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듣기2

도파민 인류를 위한 문해력 수업(이승화), 문해력의 시작은? '도파민 인류를 위한 문해력 수업'을 읽고 정리한 내용을 소개합니다.문해력은 듣기에서 시작된다.책을 읽고 싶게 만든 목차4장. 본격 읽기 돌입, 문맥 제대로 파악하기책 소개의사소통이 어긋나는 순간은 대부분 듣기부터 시작된다. 듣기가 문해력의 시작이다.듣기는 훈련이다의사소통을 이루는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중 가장 먼저 시작되는 과정은 듣기입니다. 우리는 말도 못 하고, 읽지도 못하고, 쓰지도 못할 때부터 우리는 이런저런 소리를 듣고 자랍니다. 그래서 우리는 듣기에 너무 익숙합니다. 그래서 평소에 큰 문제를 못 느끼지 못하지만, 사회생활이 시작되면 누군가와 중요한 소통을 하기 시작하면서 듣기에 대한 중요성을 깨닫게 됩니다. 듣기 능력은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고 관계를 형성하고 업무에 적응하는 데 큰 도.. 2025. 1. 6.
사람들은 왜 내 말을 안 들을까?(도하타 가이토), 실전에서 쓸 수 있는 듣기와 말하기 기술은? '사람들은 왜 내 말을 안 들을까?'를 읽고 정리한 내용을 소개합니다. 듣기와 심리 치료의 시작은 유대 관계다.이 책을 선택한 이유책을 통해 심리학을 공부하면 ‘듣기’에 기술이 굉장히 중요하다는 것을 느끼고 ‘듣기’의 능력을 키우고 싶어 이 책을 선택하게 되었습니다.책 소개누군가가 내 이야기를 들어주고 있기 때문에 나도 누군가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습니다왜 들을 수 없게 되었는가‘듣기’가 문제가 되는 건, 전하고 싶은 말이 있는데 상대가 들어주지 않을 때입니다. 평소의 ‘듣기’는 장벽이 낮습니다. 숨 쉬는 것과 비슷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내 일만으로도 벅차 여유가 없어지면 ‘듣기’에 문제가 발생합니다. 그럴 때 “내 말을 전혀 들어주지 않아”라면서 관계가 뒤틀리기 시작합니다. 결핍이 생기는 겁니다. 여유.. 2024. 11.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