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광복절3

광복절이 있는 의미는 독립 정신을 잇는 게 아닐까? 청랑의 어휘력 높이기 : 오늘은 '있다'와 '잇다'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광복절, 우리 민족에게 있어 가장 뜻깊은 날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KBS는 올해 광복절 새벽, 일본 국가와 전통 복식이 등장하는 오페라 '나비부인'을 방영하여 많은 국민의 공분을 샀습니다. 더 나아가 태극기 그래픽을 뒤집힌 상태로 송출하는 실수까지 저질렀습니다. 이러한 실수들은 단순한 방송 사고로 치부할 수 없는, 광복절의 의미를 잊어버린 듯한 태도를 보여주었습니다.'있다'의 의미와 사용법먼저 '있다'는 무엇인가가 존재하거나 특정한 장소에 위치하고 있을 때 사용하는 말입니다.예를 들어볼까요?"나는 집에 있다.""책상이 교실 안에 있다."이처럼 '있다'는 '어디에 존재하는가?'를 묻는 질문에 답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잇다.. 2024. 8. 18.
말이 아닌 행동을 믿어라 말로 약속하고 결심하는 것은 쉽습니다.그러나 실제로 중요한 것은 그 말이 아닌 행동입니다.행동만이 삶을 변화시키고, 꿈을 현실로 만들어줍니다.민족의 독립 영웅 안중근 의사는 1909년, 하얼빈에서 일제의 주요 인물인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했습니다.당시 많은 독립운동가들이 일본의 압제에 저항하는 방법을 고민했지만,안중근 의사는 직접적인 행동을 통해 자신의 의지를 나타냈습니다.그는 이토 히로부미가 동아시아 평화의 적이라고 믿었고,그를 처단함으로써 조선의 독립을 위한 결연한 의지를 세계에 알렸습니다.안중근 의사의 결단과 희생은 한국 독립운동사에 깊이 새겨져 있으며,그는 말이 아닌 행동으로 자신의 애국심을 증명한 인물로 기억되고 있습니다.우리도 일상에서 말보다는 행동을 우선시해야 합니다.계획만 세우고 실행에 옮기.. 2024. 8. 17.
광복절을 맞이한 행사가 왜 둘로 쪼개졌을까? 신임 독립기념관장 임명이 쪼개버린 광복절 행사광복절은 한국이 일본에서 1945년 8월 15일 해방된 것을 기념하는 날입니다. 독립 이래 광복절 행사가 둘로 쪼개진 일은 이번이 첫 사례입니다. 발단은 이종찬 광복회 회장이 김형석 신임 독립 기념관장 임명에 반대하면서부터입니다. 김형석 기념관장이 뉴라이트 사관을 가지고 있다는 게 문제였습니다. 뉴라이트는 신보수주의를 의미합니다. 뉴라이트 사관은 새로운 역사적 해석을 내놓기도 해 역사학계에서는 논란이 되곤 했습니다. 그중 하나가 한국의 건국절을 1945년이 아닌 1948년 남한 정부가 수립된 시기로 해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게다가 남한 단독정부를 세우는 데 큰 공이 있는 이승만 대통령이 국부 즉 건국의 아버지라 평가받아야 한다고 했습니다. 수많은 사학자가 고.. 2024. 8.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