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미래교육411

청랑의 영숙어 84 원어민들이 회화로 자주 사용하는 숙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boil down to : "끓여서 졸이다"라고 해서 "요약해서 말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2) give the green light : "긍정적 신호를 주다"라고 해서 "허락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위 숙어를 이용해 여러분만의 문장을 하나씩 만들어 보세요! 2023. 11. 24.
청랑의 오늘 명언 : 여행에서 얻을 수 있는 것 여행을 좋아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새로운 환경을 체험하는 설렘, 먹어보지 못한 음식 경험 등 다양한 이유가 있습니다. 여행은 방문한 장소가 품고 있던 역사를 느끼게 해줍니다. 시간이 날 때 혹은 시간을 내서라도 여행을 가보세요.여행은 내 삶에 변화를 주는 방법의 하나입니다.르네 데카르트"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라는 유명한 말을 남긴 근대 프랑스 철학자 데카르트. 그는 태어나서 얼마되지 않아 죽음 직전까지 갔었다. 몸이 약했던 데카르트는 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했다. 또 아버지는 아들이 공부하기를 좋아해서 몸이 약해질까봐 학교도 보내지 않으려했다. 그럼에도 명석한 머리를 타고난 그는 학문에 관심이 높아 라프레쉬 학원에 들어가 8년간 공부한다. 대힉교에서는 법률학을 공부하여 법학 학위를 받았으며 수학에 .. 2023. 11. 24.
청랑의 어휘 끝장내기 : ced 오늘은 -ced라는 어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ced : 가다"라는 의미로 상태를 나타냅니다.여러분이 알고 있는 단어 중 상태를 나타내는 -ced가 들어가는 단어는 무엇이 있나요? 다른 어휘를 알고 싶다면 클릭하세요! 청랑의 어휘 끝장내기 : base오늘은 base라는 어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base : 아래에"이라는 의미로 방향을 나타냅니다.여러분이 알고 있는 단어 중 방향을 나타내는 base가 들어가는 단어는 무엇이 있나요? 다른 어휘를jadewolves.tistory.com 2023. 11. 23.
청랑 학습 코칭 23년 성인G 후기<4부> 학습의 완벽함을 추구하다 보니하루를 마무리하면서 항상 잘한 부분보다 못한 부분에만 집중되어 있었습니다. 그러다 패턴이 무너지면 회복하는 데 며칠이 걸리기 때문에 긍정적으로 하루를 마무리할 수 있는 미션을 제안했습니다. 자신에게 감사한 일 쓰기를 통해 회복 탄력성 상승일과에 대한 피드백을 통해 자신의 감정과 대면하게 하여 학습의 지속성을 유지하는 데 집중했습니다.  " data-og-description="미술 임용고시 혼자 준비하시면서 기간이 길어지자 심리적으로 많이 무너진 상태였습니다. 그로 인해 새로운 것에 흥미를 느끼고 있어 실행력이 빠른 장점까지 사라져 꽤 오랜 기간 회복이 필" data-og-host="jadewolves.tistory.com" data-og-source-url="https://.. 2023. 11. 23.
청랑의 오늘 명언 : 규칙적인 생활 습관의 중요성 규칙적인 생활 습관은 정말 중요합니다.삶의 질을 높이고 싶다면 수면의 질 향상이 필수입니다. 되도록 일찍 잠드는 습관을 들이고수면 시간을 일정하게 가져보세요! 일찍 일어나는 새가 벌레를 잡는다는 말도 있듯이새벽 시간을 활용하면 삶의 보너스를 얻는 것과 다름없습니다.벤자민 프랭클린벤자민 프랭클린은 미국에서 건국의 아버지라 불리는 인물 중 한 사람이다. 그는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나 배움이 길진 않았다. 가방끈이 짧았지만, 그는 항상 배움에 있어 주야를 가리지 않았고 어떤 분야든 성실히 배웠다. 프랭클린은 10개가 넘는 직업을 가졌었고 눈부신 성과를 낸 인물이다. 그렇다고 그의 시작이 쉬웠던 것은 아니다. 친형 밑에서 인쇄공으로 일하면 친형과 사이가 틀어졌고, 형이 프랭클린에 대해 안 좋은 소문을 내서 그가 .. 2023. 11. 23.
청랑의 영숙어 83 원어민들이 회화로 자주 사용하는 숙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in the wind : "바람 속에 있는"이라고 해서 "풍문이 있는"이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2) walk on air : "공중을 거다"라고 해서 "뛸 듯이 기쁘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위 숙어를 이용해 여러분만의 문장을 하나씩 만들어 보세요! 2023. 11.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