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랑 국어 식견/청랑 고전 공부117 정부의 '조령모개' 의대 정원 동결, 국립 의대 신설 무산? 사자성어 유래와 의미조령모개는 아침에 내린 명령 저녁에 바꾼다는 의미로 정책이나 명령을 자주 바꾸어 일관성이 없고, 사람들을 혼란스럽게 하는 모습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한비자(韓非子) ‘유로(有度)’ 편에 한비자는 법(法)과 명령(令)이 자주 바뀌면 백성들이 갈팡질팡하여 혼란에 빠진다고 비판했습니다. 구체적으로 “법령은 백성의 목숨과 같아서, 아침에 정하고 저녁에 고쳐서는 안 된다(不可朝定而暮改)”라는 취지의 문장이 있습니다. 여기서 "아침에 정하고 저녁에 바꾼다”라는 개념이, 오늘날 우리가 아는 “조령모개”의 사자성어적 표현과 맞닿아 있습니다.이슈에서 살펴보는 의미최근 한국에서 벌어진 의대 정원 증원 논란은 ‘조령모개’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힙니다. 정부는 의사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의대 정원을 늘.. 2025. 3. 22. ‘적반하장’ 서천 무차별 살인 피의자, 신상 정보 공개 부당하다며 소송 사자성어 의미와 유래적반하장의 한자 뜻을 풀면 ‘도둑(賊)이 도리어(反) 몽둥이(杖)를 든다(荷)’입니다. 잘못한 사람이 오히려 큰소리치며 상대방을 비난하거나 따지는 태도를 말합니다. 중국 이 사자성어는 송나라 때의 역사서인 『송사(宋史)』에서 유래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어느 날 도둑이 물건을 훔쳐 달아나다 붙잡히자, 오히려 도둑이 몽둥이를 들고 주인을 위협하며 꾸짖은 것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잘못한 사람이 반성은커녕 오히려 상대를 나무라는 뻔뻔한 모습을 비유적으로 표현할 때 씁니다.이슈에서 살펴보는 의미처음 본 40대 여성을 흉기로 살해한 혐의를 받는 피의자의 신상 정보가 공개됐습니다. 그런데 이 피의자는 신상정보공개 처벌분이 부당하다며 소송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이 씨는 지난 2일 밤 충남 서천군 사.. 2025. 3. 17. 김수현, '망양보뢰'를 깨닫게 하는 고(故) 김새론과 부적절 관계 논란 사자성어의 의미와 유래 ‘양(羊)을 잃고 우리를 고친다.’는 뜻으로, 이미 어떤 일을 실패한 뒤에 뉘우쳐도 아무 소용이 없음을 이르는 말입니다. 이 사자 성어는 중국 전국시대(戰國時代) 초나라(楚)에 장신(莊辛)이라는 대신이 양왕(襄王)에게 간신(奸臣)을 멀리하고, 사치스러운 생활을 그만두고 국사에 전념할 것을 직언하였습니다. 양왕(襄王)은 충신의 말을 멀리하였고, 진나라(晉)의 침공으로 망명하는 처지에 놓였습니다. 그제야 잘못을 깨달은 양왕은 장신을 불러 대책을 물었습니다. 「토끼를 보고 나서 사냥개를 불러도 늦지 않고, 양(羊)이 달아난 뒤에 우리를 고쳐도 늦지 않다.(見兎而顧犬 未爲晚也 亡羊而補牢 未爲遲也)라고 장신이 대답했습니다. 이후 망양보뢰(亡羊補牢)는 「일을 그르친 뒤에는 뉘우쳐도 이미 소.. 2025. 3. 15. 윤석열 대통령 구속 취소 결정, '일구이언'하는 지지자들의 태세 전환 사자성어의 의미와 유래일구이언은 “한 입에서 두 가지 말을 한다.”의미로 한 사람이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또는 반대되는) 말을 하는 모순적 태도, 또는 말을 번복함을 가리킬 때 씁니다. 사자성어의 유래는 관용적인 표현이 굳어져 사용되었다고 합니다.이슈에서 살펴보는 의미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구속 취소를 결정되면서 재판장인 지귀연 판사에게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지 부장판사는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노상원 전 국군정보 사령관, 조지호 경찰청장 등 12·3 비상계엄 관련 피고인들의 사건을 전담하고 있습니다. 일부 윤 대통령 지지자들 사이에선 "이름이 중국 사람", "화교 출신"이라는 음모론이 나왔습니다. 윤 대통령의 구속 취소 여부 결정을 고의로 지연시키고 있다며 "기회주의", "정치 판사"라는 비난.. 2025. 3. 9. 펜디, 한국 명예 매듭장과 전통 매듭 협업, 중국 네티즌 ‘아전인수’ 논란 사자성어의 의미와 유래아전인수 (我田引水)는 뜻을 풀이하면 “내 밭에 물을 끌어온다”라는 뜻입니다. 자기에게만 유리하도록 억지로 해석하거나 조작해서 이익을 취하려는 태도를 비유하는 사자성어입니다.이 사자성어의 유래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고대 중국에서 농사를 지을 때, 공동 용수로에서 자신의 논으로만 물을 끌어와 다른 논들은 물 공급이 제대로 되지 않게 만들었던 이기적인 행위에서 유래했다고 전해집니다.이슈에서 살펴보는 의미이탈리아 명품 브랜드 펜디(FENDI)가 최근 한국 전통 매듭 장인과 협업해 핸드백 제품을 출시했습니다. 이에 중국 네티즌들이 "문화 도용"이라고 주장하며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문제가 된 가방은 지난해 11월 펜디의 '핸드 인 핸드'(지역 장인과 협업 제품) 프로젝트를 통해 출시된 '바.. 2025. 3. 2. 사랑하는 존재를 잃었을 때 그 슬픔을 나타내는 고사성어는? 고사성어의 의미와 유래'단장(斷腸)'은 문자 그대로 '창자가 끊어짐'을 의미하며, 극심한 슬픔이나 비통함을 표현하는 고사성어입니다. 이는 사랑하는 존재를 잃었을 때 느끼는 참담한 고통을 비유적으로 나타냅니다.'단장'의 유래는 동진(東晉) 시대의 환온(桓溫) 장군과 관련이 있습니다. 환온이 촉(蜀) 지방을 정벌하기 위해 군사를 이끌고 양자강의 삼협(三峽)을 지나던 중, 한 부하가 원숭이 새끼를 붙잡아 배에 태웠습니다. 어미 원숭이는 물가에서 배를 따라오며 슬프게 울었고, 배가 멀어지자 벼랑을 타고 필사적으로 쫓아왔습니다. 결국 배가 강기슭에 닿았을 때, 어미 원숭이는 배에 뛰어올랐지만 그 자리에서 죽고 말았습니다. 어미 원숭이의 배를 갈라 보니, 슬픔으로 인해 창자가 끊어져 있었습니다. 이 사실을 알게 된.. 2025. 2. 22. 이전 1 2 3 4 5 ··· 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