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인정욕구3 뇌는 어떻게 자존감을 설계하는가(김학진), 자존감과 자기감이란 무엇일까? '뇌는 어떻게 자존감을 설계하는가'를 읽고 정리한 내용을 소개합니다. 건강한 마음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균형 잡힌 자존감이 필요하다.책을 읽고 싶게 만든 목차1부. 자존감에서 자기감으로책 소개‘자기’를 과학적으로 이해하는 일은 내가 속한 사회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인식하며 타인과 견실한 관계를 맺고 삶을 살아가는 데 매우 중요하다.알로스테시스, 뇌의 생존 전략모든 생명체는 궁극적으로 ‘항상성’이라는 질서를 추구한다. 우리 뇌는 생존과 번식이라는 생명의 궁극적 목적을 위해 신체 항상성을 유지하고 외부 환경을 활용하는 데 ‘알로스테시스’를 사용한다. 알로스테시스는 수많은 항상성 조절 반사 신경 회로를 통합해 조직적으로 관리하고 유기체 전반에 걸친 신체 항상성 조절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매 순간 변화하는 신체.. 2024. 12. 17. 글의 핵심 파악하기 : 인정욕구 책의 일부 내용을 읽고 핵심 파악하는 연습을 해보세요!인정욕구에 휘둘리지 않기 위해서는 절친한 사람과 진솔하고 깊은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인정욕구는 서로 솔직하게 속마음을 보여줄 수 있는 관계 속에서 건강하게 채워질 수 있습니다. 채워진 인정욕구는 사람을 부추기지 않으므로 인정욕구에 휘둘리거나 인정중독에 빠질 일도 없지요. 문제는 자신을 솔직하게 보여주면서 관계를 맺기가 쉽지 않다는 점입니다. 나를 거짓 없이 드러내고 싶지만 드러내기가 무섭다는 심리가 작용합니다. 이른바 자기제시를 둘러싼 갈등이지요. 자기제시는 자신의 생각이나 경험을 솔직하게 보여주는 행위인 동시에 심리적 거리의 기준점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서로를 얼마나 알고 있는지에 따라 심리적 거리를 짐작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인간관계.. 2024. 10. 21. 인정욕구 '인정욕구'를 읽고 정리한 내용을 공유합니다.이 책을 선택한 이유성장하고 발전하는 데 관심이 있어서 여러 책을 읽어 보았습니다. 그러다 문득 성장이라는 것은 야망 없이는 이뤄질 수 없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 책의 제목인 인정욕구는 야망으로 이어지는 본능이라고 생각하여 알고 싶어 읽게 되었습니다. 책 소개인정욕구는 채워야 하는 것인정욕구 자체는 나쁜 것이 아니다. 인정욕구는 누구에게나 존재하며, 우리는 어릴 때부터 인정욕구를 채우기 위해 부단히 노력해 왔다. 인정욕구는 성장의 원동력이 된다. 인정욕구에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싶다는 심리뿐만 아니라 비판이나 거부처럼 부정적인 평가를 받고 싶지 않다는 심리도 포함된다. 미움받기 싫은 심리와 연결된다. 인정욕구를 좋지 않은 개념으로 보는 경향은 SNS가 발.. 2023. 9. 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