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신 장군의 영화 3부작 '노량'으로 마침표 찍어
1592년 조선을 침략한 왜군은 육지에서 파죽지세로 조선 육군을 격파하며 평양까지 밀고 올라가고 있었다. 바다를 이용해 보급만 원활하다면 이미 전쟁은 끝난 것이나 다름없었다. 그러나 왜군은 바닷길에서 성웅 이순신 장군을 상대로 연전연패하며 고전한다. 이순신 장군은 7년의 전쟁 동안 남해안 일대의 바다를 지켰다. 곡창지대인 전라도의 일본군 침략을 막아내고 보급길을 차단해 전쟁을 승리로 이끄는 주역이었다. 이순신 장군은 노량대첩에서 장렬하게 싸우다 전사한다. 노량대첩 이후 조선의 굵직한 역사를 영화로 알아보자.
왜란을 수습하고 중립 외교를 펼친 광해
광해군(光海君)은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평양에서 급히 세자로 책봉되어 권섭국사(權攝國事)의 직위를 맡아 분조(分朝)의 책임자로 평안도 지역으로 출발하였다. 7년의 왜란 기간에 광해는 각 지역을 돌면서 민심을 수습하고 군사들을 독려하며 조선의 안위를 지키기 위해 노력했다. 전쟁이 끝난 후 선조(宣祖)는 아들 광해의 뛰어난 능력을 시기하여 영창대군(永昌大君)을 세자로 세우고자 했으나 성공하지 못한다. 그 이후 의병 활동으로 공이 많고 광해군의 측근인 북인 세력은 서인과 남인 세력을 정치에서 배척하기 시작했다. 왜란을 틈타 만주에서 누르하치가 이끄는 여진족이 일어나 부족을 통합하며 강성해져 '후금(後金)'이라 칭하며 조선은 전쟁에 또 직면하고 있었다. 명나라는 후금을 정벌하는 게 여의치 않자, 조선에 원군을 요청한다. 전쟁을 통해 배운 게 많은 광해는 당시의 판세를 자세히 살폈고, 후금이 만만치 않은 상대임을 알았다. 그리하여 광해는 명과 후금 사이에서 중립적인 태도를 살피며 조선에서 전쟁이 발발하여 백성들이 참담 일을 겪는 것을 막고자 했다. 그리하여 명나라 요청에 따라 강홍립(姜弘立)을 총대장으로 임명하고 원군을 보내면서도 후금을 상대하기 어렵다는 생각이 들면 항복하고 밀서를 전달하라는 명까지 내렸다. 훗날, 이 사실이 조선 조정에 알려지면서 서인과 남인은 왜란 때 조선을 도운 명나라를 모른척하는 것은 군자의 도리가 아니라 하여 인조반정을 일으켜 광해군을 폐위시켰다. 왜란을 수습하고 조선이 다시 전쟁의 소용돌이에 휩싸이는 것을 막고자 노력했던 광해군의 단면을 보고 싶다면 영화 "광해"를 추천한다.
조선을 전쟁으로 다시 몰아넣은 인조
인조(仁祖)가 반정에 성공하며 광해를 몰아내고 조선 16대 왕이 되었다. 그는 도덕적 가치를 내세우며 왕이 되었지만, 그의 치세는 백성들을 고통 속으로 몰아넣었다. 인조반정의 핵심 세력인 서인은 광해군을 지지한 북인 세력을 척결하고 광해의 중립 외교 대신 명나라는 가까이하고 후금은 멀리하는 친명배금(親明排金) 정책을 펼쳤다. 후금은 만약 명나라와 조선이 양방향에서 공격하면 위태한 상황을 막고자 광해군을 폐위의 부당성 명분을 내세워 조선을 침략한다. 인조가 강화도로 빠르게 피신하여 후금과 화친을 맺으면서 정묘호란(丁卯胡亂)이 끝났다. 후금에서 조선을 완전히 굴복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강해지면서 병자호란(丙子胡亂)을 일으켜 빠르게 남하하여 조선 임금이 강화도로 피신하지 못하도록 막아 남한산성에서 포위했다. 결국 인조는 후금 태종에게 항복한다. 인조는 삼전도(三田渡)에서 굴욕을 겪으며 병자호란이 막을 내렸다. 조선의 백성들은 왜란이 끝나기 무섭게 다시 호란을 겪으며 고통을 겪어야 했다. 호란으로 참담한 조선의 모습과 남한산성에서 분열하는 지배층과 인조의 모습을 보고 싶다면 "최종병기 활"과 "남한산성"을 추천한다.
왜란이 끝나기 무섭게 조선은 호란으로 백성들이 고통을 겪는다.
지배층의 잘못된 선택으로 애꿎은 백성이 고통스러운 삶을 살아야 했고
조선의 역사는 오점을 또 하나 남기게 되었다.
역사 영화와 관련된 글을 청랑이 추천합니다. |
'청랑 이슈 식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류시스템의 혁신이 가져온 결과는? (9) | 2024.01.10 |
---|---|
역사를 바꾼 습격 사례는? (5) | 2024.01.08 |
포스코 그룹 회장, 연임 포기할까? (4) | 2023.12.25 |
조직에 승진 시스템이 중요한 이유는? (10) | 2023.12.18 |
크리스마스트리의 뜻과 유래 (40) | 2023.12.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