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성인학습코칭410 청랑의 오늘 명언 141 실수했다는 것은 도전했다는 증거입니다.도전했기에 실수가 생기는 겁니다. 실수에 너무 큰 의미를 담아 자책하지 마세요.도전보다 안주하며 편하게 살고 싶은 게 사람의 마음이니까요. 이거 하나만 기억하세요.도전하고 실수했다는 건 그만큼 용감한 사람이라는 걸.알버트 아인슈타인알버트 아인슈타인은 독일에서 태어난 유대인이다. 그는 유년 시절 유대인으로서 유대교 의식에 집착하지 않는 집안에서 자랐다. 아인슈타인은 명석한 두뇌를 가진 것은 아니었지만 획일화된 교육을 경멸하여 무례한 행동을 선생님들에게 하곤 했다 한다. 수학과 물리학에 관심을 가졌던 아인슈타인은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에 낙방하고 재수하여 입학한 후 본 강의에 큰 관심을 가지지 못하고 혼자서 학교 도서관에 파묻혀 독학했다. 졸업한 뒤 교사 자리를 얻고자 .. 2023. 10. 16. 청랑의 영숙어 64 원어민들이 회화로 자주 사용하는 숙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at a breath : "한 번의 숨에"라고 해서 "단숨에"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2) at a gift : "기증품으로"라고 해서 "공짜로"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위 숙어를 이용해 여러분만의 문장을 하나씩 만들어 보세요! 2023. 10. 15. 청랑의 오늘 명언 : 솔직해지는 연습 기분이 불쾌하거나 불안하다면그 감정을 내버려 두지 마세요. 회피한다면 잠시 해방됐다는 쾌감에 만족감을 느끼지만,시간이 흐르면 더욱 큰 불안과 스트레스로 찾아옵니다. 행복과 긍정은 그 문제를 해결할 때 찾아옵니다.지그문트 프로이트지그문트 프로이트는 오스트리아 출신의 정신과 의사이며 정신분석의 창시자이다. 그는 유년 시절부터 총명하였는데 처음에는 법학에 관심을 가졌으나 다윈의 '종의 기원'을 읽으며 의학에 관심을 가지고 빈 의과대학에 들어가게 된다. 의과대학에서 우연히 최면술에 대해 알게 되면서 인간의 무의식이 존재한다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 프로이트는 인간의 무의식이 존재한다는 관점에서 시작하여 체계적인 실험을 통해 정신분석학이라는 학문을 창시하였다. 훗날 정신분석학은 심리학이라는 명칭으로 바뀌어 다양한.. 2023. 10. 15. 청랑의 어휘 끝장내기 : homo- 오늘은 homo- 라는 어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homo-는 "same : 같은"이라는 의미로 동일을 나타냅니다.여러분이 알고 있는 단어 중 동일을 나타내는 homo-로 시작하는 단어는 무엇이 있나요? 다른 어휘를 알고 싶다면 클릭하세요! 청랑의 어휘 끝장내기 : un-오늘은 un- 라는 어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un-는 "not : 부정/반대"라는 의미로 부정을 나타냅니다.여러분이 알고 있는 단어 중 부정을 나타내는 un-로 시작하는 단어는 무엇이 있나요? 다른 어jadewolves.tistory.com 2023. 10. 14. 자기주도학습 코칭 매뉴얼 '자기주도학습 코칭 매뉴얼'을 읽고 정리한 내용을 공유합니다.이 책을 선택한 이유스스로 코칭과 티칭의 경계가 무너지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코칭의 다양한 방식을 좀 더 배우고 사례들을 통해 느끼고 싶어 이 책을 읽게 되었습니다. 책 소개교육은 아이에게 무엇을 자꾸 집어넣어 주는 것이 아니라, 아이 안에 있는 잠재력을 끌어내 주는 것이어야 한다.마음을 움직이는 힘인간의 마음속에는 알고자 하는 본능이 있다. 모르는 것을 알게 되었을 때 마음속에서 기쁨과 환희가 일어난다. 따라서 당연히 공부는 즐겁고 재미있는 일이다. 그런데 많은 학생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공부가 재미없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 이유는 학생 스스로 선택한 것이 아니라, 누군가에 의해 이미 부여되고 주어진 것들 때문이다. 하지만 초.. 2023. 10. 14. 청랑의 오늘 명언 139 지금 나와 달라지고 싶으신가요? 무조건 변한다고 다 해결되지 않습니다. 지금 내가 어떤 행동을 하고 있는지, 어떤 사람인지 인지해야내가 원하는 모습으로 변할 수 있습니다. 항상 자신을 돌아보는 시간을 꼭 가져보세요. 에릭 호퍼에릭 호퍼는 미국출신의 사회철학자다. 그는 독일계 이민자로 18살에 아버지를 여의고 떠돌이 생활을 하며 노동자로 일했다. 에릭 호퍼는 일하는 틈틈이 책을 읽었고 노동으로 인간을 성찰하게 되었다. 그의 글은 미국 사회에 큰 반향을 미쳤다. 하루살이 같은 노동자의 삶을 살았던 그는 매일 자기 성찰이 있었기에 노동자에서 사회철학자로 변모할 수 있었던 것은 아닐까. 2023. 10. 14. 이전 1 ··· 42 43 44 45 46 47 48 ··· 6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