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 끄기의 기술'을 읽고 정리한 내용을 공유합니다.
이 책을 선택한 이유
이것도 저것도 잘하고 싶고 챙기고 싶은 마음에 모든 걸 신경 쓰면 항상 우선순위가 바뀌는 경우가 생기곤 했습니다. 여러 곳에 신경을 쓰다 보니 문제가 발생해도 제대로 해결하지 못하고 지나치거나 회피하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내게 가장 중요한 우선순위는 무엇이고 어떤 부분을 포기해야 할까? 라는 고민에 이 책을 읽게 되었습니다.
책 소개
소위 '인생의 목적' 때문에 고민하는 사람들의 진짜 문제는 '뭘 해야 할지' 모르는 게 아니다. 문제는 그들이 '뭘 포기해야 하는지' 모른다는 것이다.
지옥의 무한궤도
근래 자기 계발서를 보면 공통점이 하나 있다. 긍정과 행복으로 가득 찬 요령과 조언이 가득하다는 것이다. 이런 조언은 개개인이 이미 자신의 결점과 실패로 인식하고 있는 부분을 파고들고 그것에 몰두하게 한다. 즉, 우리에게 ‘부족한 것’에 초점을 맞추게 만들고 있다는 것이다. 긍정적인 마음만을 가지고 계속 ‘돈과 행복’을 상기시키는 것이 반대로 우리는 “돈과 행복이 없다”라고 더 의식하게 만드는 것이다. 진짜 행복한 사람이 거울 앞에 서서 ‘난 행복하다’라고 되뇌는가? 자신만만한 사람 혹은 진짜 부자가 그것을 자랑하거나 증명할 필요를 느낄까? 그들은 실제로 그러므로 스스로 의식하지도 남들이 어떻게 생각하는지도 크게 신경을 쓰지 않는다. 어떤 부족함도 용납하지 못하는 태도, 모든 걸 가져야 한다는 믿음이 인생을 ‘지옥의 무한궤도’에 빠지게 만든다는 것을 명심하자.
역효과 법칙
결과에 크게 신경 쓰지 않을 때 오히려 능력을 발휘한 경험이 있을 것이다. 실제로도 성공에 무심한 사람이 성공하는 경우가 대단히 많다. 신경 끄기가 역방향으로 작용해 발생한 결과이다. 긍정 추구가 부정적이라면, 부정 추구는 긍정을 낳는다. 공포와 불안을 겪고 나면, 용기와 인내를 얻을 수 있다. 체육관에서 고통스럽지만, 그 결과로 건강과 활력을 얻는다. 이처럼 가치 있는 것을 얻으려면 그에 따르는 부정적인 경험이 필수이다. 고통을 피하려 하면 할수록 고통에 지나치게 신경이 쏠리는 법이다.
부정과 비난
사람들이 자신의 문제를 부정하고 다른 사람을 비난하는 이유는 단순하다. 부정하거나 비난하는 일은 쉽고 즐겁지만, 문제를 해결하기는 힘들고 대체로 불쾌하기 때문이다. 비난과 부정이라는 방식을 선택하면 즉각적인 쾌감을 얻는다. 이것은 일시적으로 문제를 회피하는 것과 같고, 이런 회피는 눈앞의 상황에서 기분을 나아지게 해줄 뿐이다. 잠시 고통이 사라질지라도 근본적인 문제의 고통은 내재하고, 결국 문제를 직면했을 때 받게 될 고통은 더욱 커질 것이다.
신경 끄기 기술
우리는 생물학적으로 늘 뭔가에 과도하게 신경 쓰도록 만들어졌기 때문에 자연히 신경을 쓰게 된다. 나이가 들면서 경험이 쌓여 깨닫게 되고 집착하기를 그만두게 된다. 그리고 더 신경 써야 할 대상을 꼼꼼히 선별하게 된다. 신경 끄기는 무심함과는 다르다. 내가 중요하다고 여기는 것을 위해 누군가 뭐라 하는 것을 신경 쓰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에 신경을 쓸 것인가?”이다. 진짜로 중요한 것에 쓰기 위한 신경을 위해. 그렇기에 우리는 인생에서 중요하고 의미 있는 무언가를 찾는 일이 가장 최우선이 돼야 할 것이다. 따라서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자기 생각에 집중해 우선순위를 매길 수 있어야 한다. 즉, 내게 중요한 것과 중요하지 않은 것을 선별할 수 있는가 필요하다는 말이다.
오히려 ‘나는 성공할 거야’와 같은 지나친 긍정이
부족한 부분을 더욱 자극한다는 역설이
반대로 생각해 보지 못 한 제게 큰 충격이었습니다.
긍정은 부정을, 부정은 긍정을 낳는 것처럼
모든 것에는 이면이 있다는 것을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신경 끄기의 시작은 발생한 문제와
부정적인 요소를 마주하는 데 있다고 느꼈습니다.
휴식에 도움이 책을 청랑이 추천합니다. |
'청랑 도서 추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루지 (8) | 2023.05.16 |
---|---|
책 쓰기부터 책 출판까지 (9) | 2023.05.15 |
이나모리 가즈오의 아메바 경영 매뉴얼 (9) | 2023.05.13 |
더 크래시(The Crash) (7) | 2023.05.12 |
1분 전달력 (11) | 2023.05.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