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미래교육411

청랑의 오늘 명언 : 두려움을 이기려면 목표에 집중하라 장애물 달리기 경기를 할 때 넘어지지 않기 위해서는멈추지 않은 채 장애물과 도착 선을 끝까지 바라보며 달려갑니다. 인생, 공부, 취업 등 우리의 일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런, 저런 문제 때문에 힘들지 않을까?내가 할 수 있을까, 이겨낼 수 있을까? 이런 생각들이 반복되면 의심과 불안감이 몰려옵니다.내가 정한 목표와 생긴 문제를 피하지 말고 자신감 있게 부딪혀 보세요! 넘어질 수 있지만 그건 실패가 아닙니다.왜냐면 다시 일어나 계속 앞으로 나아갈 테니까요.헨리 포드헨리 포드는 미국의 사업가이며 자동차왕으로 불리는 사람이다. 헨리 포드는 자신의 사업에 확신을 두고 내연 기관을 개발하는 데 집중했다. 사업자금이 바닥나면서 부도가 날 뻔도했으나 은사의 도움으로 자동차 사업을 성공시켰다. 헨리 포드는 자동차 조립.. 2023. 11. 5.
청랑의 영숙어 74 원어민들이 회화로 자주 사용하는 숙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in a family way : "가족의 (되는)길 안에"라고 해서 "임신하여"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2) in a coma : "혼수 상태에 있는"라고 해서 "혼수 상태인"이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위 숙어를 이용해 여러분만의 문장을 하나씩 만들어 보세요! 2023. 11. 4.
청랑의 오늘 명언 : 무지를 인정해라 더 나은 내가 되기 위해서 어떤 점이 부족한지 알아야 합니다. 성공하기 위해서는 자신을 냉정하게 판단할 수 있어야 하고부족한 점을 개선할 수 있어야 합니다. 항상 배운다는 자세로 자신의 부족한 점을 발전시킨다면어느 순간 내가 생각한 성공의 위치에 도달해 있을 겁니다.벤자민 디즈레일리벤자민 디즈레일리는 영국의 정치가이자 문학가이다. 벤자민 디즈레일리는 변호사 밑에서 업무를 배우다 문학가의 길을 걷게 된다. 그는 여러 작품을 성공시키며 대중에게 알려졌고 정치가의 길에 오르게 된다. 대영제국은 벤자민 디즈레일리의 탁월한 판단으로 강대국의 지위를 유지할 수 있었다. 그가 다양한 분야를 섭렵하며 정치인의 삶으로서 현명한 판단을 내릴 수 있었던 것은 끊임없이 배우려는 노력과 다양한 직업에 대한 두려움 없는 도전이 .. 2023. 11. 4.
청랑의 어휘 끝장내기 : -less 오늘은 -less라는 어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less : -가 없는, 결여된"이라는 의미로 부족을 나타냅니다.여러분이 알고 있는 단어 중 부족을 나타내는 -less로 끝나는 단어는 무엇이 있나요? 다른 어휘를 알고 싶다면 클릭하세요! 청랑의 어휘 끝장내기 : -er/or오늘은 -er/or라는 어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er/or : 사람, 행위자"라는 의미로 사람을 나타냅니다.여러분이 알고 있는 단어 중 사람, 행위자를 나타내는 -er/or로 끝나는 단어는 무엇이 있나요? jadewolves.tistory.com 2023. 11. 3.
청랑의 오늘 명언 159 실패란 여러분이 포기하지 않는 이상 존재하지 않습니다. 시험에서 떨어지더라도,승진에서 누락하더라도,성적이 떨어지더라도 너무 낙담하지 마세요. 실패는 여러분이 포기한 채 아무것도 하지 않는 순간입니다. 우리에겐 내일이 있습니다.다시 도전할 수 있는 용기와 끈기만 있다면 여러분에게 성공은 보장됩니다. 메리 픽포드메리 픽포드는 캐나다 출신의 무성영화 톱스타였다. 그녀는 무성영화에서 승승장구하였으나 기술의 발전으로 무성영화 시대는 저물어 갔다. 유성영화에 도전장을 냈던 메리 픽포드는 기존 무성영화에서 보여준 이미지와 달랐고 대중은 순수함을 강조하는 메리 픽포드보다 젊고 관능적인 여배우를 찾았다. 메리 픽포드는 배우로서 자신의 한계를 느끼고 은퇴했으나 영화제작자로서 계속 자신이 사랑하는 영화산업에 참여했다. 그녀.. 2023. 11. 3.
청랑의 영숙어 73 원어민들이 회화로 자주 사용하는 숙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in shape : "형태 안에"라고 해서 "날씬한, 건강한"이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2) in short : "짧은 것 안에"라고 해서 "요컨대, 요약하자면"이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위 숙어를 이용해 여러분만의 문장을 하나씩 만들어 보세요! 2023. 11.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