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효율2

일 잘하는 사람은 단순하게 합니다(박소연), 명확하게 일 잘하는 정의는? '일 잘하는 사람은 단순하게 합니다'를 읽고 정리한 내용을 소개합니다.일 잘하는 것의 핵심은 업무의 본질을 파악하고 진행 상황을 알 수 있게 하며 숫자로 말하는 것이다.이 책을 선택한 이유일 처리를 효율적으로 하는 방법을 찾아내기 위해서 이 책을 읽게 되었습니다.책 소개본질을 파악하여 정곡을 찌르다기획이란 불만족스러운 현실과 원하는 목표 사이의 간극을 줄여주기 위해 많은 사람이 고안해 낸 방식입니다. 문제를 만났을 때 답을 스스로 찾아나가는 기획력이 있는 사람과 남의 생각에 의지해야 하는 사람의 차이는 매우 큽니다. 단순하게 일하는 사람들은 기획할 때 세 가지 질문에 대답할 수 있도록 집중합니다.첫째, 목표는 무엇인가?둘째, 목표를 가로막는 진짜 문제는 무엇인가?셋째, 문제를 해결하고, 원하는 미래를 달.. 2024. 11. 17.
수능이 다가온다! 학습은 효율일까, 효과일까? 공부에서 대부분 효율을 중시한다필자는 학습 코칭 상담을 하다 보면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 고객을 상담하는 경우가 많다. 그들은 공부만큼은 누구보다 잘하고 싶은 열정적인 학습자이지만 성과는 좋지 못했다. 그들은 자기 학습의 문제점을 찾기 위해 많은 질문을 한다. 많은 질문을 듣고 필자는 한 가지 질문을 던진다. "효율과 효과 중 어떤 게 더 중요한가요?" 효율은 같은 시간 대비 높은 생산성을 의미한다. 효과는 정해진 목표에 달성된 정도를 의미한다. 두 단어는 비슷해 보이지만 반대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대부분 효율을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말한다. 문제는 바로 여기서부터 발생한다. 효율을 중시하는 것은 숲은 보지 못하고 나무를 보는 격이기 때문이다. 어려운 시험이거나 시험 준비 시간이 촉박할수록 제대로 된 .. 2024. 6.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