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청랑 핵심 파악174

글의 핵심 파악하기 : 성공한 사람들의 기상 후 1시간 책의 일부 내용을 읽고 핵심 파악하는 연습을 해보세요!셰인 패리시Shane Parrish가 알려준 기막힌 팁이 있습니다. 생산성을 높이고 싶다면 일찍 일어나라는 것입니다. 이 조언에 따라 제가 결정한 제 기상 시간은 아침 8시쯤입니다. 규칙이 하나 더 있습니다. 아침에 뭔가 일을 하나 해놓고 나서 이메일을 확인하자는 거죠. 샤워, 장거리 달리기, 떠오르는 생각을 노트에 적어두기 등등 다양한 일을 할 수 있습니다. 저는 대개 글을 씁니다. 한두 시간 정도요. 샤워를 하고 서재에 내려가 자리를 잡고 앉아서 쓰는데 이렇게 생산적인 아침을 보내면 나머지 일과는 술술 흘러갑니다. 알찬 아침 이후에는 다 덤인 거죠. 루틴이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하나둘 더하고 각색해 나가는 것입니다. 지금의 루틴을 만들기까지 약 8.. 2024. 10. 11.
글의 핵심 파악하기 : 조직을 민첩하고 유연하게 바꾸는 애자일 전략 책의 일부 내용을 읽고 핵심 파악하는 연습을 해보세요!애자일 실무자는 혁신적인 해법을 예측하고 지시하고 통제하는 관리자의 능력에 대해 유난히 회의적이다. 특히 무엇을 전달해야 할지, 어떻게 전달해야 할지 모호한 상황에서는 더 그렇다. 사고 실험을 해보자. 당신이 미네소타에서 플로리다까지 달리는 자율주행차를 설계하는 임무를 맡았다고 하자. 당신에게는 두 가지 옵션이 있다. 첫 번째는 차량과 관련된 의사결정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미네소타에서 플로리다 사이에 있는 도로의 모든 세부 조건을 연구해서 모든 갈림길, 신호 변화, 길을 건너는 행인이나 사슴, 교통사고, 날씨를 예측한다. 시운전 중에 자동차 사고가 일어나면(불가피한 일), 더 열심히 일해서 예측 기술을 개선하라는 지시가 내려올 것이다. 하지만 더 열.. 2024. 10. 10.
글의 핵심 파악하기 : 내가 공부하는 이유 책의 일부 내용을 읽고 핵심 파악하는 연습을 해보세요!『논어』를 보면 공자가 스스로를 ‘공부를 좋아하는 사람’이라고 정의하는 부분을 굉장히 많이 찾아볼 수 있다. 공자의 제자 자로에게 누군가 “당신의 스승은 어떤 사람입니까?”라고 물은 적이 있다. 자로는 그 말에 대답을 하지 않았다. 질문한 사람의 성품이 마음에 들지 않아서 스승에 대해 길게 이야기를 하고 싶지 않았던 것이다. 자로가 나중에 스승 공자에게 이 이야기를 전하자 공자는 이렇게 말했다. “너는 왜 이렇게 말하지 않았느냐? 나는 무언가를 배울 때는 온 마음을 다해 먹는 것도 잊어버리고, 그 배움이 즐거워서 모든 근심 걱정도 잊어버린다. 그뿐인가. 나이가 들어서 늙음이 찾아오는 것조차 알지 못할 정도다.” ‘공부하는 사람’이라는 말 이외에 자신을.. 2024. 10. 9.
글의 핵심 파악하기 : 아이디어를 사업으로 성공시키는 법 책의 일부 내용을 읽고 핵심 파악하는 연습을 해보세요!사업이라는 것이 언제나 일직선을 그리며 쭉쭉 올라가는 것은 아니다. 알파벳 ‘S’자를 옆으로 기울인 듯한 S자 곡선을 수차례 반복하지 않으면 성장을 이어가지 못한다. S자 곡선은 처음에는 완만하게 올라가다가 급격하게 올라가고 또다시 기울기가 점점 완만해져 한계점에 도달하는 패턴의 선을 그려나가기 때문이다. 만약 S자가 하나라면 한계점에 도달하는 시점에 성장은 멈춰버린다. 그러므로 S자를 계속해서 만들어나가야 한다. S자 곡선은 모든 과정이 지나가고 나서 과거를 뒤돌아볼 때 비로소 S자였음을 알 수 있는 것이므로 그 과정 중에 있을 때에는 지금이 어떤 상태인지를 알 수 없다. 가장 위험한 때는 S자 곡선의 최종 단계, 즉 성장이 완만해져 한계점에 도달하.. 2024. 10. 8.
글의 핵심 파악하기 : 나는 왜 생각이 많을까? 책의 일부 내용을 읽고 핵심 파악하는 연습을 해보세요!소원이나 고민을 글로 쓰면 좋다고 한다. 혹자는 이 말이 근거 없는 정신론이라고 생각하겠지만 실제로 ‘인지행동요법’으로 쓰이는 방법이며, 특히 불안감을 해소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있다. 감정이나 생각을 글로 쓰는 게 좋은 결과로 이어지는 걸까? 계속 말하지만 부정적인 감정은 뇌의 ‘대뇌변연계’라는 부분에서 생겨난다. 이 부정적인 감정을 억제하는 것은 ‘생각하는 뇌’인 ‘대뇌신피질’이다. 즉, 감정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이 대뇌신피질을 어떻게 활성화시키느냐가 관건인 셈이다. 글을 쓸 때 포인트는 ‘통찰언어’를 사용하는 것이다. 통찰언어란 생각한다, 느낀다, 이해한다 등과 같은 사고나 이해에 관련된 말로 이런 언어를 많이 사용한 사람일수록 .. 2024. 10. 7.
글의 핵심 파악하기 : 넛지 책의 일부 내용을 읽고 핵심 파악하는 연습을 해보세요!이런 가정을 해보자. 당신은 지금 심한 심장병을 앓고 있고 의사가 수술을 권한다. 그런데 이 수술은 엄청나게 어렵고 힘들다. 이런 상황이라면 이 수술의 생존 가능성이 얼마나 되는지 궁금할 수밖에 없다. 그래서 당신은 의사에게 묻고, 의사는 “이 수술을 받은 사람 100명 가운데 90명은 5년 뒤까지 생존합니다”라고 말한다. 자, 그렇다면 당신은 어떻게 하겠는가? 의사가 한 말에 위안받아 당신은 두려움 없이 그 수술을 받을 것이다. 그런데 그 의사가 하는 답변의 틀을 다소 다르게 짠다고 생각해보자. 예를 들어 의사가 “이 수술을 받은 사람 100명 가운데 10명은 5년을 넘기지 못하고 사망합니다”라고 말한다면 어떨까? 이 경우 당신은 사람들이 대부분 그.. 2024. 10.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