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학습코칭152 정치풍자 코미디 시대마다 달라 지배계층 풍자, 민중에 즐거움 줘시대를 막론하고 지배계층에 대한 풍자는 고된 삶을 살아가는 민중의 즐거움 중 하나였다. 요즘은 사회적 이슈에 대해 풍자하거나 방송에 나온 정치인들에게 출연진이 언론에서 다루지 않는 영역까지 과감하게 질문을 던진다. 예상하지 못한 질문 공세에 당황하는 정치인의 모습에 서민 시청자들은 배꼽을 잡고 웃으며 스트레스를 푼다. 이런 풍자물은 시대별로 다른 형태로 나타났다. 풍자물의 역사를 살펴보도록 하자.양반의 '못된 행태' 해학적으로 묘사탈춤은 삼국시대 종교 행사에서부터 쓰였다. 조선 전기에는 궁중 행사에서 탈춤을 선보이곤 했다. 탈춤은 조선 후기에 이르러서는 서민들에게 알려졌고, 양반을 풍자하는 가면극 등 다양한 분야로 발전했다. 특히 지배층을 풍자했다간 곤욕을 치를 수 있던 .. 2023. 2. 10. 공간의 심리학 '공간의 심리학'을 읽고 정리한 내용을 공유합니다.이 책을 선택한 이유심리학 관련 책을 여러 권 읽고 인간 심리에 대해 조금 더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뭔가 색다른 심리학을 알고 싶어서 서점에서 우연히 발견한 책입니다. 공간 심리학이라는 분야가 신선하게 느껴졌고 우리가 항상 거주하는 집에 심리학적인 요소가 숨어있다는 것이 궁금하여 읽게 되었습니다.책 소개버릴 수 없다는 생각을 버려라 시간이 갈수록 집 안에 물건들이 쌓이기 마련이지만 보통은 그런 물건들을 쉽게 버리지 못한다. 집을 물건과 상품들의 창고로 만들지 않기 위해서는 절제가 절실하다. 얼핏 물건이 그렇게 많아 보이지 않는 방에서도 가구나 소품의 수를 줄이면 한결 나아 보이는 경우가 많다. 창을 통해 들어오는 빛과 햇살을 위한 자리가 생기고 여백.. 2023. 2. 9. 아비투스 '아비투스'를 읽고 정리한 내용을 공유합니다.이 책을 선택한 이유우리 주변에 성공해서 부자가 된 사람들의 이야기가 생각보다 많다고 느꼈습니다. 가난하지만 자수성가로 성공하여 부자가된 사람들도 있고 집안 대대로 부자인 로열 패밀리도 있습니다. 그러다 문득 우리가 진짜 부자라고 여기는 상류층은 어떻게 생각하고 행동하길래 자신들이 가진 부와 성공을 유지하는지 궁금함이 생겨서 읽게 되었습니다. 책 소개아비투스란 세상을 사는 방식과 태도를 말한다아비투스는 출신의 영향이 크다.어디서 태어났느냐에 따라 성공에 유리한 아비투스를 많이 혹은 적게 몸에 익힌다.상류층 : 저녀들이 책임감과 자신감을 동시에 훈련하고 어려서부터 구별 짓기와 탁월함을 몸에 익힌다.중산층 : 성과 및 지위추구하류층 : 생존기술 추구7가지 자본유형.. 2023. 2. 8. 난방비 폭탄! 천연가스 사용 역사 한국 서민들 난방비 폭탄에 울상추운 겨울이 되면 각 가정에서는 난방을 틀어야 한다. 그러나 예년과 달리 이번 겨울에는 난방비가 급격하게 오르자 서민들의 원성이 자자하다. 난방비 상승의 가장 큰 원인은 우크라이나와 전쟁을 치르는 러시아가 가스 등 에너지 공급을 통제하고 있기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 국가 간의 전쟁에서 자원이 무기화되었음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는 에너지 가격의 변동성에 속수무책일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왜 오늘날 국가들은 천연가스를 에너지 자원으로 쓰게 된 걸까? 으뜸인 이유는 기체인 천연가스를 액체(LNG)로 바꿀 수 있어 자원으로 운송하기 쉽기 때문이다. 또 천연가스는 매장량이 많고 저렴한 점도 대표적인 에너지원이 될 수 있었다. 천연가스 사용과.. 2023. 2. 8. '한 번 더'의 힘 '한 번 더'의 힘을 읽고 정리한 내용을 공유합니다.이 책을 선택한 이유새로 나온 자기 계발 서적을 둘러보며 읽을 만한 것이 있을까 고민하던 차에 발견한 책입니다. 지금은 스테디셀러가 된 '그릿(GRIT)'이라는 책과 비슷한 점이 있으리라 생각하고 과연 책 내용을 어떻게 풀어냈을까 궁금하여 읽게 되었습니다.책 소개당신의 정체성에 ‘한 번 더’를 장착하라정체성 전환의 3가지 핵심 요소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믿음목적이 이끄는 삶새로운 연대 구축새로운 정체성을 창조해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한 번 더’ 매트릭스를 가동하라당신의 매트릭스는 당신이 보고 싶은 것을 보도록 도와준다. ‘한 번 더’ 생각하고 시도하는 사람이 가치를 지향하는 삶에 더 가깝다. 올바른 씨앗을 심어라. 생생한 계획을 세우고 끊임없이 반복 .. 2023. 2. 7. 한국 최초의 보일러 '온돌' 겨울 혹한 이길 '비장의 무기' 온돌방한국은 사계절이 뚜렷한 나라다. 여름과 겨울의 온도 차가 심하면 35~50도나 된다. 그렇다 보니 우리의 조상들은 추운 겨울을 나기 위해 치열하게 생존 방식을 찾아야 했다. 그렇게 나온 ‘기발한 해결책’이 온돌이다. 구들을 놓아서 방바닥을 따뜻하게 만드는 온돌 덕분에 혹한의 겨울을 이길 수 있었다. 조상들의 발명품인 이 온돌은 한국 특유의 난방 방식이 되었다. 온돌 방식은 지금도 시골집은 물론 도시 아파트 등에서도 널리 쓰인다. 온돌의 역사를 살펴보자.4세기 고구려 때 온돌 형태 갖춰져온돌 시스템 형태가 갖춰진 것은 4세기 초 고구려부터로 알려져 있다. 구당서(舊唐書)에 따르면 ‘그 풍속에 가난한 사람이 많은데, 겨울에 기다란 구덩이를 만들고 그 아래에 불을 때서 따.. 2023. 2. 7.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 2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