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핵심파악하기144

글의 핵심 파악하기 : 내일을 바꾸는 인생 공부 책의 일부 내용을 읽고 핵심 파악하는 연습을 해보세요!우리가 피터 드러커로부터 배워야 하는 것은 바로 어떻게 목표 달성 능력을 배울 수 있는지에 대한 통찰입니다. 그는 원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지능, 상상력, 지식이 모두 필요하지만 그것을 꿰는 실은 바로 ‘목표 달성 능력’이라고 말합니다. 피터 드러커는 실천하지 않는 지식은 무용지물이라고 지적합니다. 실천과 생각하기는 톱니바퀴처럼 맞물려서 돌아가야 합니다. 실천하기 전에 이런 것들을 고민하고 필요하면 계획서를 만들어 작성해야 합니다.앞으로 내게 주어진 시간을 어떻게 활용할지가 먼저 고민의 대상입니다. 그리고 바라는 결과와 예상되는 제약을 반드시 고민해야 합니다. 물론 미래는 언제나 그렇듯 돌발변수가 생겨 원하는 대로 흘러가는 것은 아니지만 이런 .. 2024. 9. 5.
글의 핵심 파악하기 : 지치지 않는 힘 책의 일부 내용을 읽고 핵심 파악하는 연습을 해보세요!점심식사 자리에서 한 학생이 학교에서 대학원생실에 대형 에어컨을 설치해줬다고 했다. 그래서 내가 교수들은 에어컨 구입과 전기료를 각자 부담하는데, 학교가 학생들을 많이 배려해주는 것이라고 하자, 그 학생은 “정말요? 우리가 공부를 더 열심히 해야겠네요”라고 말했다. 그런데 그 옆의 학생이 대뜸 이렇게 대꾸했다. “야, 우리는 등록금을 내잖아!” 제가 쓴 책 《끌리는 사람은 1%가 다르다》 중에서 감사의 마음이 인간관계와 비즈니스에 얼마나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다룬 주제 ‘당연한 일에서도 감사할 일을 찾아보라’의 앞부분입니다. 책이 나온 후 저는 후자의 대학원생을 연구실로 불렀습니다. 제 사인을 한 책 한 권을 건네며 이 책 속에 자네 얘기가.. 2024. 9. 2.
글의 핵심 파악하기 : 아침이 달라지는 저녁 루틴의 힘 책의 일부 내용을 읽고 핵심 파악하는 연습을 해보세요!우리는 앞에서 우리에게 주어진 시간을 촘촘하게 기록하는 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제는 그 기록을 활용할 차례다. 그 어떤 시간보다 저녁 시간은 잠깐 틈을 주면 금방 사라져버린다. 그렇기 때문에 저녁 시간을 알뜰하게 활용하고 싶다면,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일을 하는 루틴을 만드는 것이 좋다. 어느 시간대에 어떤 일을 하면 가장 효율적일지 알아보려면, 데일리 플래너를 쓰면서 집중도를 같이 기록하면 된다. 데일리 플래너에 기록하며 살펴본 결과 나는 오전에는 체력적인 에너지가 높아 몸을 쓰는 일이 잘 되는 편이고, 저녁에는 크리에이티브한 일이 잘 되는 편이었다. 그래서 운동은 아침에, 영상 편집이나 글 쓰는 일은 저녁에 주로 한다. 이렇게 본인에 맞게 계획적.. 2024. 8. 30.
글의 핵심 파악하기 : 하버드 첫 강의 시간관리 수업 책의 일부 내용을 읽고 핵심 파악하는 연습을 해보세요!시인이자 소설가이자 피아니스트인 애리스톤은 자투리시간을 잘 활용했다. 14살 때, 그의 피아노 스승이 수업시간에 물었다. “매일 몇 시간 동안 피아노를 치는가?” “서너 시간 정도 칩니다.” “한 번에 얼마 정도 치는가? 한 시간 정도인가?” “그렇습니다. 그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지 말게나. 자네가 좀 더 크면 그만큼 긴 시간적 여유가 없을 것이네. 앞으로는 여유가 있을 때 피아노를 연습하게. 예를 들면 학교에 가기 전, 점심시간, 하교 후가 되겠지. 자투리시간을 틈틈이 이용해서 피아노를 치면 피아노는 자네에게 없어선 안 될 부분이 되어 있을 것이네.” 애리스톤은 콜롬비아대학에서 강의하고 남는 시간에 문예창작을 하고 싶었다. 하지만 수업하고.. 2024. 8. 26.
글의 핵심 파악하기 : 레버리지 독서 책의 일부 내용을 읽고 핵심 파악하는 연습을 해보세요!지금까지는 소설책 또는 철학책 이야기를 주로 했다. 내가 살펴본 독서 애호가들은 이런 책을 꾸준히 읽다 자신의 마음을 사로잡거나 영감을 준 아이디어를 우연히 찾아내 새로운 사고방식으로 전환하는 듯하다. 그런데 자신이 원하는 것을 분명하게 아는 독서가들도 있다. 이런 사람들은 자신의 아이디어와 밀접하게 관련된 책을 도서관 서가에서 찾는다. 새로운 아이디어를 발굴하려는 게 아니다. 사실을 확인하고 구체적인 방법 및 세부 사항을 파악하려는 것이다. 소설 작품은 일요 신문, 수상작 발표문, 들뜬 미디어에서 열렬한 논평을 받는다. 반면 많은 독서 애호가는 도서관 서가에 놓인, 소설보다 훨씬 더 두터운 분량의 참고서적에서 정신적 지주를 찾아내 자신의 직관과 연결.. 2024. 8. 23.
글의 핵심 파악하기 : 회복탄력성 책의 일부 내용을 읽고 핵심 파악하는 연습을 해보세요!회복탄력성을 높이려면 내 삶에서 일어나는 모든 사건들을 보다 더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뇌가 필요하다. 무의식적인 수준에 자동적으로 내가 겪는 경험에 긍정적인 스토리텔링을 해주는 ‘기억하는 자아’가 필요한 것이다. 이러한 긍정적이고도 회복탄력적인 뇌는 훈련을 통해서 얻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회복탄력성은 뇌에 새겨진 습관의 문제다. 긍정적 스토리텔링을 하는 습관이 나의 뇌에 들도록 훈련해야 한다. 이는 뇌의 긍정적 정보처리 루트를 활성화한다는 뜻과 같다. 나에게 일어나는 크고 작은 고민거리나 어려운 일들을 순간순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대처할 수 있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습관을 들인다는 것은 어떠한 대상이나 사건에 대해 뇌가 자동적으로 반응하는 .. 2024. 8.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