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랑 국어 식견/청랑 한자 공부41

한자 부수 스토리 : '기운 기(气)', '물 수(水)' 한자 부수의 유래 본래는 수증기나 김이 피어오르는 모양에서 유래한 상형자입니다.기체, 에너지, 숨결, 보이지 않는 힘과 관련된 의미로 확장되었습니다. 气이 포함된 대표 한자 예시氣(기운 기)米(쌀 미) + 气(기운 기)밥을 먹으면 기운이 올라온다한자 부수의 유래 갑골문에서 물이 흐르는 모습이 중앙 줄기에 좌우로 튄 물방울을 형상화한 상형자입니다.흐름, 유동성, 생명력 등의 상징으로 물, 액체, 흐름, 세척, 자연현상 관련 글자에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水이 포함된 대표 한자 예시河(물 하)氵(물 수) + 可(옳을 가)물이 바르게 흘러가는 곳청랑이 추천하는 다른 한자를 알고 싶다면 클릭하세요! 2025. 4. 23.
한자 부수 스토리 : '터럭 모(毛)', '성 씨(氏) 한자의 부수 유래갑골문에서 가늘고 흩어진 털이 난 모양에서 유래한 상형자입니다.깃털은 가늘고 촘촘함이란 개념까지 확장 되어 동물의 털, 가는 섬유와 관련된 의미로 쓰이고 있습니다. 毛이 포함된 대표 한자 예시毯(담요 담)毛(터럭 모) + 炎(불꽃 염)불처럼 따뜻한 털이다 한자 부수의 유래 갑골문에서 가계의 기호나 깃발에서 유래한 것으로 원래는 귀족 씨족 단위를 뜻합니다.이후 성(姓)과 연결되어 가문, 혈통, 성씨, 계보와 관련된 글자에 사용되었습니다. 氏이 포함된 대표 한자 예시民(백성 민)氏(성 씨) + 丶씨족 구성원을 의미하는 백성 청랑이 추천하는 다른 한자를 알고 싶다면 클릭하세요! 한자 부수 스토리 : '말 무(毋)', '견줄 비(比)한자 부수의 유래갑골문에서 아이를 안고 젖먹이는 여인의 모습에서.. 2025. 4. 21.
한자 부수 스토리 : '말 무(毋)', '견줄 비(比) 한자 부수의 유래갑골문에서 아이를 안고 젖먹이는 여인의 모습에서 유래하여 입과 가슴이 강조된 모양으로 후에 부정·금지의 뜻도 파생되었습니다. 毋이 포함된 대표 한자 예시母(어머니 모)毋 + 점 두 개 추가젖을 물리는 모양이 어머니 같다한자 부수의 유래 갑골문에서는 사람 두 명이 나란히 앉아 있는 모양을 본떠서 둘을 맞대어 보는 행위를 통해 비교 또는 상호관계, 짝지음의 의미로 확장되었습니다. 比가 포함된 대표 한자 예시皆(다 개)比(견줄 비) + 白(흰 백)비교해서 차이가 없이 하얗다. 청랑이 추천하는 다른 한자를 알고 싶다면 클릭하세요! 한자 부수 스토리 : '살 바른 뼈 알(歹)', '창 수(殳)한자 부수의 유래 갑골문에서 부러진 뼈 또는 죽은 사람의 뼈를 묘사한 형상화했습니다. 사람이 죽은 후 남은.. 2025. 4. 19.
한자 부수 스토리 : '살 바른 뼈 알(歹)', '창 수(殳) 한자 부수의 유래 갑골문에서 부러진 뼈 또는 죽은 사람의 뼈를 묘사한 형상화했습니다. 사람이 죽은 후 남은 것을 상징하여 죽음, 파괴, 해골, 악(惡) 등의 뜻으로 확장되었습니다. 歹이 포함된 대표 한자 예시死(죽을 사)歹(살바른 뼈 알) + 匕(비수 비)뼈가들어날 정도로 말라서 죽음이 가깝다한자 부수의 유래 갑골문에서 막대기 형태의 무기를 형상화한 글자입니다. 손잡이가 있는 몽둥이 또는 창(수병기)를 의미하여 공격, 훈계, 지도 등의 뜻으로 확장되었습니다. 殳이 포함된 대표 한자 예시設(베풀 설)言(말씀 언) + 殳(창 수)말하며 막대기를 세운다하여 설계하다 청랑이 추천하는 다른 한자를 알고 싶다면 클릭하세요! 한자 부수 스토리 : '날 일(日)', '가로 왈(曰)한자 부수의 유래 갑골문에서 태양(해).. 2025. 4. 14.
한자 부수 스토리 : '날 일(日)', '가로 왈(曰) 한자 부수의 유래 갑골문에서 태양(해)의 원형과 그 안의 점(햇빛 또는 중심)을 본뜬 상형자입니다. 즉 해를 뜻하며, 나아가 시간의 단위, 낮, 날, 시간 흐름의 개념으로 확장되었습니다.明(밝을 명)日(날 일) + 月( 달 월) 해와 달이 함께 있으니 밝다.한자 부수의 유래 갑골문에서 입을 벌려 말을 하는 형상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말, 언어, 언급, 표현과 관련된 의미를 담은 한자 부수로 사용됩니다. 昌(창성할 창) 日(날 일) + 曰(가로 왈)하루 종일 말할정도로 번창한다  청랑이 추천하는 다른 한자를 알고 싶다면 클릭하세요! 한자 부수 스토리 : '두인변 척(彳)', '마음 심(心)한자 부수의 유래 갑골문에서 보면 사람이 조심스럽게 두 발로 천천히 옆으로 걷는 모습을 형상화한 상형자입니다.주로 행동.. 2025. 4. 7.
한자 부수 스토리 : '하품 흠(欠)', '그칠 지(止)' 한자 부수의유래 갑골문에서 입을 크게 벌리고 하품하거나 숨을 들이마시는 사람의 모습을 형상화했습니다.하품, 결핍, 갈망, 부족, 숨쉬기, 기지개와 관련된 의미를 가진 한자들에 사용됩니다.欠이 포함된 대표 한자 예시歌(노래 가)哥(소리 가) + 欠(하품 흠)소리를 하품하듯이 한다한자 부수의 유래 갑골문에서 발 모양(足) 또는 걸음을 멈춘 발자국을 본뜬 글자입니다. 멈춤, 금지, 자제, 조절의 의미를 가진 한자에 사용됩니다.止가 포함된 대표 한자 예시正(바를 정)一(하나 일) + 止(그칠 지)한 줄 위에 바르게 멈추니 올바르다 청랑이 추천하는 다른 한자를 알고 싶다면 클릭하세요! 한자 부수 스토리 : '주살 익(弋)', '활 공(弓)한자 부수의 유래 갑골문에서 보면, 사냥용 무기로 화살에 줄을 달아 쏘고 다.. 2025. 4. 6.
한자 부수 스토리 : '달 월(月)', '나무 목(木) 한자 부수의 유래 갑골문에서 보면 초승달의 형태를 본뜬 상형자입니다.달과 관련 있어 시간, 자연과 관련된 한자 부수로 확장되었습니다. 月이 포함된 대표 한자 期(기약할 기)  其(그 기) + 月(달 월)그 달이 뜨면 보자한자 부수의 유래 갑골문에서 나무의 줄기와 뿌리, 가지가 뻗은 모습을 본뜬 상형자를 뜻합니다.나무, 식물, 재료, 뿌리, 목공 관련 한자들을 분류할 때 사용됩니다.木이 포함된 대표 한자 예시林(수풀 림)木 + 木나무가 붙어있는 곳은 숲 청랑이 추천하는 다른 한자를 알고 싶다면 클릭하세요! 한자 부수 스토리 : '돼지머리 계(彐)', '터럭 삼(彡)한자 부수의 유래 갑골문에서 보면 돼지 머리를 위에서 내려다본 모양으로 해석되며, 입·코·주둥이를 표현한 상형자입니다.돼지 머리를 표현한 부수로.. 2025. 4. 5.
한자 부수 스토리 : '말 두(斗)', '근 근(斤)' 한자 부수의 유래 갑골문에서 곡식을 퍼 담는 되(斗)’ 모양을 형상화한 상형자입니다.나중에는 북두칠성(北斗七星)의 ‘斗’로도 사용되며, 하늘의 측량 도구, 기준 등의 상징으로도 발전했습니다.料(헤아릴 료/재료 료)米(쌀 미) + 斗(되 두) 합쳐져 쌀을 되로 재다하여 料(헤아릴 료/재료 료)한자 부수의 유래 갑골문에서 도끼의 날과 손잡이를 본뜬 상형자입니다. 자르거나 나누는 데 쓰이는 도구로 측정, 힘, 노동의 상징으로 발전 후에 중국에서는 무게 단위 ‘근’으로도 사용됩니다.斥(물리칠 척)斤(도끼) + 卜(점 복)이 합쳐져 도끼로 밀쳐낸다 하여 斥(물리칠 척) 청랑이 추천하는 다른 한자를 알고 싶다면 클릭하세요! 한자 부수 스토리 : '끌 인(廴 )', '스물입 공, 두 손 맞들 공(廾)한자 부수의 유래.. 2025. 4. 4.
한자 부수 스토리 : '모 방(方)', '없을 무(无) 한자 부수의 유래 갑골문에서는 방형(四方), 즉 사방을 나타내는 도형 또는 모서리가 있는 물건의 모습을 본뜬 글자입니다. 이후에는 방향, 지역, 방법, 정방형(사각형) 등의 뜻으로 확장되었습니다.放(놓을 방)方(모 방) + 攵(칠 복) 이 합쳐져 방향을 향해 행동한다 하여 放(놓을 방)한자 부수의 유래 갑골문에서 보면 손에 아무것도 들고 있지 않은 모습에서 본뜬 상형자입니다. 無 (없을 무)火(불 화) + 无(없을 무) 가 합쳐져 불도 없을 정도로 아무것도 없다 하여 無(없을 무)청랑이 추천하는 다른 한자를 알고 싶다면 클릭하세요! 한자 부수 스토리 : '창 과(戈)', '지게 호(戶)한자 부수의 유래 갑골문에서 보면 고대 전쟁용 창 또는 도끼 모양의 무기를 형상화한 문자입니다. 창날과 손잡이 부분이 강.. 2025. 4.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