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청랑지식쌓기60

조선시대 인조와 관계 깊은 음식은? 인조의 잘못된 정책으로 휘청인 조선인조(仁祖)는 조선 16대 임금이다. 왜적의 침입으로 엉망이 된 조선을 수습하던 광해군(光海君)은 왕권 강화를 위해 정치적으로 위협이 되는 왕족들을 죽여야 했다. 광해군의 이런 정책에 불만을 품었던 서인들은 인조를 중심으로 반정에 성공한다. 인조는 전쟁으로 폐허가 된 나라를 살리기보다는 왕 노릇 하기에 여념이 없었다. 조선은 당파싸움으로 나라가 휘청였고 논공행상(論功行賞)에 불만의 품은 신하들은 반란을 일으켰다. 반란을 평정하자 이번엔 여진족이 침입했고 인조는 삼전도(三田渡)에서 굴욕적인 패배를 겪어야 했다. 조선은 왜란의 상처가 채 낫기도 전에 내부 반란과 더불어 호란까지 겹쳤다. 나라 살림은 더욱 피폐해졌고 백성들의 삶은 더욱 고달팠다. 그러나 인조의 잘못된 정책으로.. 2023. 6. 25.
속담에도 과학이 숨어 있다 <1부> 상황을 쉽게 이해하게 만드는 유용한 속담속담은 옛날부터 민간에서 전해 내려오는 쉬운 잠언이다. 어떤 상황을 속담이나 사자성어로 이야기하면 구구절절 입 아프게 말하지 않아도 되니 때론 유용하기도 하다. 속담 풀이를 하나하나 곱씹는 재미가 있지만 학생들은 시험을 위해 속담을 외우다 보니 뜻만 알고 넘어가기 쉽다. 속담 속에도 과학이 숨어있는 데 의미를 살펴보도록 하자.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소리는 차가운 방향으로 휘는 성질이 있다. 소리는 매질을 통해서 전달되는데 온도가 내려가면 분자 간의 거리가 좁아진다. 소리는 밀도가 조밀해진 차가운 공기 쪽으로 빠르게 전달된다. 낮에는 대지가 태양열을 받아 온도가 상승하기 때문에 지상에서 하는 말이 위쪽에서 더 잘 들리게 된다. 반면 밤에는 땅이 비열이 .. 2023. 6. 23.
와인은 어떻게 유럽을 대표하는 술이 되었을까? 다른 문화를 자국의 방식으로 발전시킨 로마로마는 기원전 753년에 이탈리아의 소도시에서 출발했다. 주변 도시를 정복하면서 지중해권까지 장악하며 유럽의 강자로 부상했던 로마는 그리스 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며 실용주의를 선택했다. 좋은 문화는 받아들여 자국 방식으로 발전시키는 형태가 로마의 번영을 가져왔다. 로마가 유럽사에 미친 영향은 수도 없이 많지만, 그중에 으뜸이라면 와인이 아닐까 생각한다. 그리스의 특산품인 와인을 유럽인이 사랑하는 술로 거듭나게 했던 로마 기술의 역사를 살펴보자. 전쟁 무기로 쓰인 나무통이 와인을 숙성시키다유럽의 유명한 와인 생산지에 가면 오크통을 볼 수 있다. 오크통에 와인을 담으면 나무 성분 분자가 와인에 녹아들어 함께 발효되면서 맛과 풍미를 한 번 더 끌어올리게 된다. 와인의.. 2023. 6. 20.
국가의 혈관 역할을 하는 것은? 문명 발전과 함께하는 도로의 역사도로의 역사는 인류 문명의 발전과 함께 시작되었다. 4대 문명(메소포타미아, 인더스, 이집트, 황하)의 발상지는 비옥한 토지와 강을 끼고 있어 많은 곡물을 수확할 수 있었다. 고대 인류는 먹는 게 가장 시급한 문제였고, 비옥한 토지에서 나오는 풍족한 작물은 굶주림을 해결해 주면서 많은 사람이 모이기 시작했다. 문명이 꽃을 피우고 지배계급이 생겨났으며 비옥한 땅을 차지하기 위해 전쟁을 했다. 정복한 영토에서 생산된 물자를 수송하기 위해 도로가 만들어졌고 말이나 소를 이용해서 운반했다. 도로가 잘 정비된 국가는 눈부신 성장을 이룰 수 있었다. 그러나 잘 정비된 도로는 전쟁 시 적군의 수도를 공략하기 쉬운 지름길이 되기도 했다.로마보다 도로 정비가 앞섰던 페르시아모든 길은 로마.. 2023. 6. 19.
와인과 맥주는 어떤 차이점이 있을까? 맛있는 음식과 좋은 풍경 그리고 술여름 더위가 지구 온난화 현상에 의해 빠르게 한국으로 찾아오고 있다. 따가운 햇볕을 피해 선선한 그늘에서 더위를 잠시 피하고, 저녁에는 활동하기 좋아 밖으로 나오면 노상 가게에서 파는 맛있는 음식 냄새에 홀려 시원한 술 한잔하게 되는 늦봄이다. 주머니 사정이 넉넉지 않은 사람은 편의점에서 가볍게 맥주 한두 캔을 사서 앉기 편하고 야경이 좋은 곳을 찾아 밤을 만끽한다. 이처럼 술은 인간사에서 떼려야 뗄 수 없는 존재다. 대표적인 술인 와인과 맥주 두 주종의 대립 역사를 알아보자. 고대 로마에서 시작한 와인과 맥주의 인식 차이고대 유럽 문화 중심지로 떠오른 로마는 지중해 강자로 부상하면서 정복 전쟁을 벌이게 된다. 로마는 식민지를 확장하면서 거기서 보내는 생활 물품으로 국가.. 2023. 6. 18.
고령화 사회에서 우리가 개선해야 할 문제점은? 고령화 사회, 노인 학대 늘어나의료 과학기술의 발전은 인간에게 양날의 검이 되었다. 인간이 장수하는 결과를 가져왔으나 몸이 쇠약한 나머지 의료 기계와 의료진에 의탁하며 침대에서 남은 삶을 유지하게 되었다. 노인을 위한 요양병원이 우후죽순 생기면서 연로하신 부모님을 병원에 맡기는 자식들도 늘어나고 있다. 최근 거동이 불편하고 쇠약한 노인을 간호하는 간호인이 업무 편의를 위해 해괴망측한 일을 저지른 일도 있었다. 설사를 자주 하는 노인의 항문에 30cm 기저귀를 넣었다는 뉴스만 보더라도 노인 학대가 부모와 미래의 자신에게도 닥칠 수 있는 일이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현대 노인 복지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있는데 과거에는 노인을 위한 어떤 복지들이 있었는지 알아보자. 노인을 위한 행사가 있던 고려고려시대에는 양로.. 2023. 6.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