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무량판구조2 아파트 고를 때 알아두면 좋은 지식 <1부> 원자재 가격 급등이 부실 아파트 건설로 이어져2020년 코로나 사태로 인해 세계적으로 원자재 수급이 원활하지 않자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게 되었다. 그 부담은 고스란히 건설사에 부담이 되었고 제한된 예산에서 아파트를 시공하려다 보니 싼 자재를 사용하고 설계와 다르게 시공하거나 철근을 빼먹는 일이 발생하며 건설 도중 아파트가 붕괴하는 사고가 일어났다. 또 최근 무량판 구조로 짓는 아파트에 보강 철근이 빠지면서 무량판 구조의 아파트는 부실 아파트라는 오명을 쓰게 되었다. 앞으로 아파트를 사야 한다면 꼭 알고 있으면 도움이 될 지식을 알아보자. 1998년 이후에 지어진 아파트를 선택하라아파트 분양 광고를 보다 보면 59타입 또는 84타입을 보게 된다. 평수로 계산하다 보면 84㎡의 평수가 25평인데 34평이라니.. 2023. 8. 30. 과거에는 부실 공사를 막기 위해 어떤 방법을 썼을까? LH 발주한 아파트 부실 공사 드러나삼풍백화점의 붕괴원인은 무량판구조를 부실하게 공사한 데 있었다. 무량판구조란 기둥 위에 콘크리트판을 놓는 것을 말하는 데 구조적인 문제는 없지만 전단 보강 철근이 빠진다면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LH공사가 발주한 아파트를 전수 조사한 결과 지하 주차장을 무량판구조로 설계하고 보강 철근을 넣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건물이 노후화되면 인사 사고로까지 이어질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한 것이다. 건축 기술은 나날이 발전하고 있지만 건축물을 짓는 감리와 다양한 시스템은 LH공사의 카르텔에 의해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는 것 같다. 새로운 아파트의 입주민들은 부실 공사로 인해 불안에 떨며 잠들고 있다. 과거에 궁이나 성을 지을 때 부실 공사가 일어나지 않기 위해 어떻게 했는.. 2023. 8. 2.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