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치3 북한의 김정은처럼 사치를 부리던 지도자의 끝은 어땠을까? 수해 입은 북한, 복구작업 지도하는 김정은의 쇼2024년 7월 말 압록강 유역에 많은 비가 내리며 큰 피해를 입었습니다. 사태의 심각성을 인지한 북한 김정은 국방위원장은 7차례나 현장을 찾아 수해 복구를 지도했습니다. 양복을 입고 물에 들어가며 민중을 보살피는 모습에 북한 국민들은 감동 받았습니다. 하지만 수해 복구 지도를 나온 지도자의 기차에는 고가의 차량이 실려있었습니다. 김정은 국방위원장은 정말 민중의 고통을 느끼고 있었을까요? 자신의 정권을 유지하기 위해 민심을 달래는 쇼맨십이 아니었을까요? 김정은 위원장의 사치가 언론에 알려지면서 고단한 북한 민중의 삶이 안타깝게 여겨집니다. 과거 사치와 향락에 빠져 살던 지도자의 끝은 어떠했는지 역사를 통해 알아봅시다.사치로 민심을 잃은 하나라 걸왕걸왕(桀王).. 2024. 9. 20. 한국인의 과시욕, 아이에게도 영향을 주기 시작해 이주의 이슈외신에서는 5세도 안 된 자녀에게 사치품을 사주는 한국 부모와 조부모를 소개하며, 한국의 출산율이 낮아지는 반면 어린이 명품 시장은 계속 성장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는 한국인의 과시욕과 경쟁심리가 큰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했습니다. 예를 들어, 한 부모는 4세 딸에게 티파니 목걸이와 골든구스 신발을 사주었고, 또 다른 부모는 자녀가 어릴 때부터 비싼 선물을 받았다고 했습니다. 전문가들은 한국인의 과시욕이 유아용 명품 시장을 크게 만드는 이유라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한국은행 총재는 명품 선호가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어렵게 만든다고 지적하며, 비싼 선물을 받으며 자란 젊은 세대가 높은 집값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오늘의 고사어느 날, 자장이 공자에게 "사람으로서 어떻게 하면 진정.. 2024. 7. 27. 청랑의 오늘 명언 : 가격과 가치 사람이 살아가려면 물건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수밖에 없습니다. 무언가를 산다면 그것이 나에게 얼마나 가치가 있는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무언가를 살 때는 나에게 얼마나 가치가 있는가를 따져보세요! 싼 물건이라도 가치가 없다면 사치가 되고 비싼 물건이라도 가치가 있다면 현명한 소비가 됩니다. 가격은 그냥 돈을 내는 것이 아닙니다. 내 노력과 시간을 대가로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대가로 받는 것이 바로 가치입니다.워런 버핏워런 버핏은 주식투자에 탁월한 성과를 보이며 오마하의 현인이라 불렸다. 그는 어릴 적 여러 가지 알바를 하면서 돈을 모았고 증권중개인이었던 아버지의 영향을 받아 주식을 시작하게 되었다. 돈을 버는데 탁월한 소질이 있었던 버핏은 주식을 통해 많은 이익을 얻었고 단기투자보다 장기투자가.. 2024. 5. 1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