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정조3

사랑에 진심이던 조선시대 직진남은 누구? 공개 청혼한 정치인전남 한 시의회 의원이 공식 석상인 본회의장에서 시정질문을 마친 뒤 같은 시청에 근무하는 여성 공무원에게 공개 청혼을 했다. 해당 여성 공무원은 본회의 상황을 내부 TV로 시청하다 자신이 이름이 들리자 깜짝 놀랐고, 이후 시의원이 꽃다발을 들고 나타나 프러포즈하자 승낙했다. 사랑하는 여자에게 결혼하기 위해 공개석상에서 멋지게 사랑 고백을 한 조선왕도 있었다. 사랑에 직진이었던 조선 왕들을 알아보자.사랑에 진심인 태조 이성계태조 이성계(太祖 李成桂)는 조선을 개국한 왕이다. 그는 고려 말 원나라, 여진족, 왜적의 침략을 격퇴하며 젊은 나이에 백성의 지지를 받고 일약 스타덤에 올랐다. 전장을 호령하는 영웅의 모습과 달리 이성계는 사랑에 진심이었다. 그는 살아생전 6명의 부인을 두었으나 첫 .. 2024. 3. 15.
영화 '파묘', 조선 왕실에서도 벌어지다 파묘를 소재로 흥행 중인 영화'파묘(破墓)'는 죽은 자의 묏자리를 옮기는 것으로 고려시대부터 풍수지리 사상의 영향으로 현재까지도 집안에서 매우 신중한 일로 여긴다. MZ세대는 화장이 대세로 자리 잡으며 죽은 자를 땅에 묻는 장례문화도 쉽게 볼 수 없게 되었고, 묘를 이장하는 파묘도 생소한 단어가 되었다. 파묘를 통해 초자연적 현상을 풀어나가는 스토리가 대중에게 인기를 얻으면서 극장가에서 흥행을 이어가고 있다. 조선시대 최고 권력가였던 왕 중에도 파묘를 한 임금이 있었다. 파묘의 사연이 있는 임금을 살펴보자.왕실에 불어닥친 변고로 파묘된 세종조선의 8대 왕 예종(睿宗)은 왕위에 오르기 전 발생한 계유정난(癸酉靖難)과 그 후 계속된 왕실 내에서 흉흉한 일들이 발생했다. 이러한 사건들이 발생한 원인으로, 신하.. 2024. 3. 1.
교육 시장에 공정성이 필요한 이유는? 정부의 갑작스러운 수능 정책 발표정부는 수능을 5개월 남겨두고 갑작스러운 발표를 했다. 수능의 킬러 문항(고난도 문제)을 없애겠다고 말한 것이다. 사교육시장과 학부모 및 학생들은 정부의 갑작스러운 정책 발표에 혼란스러워하고 있다. 킬러 문항은 그동안 고교수준에서는 쉽게 풀 수 없어 논란이 많았으나 변별력을 줄 수 있어 수능에 공신력을 주는 문제라고 여겨왔다. 수시에 의해 입시 불공정이 터져 나오면서 수능으로 대학교에 가는 것이 오히려 공정하다고 생각했다. 한편 고난도 문제도 사교육을 받지 않으면 맞출 수 없는 시대가 되면서 사교육 시장과 교육 시장이 하나의 거대한 카르텔을 형성하게 되었다. 이처럼 국가의 중대사인 교육의 병폐를 없애려 노력했던 역사 속 사례를 살펴보자. 과거제 카르텔 깨려 한 고려 덕종고.. 2023. 6.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