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걷기3 움직임의 뇌과학 '움직임의 뇌과학'을 읽고 정리한 내용을 공유합니다.이 책을 선택한 이유'무기력해지거나 힘들 때 오히려 몸을 움직여라!' 라는 말이 정말 효과가 있는지 궁금증이 생겨 이 책을 읽게 되었습니다.책 소개움직임은 우리가 생각하고 느끼는 방법의 핵심이다.걷기는 어떻게 창의력을 높이는가걷기와 사고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증거는 인간의 진화 과정에서 비롯된다. 먹이를 추적하고, 허점을 찌르고, 움직임을 예측하고 인간의 수렵은 숙련된 기술은 요하는 정신적 작업이었다. 채집 또한 어디서 좋은 식량을 찾을 수 있는지 기억하고, 앞서 생각해야 하는 등 우리는 움직이면서 동시에 생각하도록 진화한 것이다. 실제로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그와 관련된 효과가 나타났다. 우선 조금 빠른 속도의 걸음은 심장박동에 동기화시켜 두뇌로 가.. 2024. 4. 27. 살 빼기 위한 최고의 운동은? '산업혁명' 영향 활동성 줄어 비만 급증과거 농경 국가에서는 농사를 짓기 위해 노동력은 국가의 중요 자산이었다. 그러나 런던에서 시작된 '산업혁명'을 통해 인간은 단순 반복되는 일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대신 효율적으로 고부가가치를 생산하는 분야에 노동 수요가 급증했다. 이 때문에 인간의 활동성은 급격히 줄면서 비만이 사회적 이슈일 정도로 새로운 고민거리로 등장했다. 비만은 건강에 해로울 뿐 아니라 뇌 기능에도 악영향을 준다. 비만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운동법이 소개되지만 걷기를 대체할 운동은 없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으고 있다. 걷기의 숨은 역사를 알아보고 건강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자.올바른 걷기의 시작은 군대 행군고대 인류는 직립보행으로 진화하면서 두 손은 도구를 만들고 튼튼한 다리는 신.. 2023. 2. 11. 아침 2시간이 불러오는 놀라운 변화 잠에서 깬 뇌는 ‘나무늘보’인간의 뇌가 수면에서 깬 후 활성화되는데 최소 2시간이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우리가 잠에서 깬 후 2시간은 마치 나무늘보처럼 평소보다 반응속도가 느리다. 나무늘보는 가장 느린 동물의 대명사로 여겨지는 빈치류로 다양한 창작물에서 게으름뱅이 역할로 자주 등장한다. 잠에서 깬 후 한동안 멍한 상태를 보이는 이유가 뇌의 반응속도 때문이다. 그러나 뇌가 활성화 되지 않았다고 2시간을 허무하게 낭비해야 하는가? 그렇지 않다. 뇌를 더 빠르게 깨우는 연구들이 진행되면서 다양한 방법들이 소개되고 있다. 아침의 2시간을 잘 사용한다면 하루 24시간을 알차게 보낼 수 있다.잠깬 후 2시간을 잘 보내려면 질 좋은 수면부터아침에 일어났을 때 몸이 나른하거나 피곤하고 두통까지 느낄 때가 종종.. 2023. 2. 10.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