에서 유래한 속담이 바로 "가까운 이웃이 먼 사촌보다 낫다"입니다.속담의 의미이 속담은 "혈연관계보다 실제로 가까이 있는 사람이 더 도움이 된다"라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아무리 친척이라도 멀리 떨어져 있으면 급한 일이 생겼을 때 쉽게 도움을 받을 수 없습니다. 반면, 가까운 이웃은 곧바로 도울 수 있기 때문에 실제 생활에서는 더욱 중요한 존재가 될 수 있습니다. 이 속담은 단순히 거리의 개념을 넘어, 실제로 도움.. 2025. 2. 10.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