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로마제국2

로마사를 움직이는 12가지 힘(모토무라 료지), 로마는 어떻게 위대한 제국을 이루었을까? '로마사를 움직이는 12가지 힘'을 읽고 정리한 내용을 소개합니다.훌륭한 시스템도 시간이 지나면 썩기 마련이기에 혁신과 변화는 필요하다.책을 읽고 싶게 만든 목차파트 1 ‘회복탄력성’과 ‘공공성’, 두 기둥으로 세계 제국이 된 로마책 소개공화정. 독재를 혐오한 로마인, 공화정을 선택하다기원전 509년 왕가 일족을 추방한 로마에서는 왕이라는 이름의 독재자가 전제정치를 하지 못하도록 왕을 대신해 임기 1년제 지도자인 집정관 2명을 선출하는 길을 선택한다. 로마 공화정의 탄생이다.도편 추방제는 독재를 사전에 방지하는 제도였으나 아테네에서는 정쟁의 도구로 활용되기도 했다. 대립 진영이 서로 상대편 우두머리를 추방하기 위해 도편 추방제를 이용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양 진영이 같은 계략을 썼기에 도편 추방.. 2025. 1. 17.
효기심의 권력으로 읽는 세계사: 유럽 편(효기심), 세상을 움직이는 진짜 숨은 이야기는? '효기심의 권력으로 읽는 세계사: 유럽 편'을 읽고 정리한 내용을 소개합니다.정치인들을 비판적으로 보는 것이야말로 현대사회의 ‘국민’에게 반드시 필요한 자세이며 태도다.책을 읽고 싶게 만든 목차제7장 왕과 귀족의 국민 호구 만들기 작전 : 영국 의회의 탄생책 소개종교는 권력의 좋은 재료: 로마가 기독교를 국교화한 이유로마제국의 권력자들은 자신들의 권력 유지를 위해 기독교인들의 마음을 얻고자 기독교를 받아들입니다. 현대사회에서도 정치인들은 자신들의 지지율을 위해 평소 하지 않던 봉사 활동을 하거나 이익집단의 행사에 참여해 지지를 호소하죠. 만약 로마제국에서 기독교인 인구가 증가하지 않았다면 콘스탄티누스와 테오도시우스는 무엇을 국교화하려 했을까요? 지금 대한민국의 정치인들도 자신들의 지지율을 높이기 위해 국.. 2025. 1.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