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인도2

현대판 신분제는 어떤 모습일까? 미성년자 사장 월급 평균 1,800만 원 넘어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에 따르면, 2023년 6월 기준 18세 이하 미성년자 사업장 대표자는 총 390명이었다. 2018년(305명)과 비교하면 85명 늘어났다. 업종별로는 부동산업이 88% 이상을 이루면서 부가 대물림 되고 있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미성년자 사장 중에는 연간 3억에 가까운 수익을 내는 업주가 있었다. 어릴 때부터 부모덕에 부지런히 일하지 않아도 평생의 불로소득을 가져가는 셈이다. 자본주의 사회도 부가 대물림 되면서 새로운 신분사회가 만들어지고 있는 게 아니냐는 논란은 피하기 어려워졌다. 과거 신분제 사회를 통한 부의 대물림을 알아보자. 신분의 한계가 정해져 있던 신라의 골품제골품제도(骨品制度)는 신라시대 혈통의 높고 낮음에 따라서.. 2023. 10. 16.
문화권 금기 음식에 대한 색다른 해석 나라마다 다른 음식 문화 가지고 있어'장사천재 백사장'이란 프로그램은 타국에서 음식을 만들어서 파는 좌충우돌 과정을 보여주는 예능 프로그램이다. 더 본 코리아 대표 백종원은 모로코라는 생소한 나라와 자금 300만 원으로 장사를 시작해야 한다는 점 때문에 시청자의 주목을 받았다. 출연진은 이슬람 문화를 존중하여 할랄 인증받은 재료로 만든 제품을 팔았지만, 야시장 측의 제재로 장사를 시작한 지 1시간 만에 영업을 종료할 수밖에 없었다. 이처럼 나라마다 음식을 대하는 문화가 다르다. 이슬람교는 돼지고기는 먹을 수 없고 힌두교는 소고기를 먹을 수 없다. 종교적 신념에 따른 부분이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경제적인 측면에서 금기시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처럼 두 종교에서 금지하는 음식의 생산량과 상관관계를 찾아보자. .. 2023. 5.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