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핵심파악하기144

글의 핵심 파악하기 : 블랙 쉽 책의 일부 내용을 읽고 핵심 파악하는 연습을 해보세요!좋은 결정을 하려면 다음의 세 가지를 기억해야 한다. • 핵심 가치(타협할 수 없는 것)를 파악하라. • 모든 사실을 고려하라. • 순간의 감정을 존중하라. 나는 이것을 ‘의사결정사슬decision supply chain’이라고 부른다. 과정은 아주 간단하다. 좋은 결정을 내리는 과정에는 세 가지 기본 단계가 있다. 각 단계를 모두 거치고 나면, 결과와 상관없이 올바른 결정을 내릴 수 있다. 속 간달프나 속 글린다가 아닌 이상 누구도 결과를 통제할 수 없다. 당신이 통제할 수 있는 것은 오직 의사 결정 과정에 개입하는 목적의식뿐이다. 한번 내려진 결정은 이미 결정자의 손을 떠난 것이다. 당신이 통제광이라면, 방금 읽은 내용을 생각만 해도 손.. 2024. 10. 25.
글의 핵심 파악하기 : 외우지 않는 기억법 책의 일부 내용을 읽고 핵심 파악하는 연습을 해보세요!여러분은 책을 사면 어디서부터 읽기 시작하는가? “어디서부터 읽다니, 처음부터 읽는 게 당연하잖아?” 이렇게 말한다면 책을 읽어도 내용을 잘 잊어버리는 사람일지도 모른다. 필자는 책을 사면 먼저 목차를 본다. 책의 전체상을 파악하기 위해서다. 다음은 목차의 예비 정보를 바탕으로 책장을 띄엄띄엄 넘기며 훑어본다. 그리고 내가 읽어보고 싶은 부분, 재미있어 보이는 곳을 발견하면 바로 그 부분부터 읽기 시작한다. 띄엄띄엄 책장을 넘기다가 어느 곳에서는 멈추어 찬찬히 읽는다. 그것을 수차례 반복하면 불과 5분 정도에 그 책의 가장 재미있는 부분, 내가 가장 알고 싶었던 부분을 다 읽게 된다. 단 5분 만에 적당한 정도의 지적 포만감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 2024. 10. 24.
글의 핵심 파악하기 : 실패가 두려운 완벽주의자를 위한 심리학 책의 일부 내용을 읽고 핵심 파악하는 연습을 해보세요!심리적 방아쇠를 말하는 ‘트리거trigger’ 또는 ‘트리거가 작동하다being triggered’(고통스러운 기억이 되살아나는 것을 말함–옮긴이)라는 말은 보통 부정적인 의미로 해석된다. 누구든 할 수만 있으면 트리거가 일으킨 가면 감정에서 벗어나 마음의 안정을 찾고 싶을 것이다. 트리거가 작동하는 현상이 나쁘거나 잘못된 일은 아니다. 불쾌함을 유발하는 자극이 일어날 때 이에 대응하려는 인간의 자연스러운 반응일 뿐이다. 당신도 트리거가 작동해서 잊고 싶은 트라우마나 극도의 스트레스 상황이 머릿속에 떠오르면 격렬하게 반응할 수 있다. 트리거가 작동하는 일이 불쾌한 경험이기는 해도 자신이 어떤 상황에서 불편함을 느끼는지 찾을 수 있는 엄청난 단서를 제공.. 2024. 10. 23.
글의 핵심 파악하기 : 하루 5분, 뇌력 낭비 없애는 루틴 책의 일부 내용을 읽고 핵심 파악하는 연습을 해보세요!요즘은 취미 원데이 클래스나 부업하기 등 오프라인/온라인으로 많은 강의가 있다. ‘비싼 강의니까 하나도 빠짐없이 다 듣고 배우려고 해야지’라며 잔뜩 긴장하고 강의 듣는 사람이 있다. 이렇게 열정적이고 적극적인데 강의 후 이야기해보면 내용을 깊이 이해 못하고 있는 경우가 허다하다. 왜일까? 뇌는 한 번에 세 개의 정보밖에 처리하지 못한다. 그 이상 처리하려고 하면 과부하 걸려서 모조리 잊어버리고 만다. 기본적으로 뇌의 용량은 아주 크다. 다만 뇌의 작업 공간, 즉 워킹 메모리는 그리 크지 않다. 따라서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용량도 많지 않다. 마치 한 번에 나를 수 있는 접시 개수가 세 장으로 한정되어 있는 것과 같다. 정보를 채운 세 장의 접시를 .. 2024. 10. 22.
글의 핵심 파악하기 : 인정욕구 책의 일부 내용을 읽고 핵심 파악하는 연습을 해보세요!인정욕구에 휘둘리지 않기 위해서는 절친한 사람과 진솔하고 깊은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인정욕구는 서로 솔직하게 속마음을 보여줄 수 있는 관계 속에서 건강하게 채워질 수 있습니다. 채워진 인정욕구는 사람을 부추기지 않으므로 인정욕구에 휘둘리거나 인정중독에 빠질 일도 없지요. 문제는 자신을 솔직하게 보여주면서 관계를 맺기가 쉽지 않다는 점입니다. 나를 거짓 없이 드러내고 싶지만 드러내기가 무섭다는 심리가 작용합니다. 이른바 자기제시를 둘러싼 갈등이지요. 자기제시는 자신의 생각이나 경험을 솔직하게 보여주는 행위인 동시에 심리적 거리의 기준점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서로를 얼마나 알고 있는지에 따라 심리적 거리를 짐작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인간관계.. 2024. 10. 21.
글의 핵심 파악하기 : 150년 하버드 사고력 수업 책의 일부 내용을 읽고 핵심 파악하는 연습을 해보세요!“이래서는 정말로 좋은 생각이 떠오르지 않는다. 이제 안 되겠다, 하고 반쯤 포기한 참에서 포기하지 말고 다시금 계속 생각해나가면 훌륭한 착상을 얻을 수 있다. 서둘러서는 안 된다. 어떠한 경우에도 쉽사리 포기하지 않는 끈기가 필요하다.” 일본의 저명한 언어학자 도야마 시게히코 선생의 조언입니다. 포기하지 않고 좋은 생각을 찾고 만들고 기다릴 줄 아는 내성이 필요합니다. 이를 ‘인지 내성’이라 합니다. 샌프란시스코주립대학 로널드 퍼서 교수는 당장은 배를 불리지만 오래 건강을 유지하는 데는 도움이 되지 않는 식탐 같은 ‘쉬운 해답’이 아니라고 말합니다. 우리에게 필요한 모범 답안은 어려운 질문을 받아들여 진득하게 탐구할 때나 가능하다고 인지 내성의 힘을.. 2024. 10.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