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통제2

나에게 필요한 열정만 태워라 대부분 열정이라는 단어를 긍정적으로만 생각하곤 합니다.하지만 모든 열정이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닙니다.무분별한 열정은 때때로 나를 잘못된 길로 이끌기도 합니다.유명한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는 인간의 감정과 열정에 대해 많은 연구를 했습니다.그는 중용(中庸)의 미덕을 강조하며, 극단적인 감정이나 열정에서 벗어나 균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아리스토텔레스는 지나치게 과격한 열정은 삶을 혼란에 빠뜨릴 수 있으며,반대로 아무런 열정이 없는 삶은 활력을 잃게 된다고 보았습니다.우리는 열정이 적절한 방향으로 흐르도록 잘 관리해야 합니다.중요한 것은 무엇에 열정을 쏟을지 선택하는 것입니다.불필요한 열정은 우리의 에너지를 소모시키고, 잘못된 방향으로 나아가게 할 수 있습니다.진.. 2024. 10. 6.
청랑의 오늘 명언 : 가장 강한 사람이란? 신체, 권력, 능력이 뛰어난 사람을 강한 사람이라고 할까요? 진정한 의미의 강한 사람은 자신을 통제할 수 있는 사람입니다.수많은 유혹에도 흔들리지 않고 자기가 세운 신념과 목표들을 해나가는 사람입니다. 그들은 어제보다 더 나은 오늘, 오늘보다 더 나은 내일을만들기 위해 자신과 싸웁니다.세네카세네카는 로마시대의 정치가이자 사상가이다. 세네카는 스페인 태생이지만 어릴 적부터 로마에서 길러졌다. 그는 로마의 폭군 네로황제의 스승이 있었으며 조력자였다. 네로황제는 초기 5년 동안 세케나의 도움아래 훌륭한 정치를 펼쳤으나 이후 폭군으로 변모하며 세네카는 정치계에서 은퇴했다. 세네카는 자신이 가르친 제자 네로 황제에 의해 결국 반역자로 몰려 죽임을 당했다. 세네카는 다른 또래에 비해 몸이 좋지 않아 뒤늦게 정계에 .. 2023. 7.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