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티스토리챌린지23

치밀한 리더의 한 수(조형권), 조조의 경영 전략은 어땠을까? '치밀한 리더의 한 수'를 읽고 정리한 내용을 소개합니다. 훌륭한 리더는 자기 자신을 잘 다스릴 줄 안다.이 책을 선택한 이유역사적으로 유능한 조조의 경영 전략을 배워보고 싶어서 이 책을 읽게 되었습니다.책 소개소명 의식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의 차이소명 의식이라는 단어는 ‘하나님의 일을 하도록 부름을 받는다’는 종교적인 의미에서 시작됐지만, 이제는 일반적인 개념까지 확장되었다. 일을 하는 목적이 단순히 나의 물질이나 명예를 위한 것이 아니라, 세상을 이롭게 하고 자아를 충만하게 하기 위한다는 개념이다. 단순히 직업이나 지위로서 리더를 생각한다면 영속성이 생길 수 없다. 그 위치에서 내려온다면 더 이상 리더로서의 삶을 살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리더로서 소명 의식을 갖고 있다면 비록 위치나 지위가 바.. 2024. 11. 10.
진짜 좋아하는 일만 하고 사는법(데릭 시버스), 어떤 마인드셋이 인생을 바꿀까? '진짜 좋아하는 일만 하고 사는법'을 읽고 정리한 내용을 소개합니다. 필요한 지식만 쌓는 지혜와 포기하지 않는 꾸준함이 필요하다.이 책을 선택한 이유일을 대하는 마음가짐을 어떻게 바꿀 수 있을지 알고 싶어서 이 책을 읽게 되었습니다.책 소개당신은 현재 지향적인가, 미래 지향적인가?어떤 사람들은 주로 현재의 순간에 집중한다. 오늘을 위해 살고 지금 당장 기분을 좋게 해주는 일을 한다. 그런가 하면 또 어떤 사람들은 미래에 집중한다. 그들은 오늘을 디딤돌로 삼고 미래의 자신을 위해 최선의 선택을 한다. 두 가지 시간관은 모두 필요하다. 인생을 즐기려면 현재 지향적이어야 한다. 하지만 너무 현재에 집중하면 성취가 주는 더 깊은 행복이 막힌다. 절제하지 못하고 다소 성급한 행동을 하는 이유는 더 이상 미래가 분.. 2024. 11. 9.
사람들은 왜 내 말을 안 들을까?(도하타 가이토), 실전에서 쓸 수 있는 듣기와 말하기 기술은? '사람들은 왜 내 말을 안 들을까?'를 읽고 정리한 내용을 소개합니다. 듣기와 심리 치료의 시작은 유대 관계다.이 책을 선택한 이유책을 통해 심리학을 공부하면 ‘듣기’에 기술이 굉장히 중요하다는 것을 느끼고 ‘듣기’의 능력을 키우고 싶어 이 책을 선택하게 되었습니다.책 소개누군가가 내 이야기를 들어주고 있기 때문에 나도 누군가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습니다왜 들을 수 없게 되었는가‘듣기’가 문제가 되는 건, 전하고 싶은 말이 있는데 상대가 들어주지 않을 때입니다. 평소의 ‘듣기’는 장벽이 낮습니다. 숨 쉬는 것과 비슷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내 일만으로도 벅차 여유가 없어지면 ‘듣기’에 문제가 발생합니다. 그럴 때 “내 말을 전혀 들어주지 않아”라면서 관계가 뒤틀리기 시작합니다. 결핍이 생기는 겁니다. 여유.. 2024. 11. 8.
내가 가진 것을 세상이 원하게 하라(최인아), 미래에 갖춰야 할 경쟁력은? '내가 가진 것을 세상이 원하게 하라'를 읽고 정리한 내용을 소개합니다.삶과 일에서 나의 태도를 바꿔야 경쟁력이 있다.이 책을 선택한 이유미래에 살아남기 위해서는 어떤 경쟁력을 지녀야 하는지 알고 싶어서 이 책을 읽게 되었습니다.책 소개내 일의 의미를 찾아서같은 회사, 같은 사무실에서 같은 업무를 하더라도 일에 대한 정의는 사람 수만큼 다양할 수 있다. 자신의 일을 어떤 시선으로 바라볼지 고민할 때마다 다른 정의가 생겨나기 때문이다. 현실은 이상과 다소 다르긴 하지만 그래도 각각의 직업에는 애초에 추구하기로 되어 있는 의미가 있고, 그 분야에서 일하는 이들은 그 의미에 맞는 역할을 하기에 사람들의 존경을 받는다. 자신이 하는 일에서 확고한 의미를 찾을 수 있다면 든든한 ‘백’을 가진 거나 다름없다. 그러.. 2024. 11. 7.
말 잘하는 자녀는 어떻게 가르쳐야 할까? 말 잘한다고 공부 수준이 높은 건 아니야논변을 잘하고 박식한 사람은 말솜씨가 좋고 논리가 풍부하지만, 종종 말이 실제를 넘어섭니다. 그러므로 이런 사람은 더불어 두루 이야기할 수는 있지만, 중요한 약속을 하기는 어렵습니다. 자녀와 대화하다 보면 부모가 자녀의 언변에 압도되는 일이 있습니다. 자녀는 자신의 뛰어난 말솜씨로 주변의 친구를 설득하는 일이 많았을 겁니다. 또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유도하여 결과를 이끌어내는 일이 많았다면 말에 모든 것을 의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런 경우 자기 학습 실력을 과대포장하여 설명합니다. 나아가 자신을 조금 더 돋보이고자 다양한 핑계를 들어 상황을 모면하기도 합니다. 부모는 이런 자녀 말만 믿고 성적표를 받아보면 점수에 한 번 놀라고 자녀 변명에 두 번 놀라고 맙니다.. 2024. 11.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