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집중력15

달리기, 몰입의 즐거움(미하이 칙센트미하이), 달리기와 몰입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 '달리기, 몰입의 즐거움'을 읽고 정리한 내용을 소개합니다.달리는 행위에 푹 빠져서 그 자체가 즐거운 무아지경의 경지에 이르는 것이 몰입이다.책을 읽고 싶게 만든 목차6장 일상적인 달리기와 몰입책 소개달리기와 몰입 경험달리기를 하면 다양한 상황에서 몰입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기고 몰입을 경험하는 빈도가 높아진다. 산길이나 시골길을 달릴 경우 기술적으로 넘어서야 할 과제들과 맞닥뜨리지만, 동시에 눈앞에 펼쳐진 풍경은 불안한 마음을 가라앉혀주고 생각을 가다듬게 한다. 해변에서 달리면 파도 소리 때문에 명상하듯 생각에 열중하게 된다. 평지를 달릴 때도 한발 한발 내딛는 리듬과 함께 찾아오는 가뿐한 기분에 푹 빠지면 큰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 몰입의 경험은 우리의 의식에도 영향을 준다. 몰입을 경험하면 .. 2024. 11. 25.
뇌를 위한 최소한의 습관(피터 홀린스), 두뇌 정비하는 방법은? '뇌를 위한 최소한의 습관'을 읽고 정리한 내용을 소개합니다. 뇌 자체를 훈련할 수는 없지만 뇌를 자극하는 방법으로 훈련할 수는 있다.이 책을 선택한 이유몰입을 하기 위한 조건으로 습관이 있는데 어떤 습관을 들이면 좋을지 알고 싶어서 이 책을 읽게 되었습니다.책 소개신경 건강 : 땀을 흘리면 뇌도 건강해진다몸이 건강해지려면 신경도 건강해진다. 두뇌만을 특정해서 훈련할 수는 없을지라도, 우리 몸을 특정 방식으로 훈련하면 원하는 결과를 거둘 수 있다. 신체 건강의 첫 단계는 땀을 흘리는 활동을 주기적으로 하는 것이다. 특히 유산소 운동이어야 한다. 유산소 운동이 높은 수준의 인지 기능과 기억력을 담당하는 뇌 영역을 키우고, 심지어 인지 저하와 뇌 질환을 예방한다는 연구 결과들도 나와 있다. 마음챙김과 명상은.. 2024. 11. 21.
소리 내어 읽기의 힘(임미진), 낭독의 힘은? '소리 내어 읽기의 힘'을 읽고 정리한 내용을 소개합니다. 낭독하면 내 목소리를 듣게 되면서 잡생각이 사라지고 집중력이 생긴다.이 책을 선택한 이유집중력을 높이기 위한 방법을 알기 위해 이 책을 읽게 되었습니다.책 소개소리 내어 읽으면 달라지는 것들좋은 내용을 말하며 목소리를 닦아 나가야 합니다. 좋은 말만 하며 살 수 없다면 좋은 글이라도 소리 내 읽어 나와 내 소리를 맑고 깊게 유지하도록 단련해야 합니다. 소리 내 읽다 보면, 그래서 글에 조금씩 집중하게 되면 잡생각에 빠질 여유가 없습니다. 실제 ‘낭독의 효과’를 실험한 여러 조사에서 시각과 함께 청각, 발성과 조음기관 등 여러 기관을 동시에 사용하는 낭독이 글을 눈으로만 해독하는 묵독보다 뇌의 더 다양한 부분을 더 넓게 활성화시킨다는 것이 입증됐습.. 2024. 11. 14.
틀을 깨는 사고력(양첸룽), 새로운 시대에는 어떤 생각법이 필요할까? '틀을 깨는 사고력'을 읽고 정리한 내용을 소개합니다. 시대와 환경이 변하면 기존의 익숙한 방식에서 새로운 방식으로 생각하는 연습을 해야 한다.이 책을 선택한 이유시대가 변하면 어떻게 생각해야 하는지 배우고 싶어서 이 책을 읽게 되었습니다.책 소개개인의 능력만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세상이 도래하다모든 사람이 똑같은 것을 100% 정확하게 외우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 개개인의 주장과 경험이야말로 매우 소중하고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다. 지금은 과학 기술의 시대로, 외우는 것은 컴퓨터가 대신할 수 있다. 하지만 끊임없이 발생하는 새로운 도전 상황은 컴퓨터도 해결할 수 없고, 오로지 인간의 창의적인 생각과 협력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하나의 정답을 암기하는 방식을 ‘퍼즐 맞추기’라는 개념으로 대체하는 것.. 2024. 11. 1.
글의 핵심 파악하기 : 3시간 수면법 책의 일부 내용을 읽고 핵심 파악하는 연습을 해보세요!예를 들어, 당신은 다음과 같은 경험을 해 본 일은 없는가? 수영이나 테니스를 지치도록 하고도, 일이 있어 늦게 잠자리에 들었다. 이튿날 아침에는 평상시보다도 일찍 잠이 깼는데 오히려 새사람처럼 상쾌한 기분으로 일어날 수가 있었다. 또는 밤늦게까지 공부를 하고 곯아떨어졌는데도 아침에 잠을 깨 보니 머릿속이 말할 수 없이 개운하더라는 것과 같은 경험 등등. 이것으로도 알 수 있듯이 피로가 심하면 그만큼 잠도 깊이 들며, 깊은 수면을 취하면 단시간의 잠이라도 눈을 떠서 상쾌한 기분을 느끼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잠을 나는 가장 자연스러운 잠이라고 해석하고 싶다. 잠자고 있는 동안 두뇌도 육체도 완전한 해방 상태에 놓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깊은 잠을 얻기 .. 2024. 10. 4.
글의 핵심 파악하기 : 의욕과 집중력이 생기는 공부법 책의 일부 내용을 읽고 핵심 파악하는 연습을 해보세요!자신의 노력이 눈에 보이는 형태가 되면 우리는 의욕이 생기고 일에 한층 더 매진할 수 있다. 공부도 마찬가지다. ‘학습 성과’로서 가장 알기 쉬운 것이 ‘표준점수’다. 표준점수가 오르면 당연히 공부할 의욕도 생긴다. 그러나 좀처럼 오르지 않는 것이 표준점수다. 표준점수의 상승을 실감하기까지는 대부분의 과목에서 공부한 지 최소 3개월이 걸린다. 그러나 표준점수 외에도 공부하기에 따라 그 성과를 눈으로 보이는 형태로 ‘시각화’할 수 있다. 예컨대 매일의 공부 시간을 스톱워치로 기록하고, 그 결과를 노트에 적는 ‘공부 일기’가 있다. 예금통장처럼 공부 시간의 합계가 차츰 불어가는 모습은 보기만 해도 공부할 의욕을 향상시키는 데 안성맞춤이다. 단지 공부 시간.. 2024. 9.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