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청랑자기주도학습418

청랑의 영숙어 66 원어민들이 회화로 자주 사용하는 숙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at a stroke : "한 번의 타격에"라고 해서 "일격에, 한 번에"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2) at a snail's pace: "달팽이의 속도로"라고 해서 "매우 천천히"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위 숙어를 이용해 여러분만의 문장을 하나씩 만들어 보세요! 2023. 10. 19.
청랑 학습 코칭 23년 성인H 후기 <3부> 학습자님께서는 야근이 잦아 퇴근 후체력적인 문제로 학습을 유지하는 데 힘들어 스트레스를 받고 계셨습니다. 따라서 변동 사항이 적은 오전 시간대로 학습을 옮기기 위해체력과 계속 자신을 점검할 수 있는데 집중했습니다.  학습 시간 유지를 위해 매일 유산소 운동 30분메타인지 향상을 위해 피드백 미션을 제안했습니다. " data-og-description="혼자 학습을 진행하셨을 때 방대한 양과 어려운 내용으로 지속성이 떨어지던 문제가 있었습니다. 따라서 우선 해결하기 위해 학습의 속도를 높이고 좋아하는 방식의 학습을 하면서 효율을 높이" data-og-host="jadewolves.tistory.com" data-og-source-url="https://jadewolves.tistory.com/entry/%.. 2023. 10. 19.
진정한 성공의 기준이란? 진정한 성공의 기준은 무엇인가요?높은 자리에 올라가고, 돈을 많이 번다고 성공일까요? 아닙니다. 진정한 성공의 기준은내가 얼마나 많은 어려움을 극복하고 그것을 이루어냈는가입니다. 부커 T. 워싱턴부커 T. 워싱턴은 미국 출신의 교육자이자 정치가여 흑인사회의 리더로 활동하였다. 그는 어릴 적 백인 아버지와 노예인 흑인이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나 노예로 살았다. 미국 남북전쟁 이후 북군의 승리로 노예제도가 폐지되자 워싱턴은 흑인의 경제 자립을 돕기 위해 기술학교를 설립하였다. 이후 백인이 흑인에 대한 차별이 극심해지자 백인 우월주의를 받아들이는 데서 해결책을 찾으려 노력하였다. 또 그는 흑인들이 백인들과 동등한 권리와 대우를 받는 것은 인내심과 근면과 절약 및 유능함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리하여 그.. 2023. 10. 19.
청랑의 어휘 끝장내기 : be- 오늘은 be- 라는 어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be-는 "make : 만들다, -하다, -이 되게 하다"라는 의미로 동작을 나타냅니다.여러분이 알고 있는 단어 중 동작을 나타내는 be-로 시작하는 단어는 무엇이 있나요? 다른 어휘를 알고 싶다면 클릭하세요! 청랑의 어휘 끝장내기 : se-오늘은 se- 라는 어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se-는 "away : -와 떨어져, 따로"라는 의미로 분리를 나타냅니다.여러분이 알고 있는 단어 중 분리를 나타내는 se-로 시작하는 단어는 무엇이 있나요? jadewolves.tistory.com 2023. 10. 18.
청랑의 오늘 명언 143 삶을 바꿔보기 위해 노력 중인데 쉽지 않으시죠? 그 힘듦은 변화와 성장의 과정이자 증거입니다. 과학자들이 수많은 오류를 통해 발견하고 발명하는 것처럼여러분도 수많은 오류를 걸쳐 나 자신을 발견해 보세요. 릭 웨렌릭 웨렌은 미국 출신의 목사이자 베스트셀러 '목적이 이끄는 삶'의 저자이다. 그는 한 가정과 함께 교회를 설립해 지금은 2만 명의 신자가 매주 찾는 새들백 교회의 목사이다. 시작은 초라했으나 끝은 거창하리라는 성경의 말씀처럼 그의 개척교회는 볼품없이 시작했으나 지금은 미국 남부 지방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드는 대형 교회로 성장하였다. 그의 말처럼 새들백 교회를 만들어 가는 과정에서 느꼈던 순간들이 고스란히 책에 담겨 전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작가로 명성을 크게 얻을 수 있었다. 2023. 10. 18.
청랑의 영숙어 65 원어민들이 회화로 자주 사용하는 숙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at a burst : "갑자기 터짐에"라고 해서 "분발하여, 단숨에"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2) at a loss : "죽음에서"라고 해서 "당황한, 어쩔 줄 모르는"이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위 숙어를 이용해 여러분만의 문장을 하나씩 만들어 보세요! 2023. 10.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