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독서습관2

한국 OECD 국제성인역량조사 평균 미달,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한국 성인 언어·수리·문제해결 능력이 모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이하16∼65세의 언어능력과 수리력, 문제해결력을 국가 간 비교하는 조사는 10년 주기로 시행됩니다. 2회 차인 이번 조사에는 미국·일본·독일 등 31개국에서 16만 명이 참여했으며, 한국에선 6,198명을 대상으로 조사가 진행했습니다. 언어능력은 글을 이해·평가·성찰하는 능력, 수리력은 여러 방식으로 표현된 수학적 정보에 접근해 활용·추론하는 능력, 문제해결력은 다양한 정보 환경·상황에서 해결력을 적용하는 능력입니다. 한국 성인 중 역량이 낮은 ‘1수준 이하’ 비율은 언어 30.8%, 수리 27.6%, 문제해결력 37.3%로, OECD 평균(언어 26%, 수리 24.9%, 문제해결력 29.2%)보다 모두 높았다. 반면 상위 수준.. 2024. 12. 25.
문해력 강한 아이의 비밀(최지현), 내 아이 문해력을 길러주려면? '문해력 강한 아이의 비밀'을 읽고 정리한 내용을 소개합니다. 독서가 문해력의 기초다.책을 읽고 싶게 만든 목차5장 공부 습관을 만드는 습관 플래너책 소개문해력 교육의 핵심은 독서 교육입니다.독서 교육의 진짜 목적, 문해력 키우기독서 교육은 단순히 읽고 쓰게 하는 것이 아닙니다. 책을 좀 더 잘 읽어서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입니다. 또 내용을 바탕으로 자기 생각을 잘 정리해서 잘 표현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입니다. 책을 읽으면 공부를 잘할 수 있는 기본기를 갖추게 됩니다. 내용을 파악해서 이해하는 능력, 즉 문해력이 길러집니다. 이 문해력은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발달시킬 수 있는 능력이며, 특히 가정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기를 수 있습니다. 학교에서는 각각의 수준에 맞출 수 없지만 가정에서는 아이.. 2024. 12.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