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랑 국어 식견1223

한자 부수 스토리 : '기운 기(气)', '물 수(水)' 한자 부수의 유래 본래는 수증기나 김이 피어오르는 모양에서 유래한 상형자입니다.기체, 에너지, 숨결, 보이지 않는 힘과 관련된 의미로 확장되었습니다. 气이 포함된 대표 한자 예시氣(기운 기)米(쌀 미) + 气(기운 기)밥을 먹으면 기운이 올라온다한자 부수의 유래 갑골문에서 물이 흐르는 모습이 중앙 줄기에 좌우로 튄 물방울을 형상화한 상형자입니다.흐름, 유동성, 생명력 등의 상징으로 물, 액체, 흐름, 세척, 자연현상 관련 글자에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水이 포함된 대표 한자 예시河(물 하)氵(물 수) + 可(옳을 가)물이 바르게 흘러가는 곳청랑이 추천하는 다른 한자를 알고 싶다면 클릭하세요! 2025. 4. 23.
한자 부수 스토리 : '터럭 모(毛)', '성 씨(氏) 한자의 부수 유래갑골문에서 가늘고 흩어진 털이 난 모양에서 유래한 상형자입니다.깃털은 가늘고 촘촘함이란 개념까지 확장 되어 동물의 털, 가는 섬유와 관련된 의미로 쓰이고 있습니다. 毛이 포함된 대표 한자 예시毯(담요 담)毛(터럭 모) + 炎(불꽃 염)불처럼 따뜻한 털이다 한자 부수의 유래 갑골문에서 가계의 기호나 깃발에서 유래한 것으로 원래는 귀족 씨족 단위를 뜻합니다.이후 성(姓)과 연결되어 가문, 혈통, 성씨, 계보와 관련된 글자에 사용되었습니다. 氏이 포함된 대표 한자 예시民(백성 민)氏(성 씨) + 丶씨족 구성원을 의미하는 백성 청랑이 추천하는 다른 한자를 알고 싶다면 클릭하세요! 한자 부수 스토리 : '말 무(毋)', '견줄 비(比)한자 부수의 유래갑골문에서 아이를 안고 젖먹이는 여인의 모습에서.. 2025. 4. 21.
트럼프 대통령 관세정책 인플레이션 ‘초래하다’, ‘발생하다’? 청랑의 어휘력 높이기오늘은 ‘초래하다’와 ‘발생하다’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단어 정의와 차이점‘초래하다’와 ‘발생하다’는 모두 어떤 일이 생기는 것을 나타내는 말이지만, 쓰임의 관점과 문장의 구조에서 차이가 있습니다.‘초래하다’는 어떤 원인이나 행동이 결과를 불러오는 것을 의미합니다.‘발생하다’는 사건이나 현상이 저절로 일어나는 것을 말합니다.실제 예시초래하다:“과도한 스트레스는 건강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특정 원인에 의해 문제가 생긴 상황입니다.발생하다:“지하철 고장으로 인해 전동차 지연이 발생했다.”→ 상황이나 현상이 일어난 것을 설명합니다.어휘 활용 팁‘초래하다’는 주어가 원인 제공자이며, 목적어로 부정적인 결과가 오는 경우가 많습니다.‘발생하다’는 사건 자체가 주어가 되어 쓰이며,.. 2025. 4. 21.
헷갈리는 우리말 : 러시아 이번에 폴란드 ‘침공하다’, ‘침략하다’? 청랑의 어휘력 높이기 : 오늘은 ‘침공하다’와 ‘침략하다’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단어 정의와 차이점‘침공하다’와 ‘침략하다’는 모두 다른 나라의 땅이나 영역을 무력으로 공격하는 것을 말하지만 의미의 강도와 시각, 도덕적 판단에 차이가 있습니다.‘침공하다’는 군사적으로 남의 영토에 쳐들어가는 행위를 비교적 중립적으로 표현한 말입니다.‘침략하다’는 부당하고 공격적인 의도를 가지고 남의 나라를 침범하는 행위를 말하며, 명백한 부정적 평가를 담고 있습니다.실제 예시침공하다 :“러시아는 2022년 우크라이나를 전면 침공했다.”→ 여기서 ‘침공하다’는 사실 중심의 기술로 사용됩니다.침략하다 :“일제는 한국을 무력으로 침략했다.”→ 이 문장은 부당한 공격성과 지배욕을 강하게 비판하는 표현입니다.어휘 활용 팁.. 2025. 4. 19.
한자 부수 스토리 : '말 무(毋)', '견줄 비(比) 한자 부수의 유래갑골문에서 아이를 안고 젖먹이는 여인의 모습에서 유래하여 입과 가슴이 강조된 모양으로 후에 부정·금지의 뜻도 파생되었습니다. 毋이 포함된 대표 한자 예시母(어머니 모)毋 + 점 두 개 추가젖을 물리는 모양이 어머니 같다한자 부수의 유래 갑골문에서는 사람 두 명이 나란히 앉아 있는 모양을 본떠서 둘을 맞대어 보는 행위를 통해 비교 또는 상호관계, 짝지음의 의미로 확장되었습니다. 比가 포함된 대표 한자 예시皆(다 개)比(견줄 비) + 白(흰 백)비교해서 차이가 없이 하얗다. 청랑이 추천하는 다른 한자를 알고 싶다면 클릭하세요! 한자 부수 스토리 : '살 바른 뼈 알(歹)', '창 수(殳)한자 부수의 유래 갑골문에서 부러진 뼈 또는 죽은 사람의 뼈를 묘사한 형상화했습니다. 사람이 죽은 후 남은.. 2025. 4. 19.
헷갈리는 우리말 : 공직에 나서는 두 가지 표현, ‘출사’ vs ‘출마’ 청랑의 어휘력 높이기:오늘은 ‘출사하다’와 ‘출마하다’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단어 정의와 차이점‘출사하다’와 ‘출마하다’는 모두 어떤 자리에 나서다는 뜻을 갖지만, 사용되는 맥락과 대상이 다릅니다.‘출사하다’ 는 관직이나 공직에 나아가다, 또는 그 일을 시작하다는 뜻입니다.‘출마하다’ 는 선거에 후보로 나서다, 즉 공식적인 선거에 참여하다는 뜻입니다.실제 예시출사하다 : “그는 오랜 연구를 마치고 마침내 관직에 출사했다.”→ 이 문장은 공직 생활을 시작함을 의미합니다.출마하다 : “그는 다음 총선에 서울 지역 후보로 출마한다고 선언했다.”→ 여기서는 선거에 나서는 것을 말합니다.어휘 활용 팁‘출사하다’와 ‘출마하다’를 구별하려면 단순한 공직 입문인지, 선거를 통한 참여인지를 구분하면 됩니다.‘출.. 2025. 4. 15.
한자 부수 스토리 : '살 바른 뼈 알(歹)', '창 수(殳) 한자 부수의 유래 갑골문에서 부러진 뼈 또는 죽은 사람의 뼈를 묘사한 형상화했습니다. 사람이 죽은 후 남은 것을 상징하여 죽음, 파괴, 해골, 악(惡) 등의 뜻으로 확장되었습니다. 歹이 포함된 대표 한자 예시死(죽을 사)歹(살바른 뼈 알) + 匕(비수 비)뼈가들어날 정도로 말라서 죽음이 가깝다한자 부수의 유래 갑골문에서 막대기 형태의 무기를 형상화한 글자입니다. 손잡이가 있는 몽둥이 또는 창(수병기)를 의미하여 공격, 훈계, 지도 등의 뜻으로 확장되었습니다. 殳이 포함된 대표 한자 예시設(베풀 설)言(말씀 언) + 殳(창 수)말하며 막대기를 세운다하여 설계하다 청랑이 추천하는 다른 한자를 알고 싶다면 클릭하세요! 한자 부수 스토리 : '날 일(日)', '가로 왈(曰)한자 부수의 유래 갑골문에서 태양(해).. 2025. 4. 14.
오늘의 책 : 거래의 기술 - 트럼프 대통령 관세 정책 '거래의 기술' 을 읽고 정리한 내용을 소개합니다.책을 읽고 싶게 만든 목차4장 신시내티 촌놈 부동산 사업에 눈뜨다책 소개거래는 예술이다:나의 일주일트럼프는 돈 때문에 거래를 하는 것이 아니다. 거래를 통해서 인생의 재미를 느낀다. 그는 대략 6시쯤 일어나 신문을 보고 9시에 회사를 출근하며 하루 평균 50통의 전화를 받는다. 이렇게 일주일을 보내면서 주말을 쉰다. 부동산 재벌이라 불리는 트럼프의 일주일은 여유로우면서도 중요한 일에 집중하는 시간을 기록해두었다. 트럼프는 그 순간에 집중하고 있었다.나의 사업 스타일:11가지 원칙트럼프는 거래 성사 방식이 간단하다. 목표는 높게 잡되 달성을 위해 전진만 할 뿐이다. 자신은 거래를 성사시키는 능력은 천부적인 것이라 생각한다. 그는 크게 생각한다. 남들은 작은.. 2025. 4. 13.
경북 영덕 산불에 위험에도 주민을 구한 외국인, '견마지로' 실천 고사성어의 의미와 유래견마지로는 개와 말의 수고라는 뜻으로 자신을 낮추어 충성을 다하고 헌신하는 수고로움을 이르는 말입니다. 《사기(史記)》, 《한서(漢書)》 등 고대 중국의 역사서에서 신하가 황제에게 충성을 맹세할 때 종종 이렇게 말했습니다. “신은 개나 말처럼 미천한 존재이오나, 충성을 다하겠습니다.”이후에는 타인을 위해 헌신하는 수고를 겸손하게 표현할 때 널리 사용되게 되었습니다.이슈에서 살펴보는 의미경북 영덕 산불 현장에서 마을 주민들을 대피시킨 인도네시아 국적의 선원 수기안토씨에게 법무부가 장기 거주(F-2) 자격 부여를 검토 중입니다. 김석우 법무부 장관 직무대행은 수기안토 씨의 공로를 높이 평가해 관련 지시를 내렸으며, F-2 비자는 대한민국에 특별한 기여를 한 사람에게 예외적으로 부여될 수.. 2025. 4.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