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광해2

'노량' 다음에 봐야할 영화는? 이순신 장군의 영화 3부작 '노량'으로 마침표 찍어1592년 조선을 침략한 왜군은 육지에서 파죽지세로 조선 육군을 격파하며 평양까지 밀고 올라가고 있었다. 바다를 이용해 보급만 원활하다면 이미 전쟁은 끝난 것이나 다름없었다. 그러나 왜군은 바닷길에서 성웅 이순신 장군을 상대로 연전연패하며 고전한다. 이순신 장군은 7년의 전쟁 동안 남해안 일대의 바다를 지켰다. 곡창지대인 전라도의 일본군 침략을 막아내고 보급길을 차단해 전쟁을 승리로 이끄는 주역이었다. 이순신 장군은 노량대첩에서 장렬하게 싸우다 전사한다. 노량대첩 이후 조선의 굵직한 역사를 영화로 알아보자. 왜란을 수습하고 중립 외교를 펼친 광해 광해군(光海君)은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평양에서 급히 세자로 책봉되어 권섭국사(權攝國事)의 직위를 맡아 분조(分.. 2024. 1. 3.
아들에게 열등감을 느낀 아버지 자식도 경쟁자로 만든 권력권력 앞에서는 부모·자식도 없다는 말이 있다. 이처럼 동서고금을 살펴보면 권력을 차지하기 위해 천륜을 저버리는 일들도 비일비재했다. 조선시대 무능한 왕들 밑에는 뛰어난 능력을 갖춘 아들들이 있었다. 그들은 자식이 뛰어난 것을 좋아하기보다 오히려 적대시하였다. 그 이유는 아들과 자신이 비교되었기 때문이다. 열등감에 사로잡혀 나라를 혼란에 빠트렸던 조선의 임금들을 살펴보자. 광해군의 능력을 시기한 선조선조는 조선 14대 임금으로 방계(傍系) 출신이다. 직계(直系)가 아니었기 때문에 전통성을 인정받지 못해 왕위에서 내려올 수도 있다는 두려움에 늘 불안해했다. 그래서 선조는 열등감이 대단한 왕이었다고 역사가들은 말한다. 선조 시대에 조선은 임진왜란을 겪어야 했다. 왜군이 빠르게 한양으로.. 2023. 3.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