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T란 무엇일까?
OTT(Over-the-top media service)는 OTA(Over-the-air) 또는 케이블이나 위성 기반 공급자를 거치지 않고 공개 인터넷을 통해 시청자에게 직접 제공되는 디지털 배포 서비스이다. Top는 TV에 연결되는 셋톱박스를 의미하지만, 넓게는 셋톱박스가 있고 없음을 떠나 인터넷 기반의 동영상 서비스 모두를 포괄하는 의미로 쓰인다.
또한 OTT는 IPTV와 동일하게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을 전송하지만 기존 IPTV는 LG U+, KT, SKB 등 통신망 사업자들이 영상을 구매하고 셋톱박스를 통해 판매하는 방식이었다. 반면 OTT는 셋톱박스와 통신망에 종속되지 않고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영상을 판매한다. 콘텐츠 제작자는 글로벌화된 플랫폼을 통해 보다 다양한 나라에 서비스를 수출할 수 있다.
OTT 플랫폼의 종류
- 넷플릭스 : 전 세계적으로 제공되는 OTT로서 한국에서 많이 이용하고 있으며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음.
- 티빙 : 국내 OTT 업계 TOP 수준의 대용량 트래픽 경험을 통해 멀티미디어 서비스 전문가로서 어디서든 원하는 콘텐츠를 시청하기 위한 다양한 N스크린 기술과 끊김 없고 쾌적한 동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UX, 재생, 스트리밍 등 다양한 기술을 보유하고 있음.
- 웨이브 : 넷플릭스와 경쟁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다크 모드를 지원하며, 프로야구 실시간 중계와 해외 드라마, e스포츠 중계 기능을 보유하고 있고 다양한 콘텐츠와 서비스로 인해 소비자에게 인기를 끌고 있음.
- 쿠팡플레이 : 쿠팡 로켓와우 멤버십으로 하여금 이를 가입한 회원에게 무료로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업으로서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되는 국내 예능부터 영화,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 쿠팡플레이 시리즈까지 다채로운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음.
- 디즈니 플러스 : 디즈니에서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주로 마블, 픽사, 스타워즈 등 청년들에게 인기를 끌 만한 콘텐츠로 그 층을 구성하고 있음.
OTT 플랫폼의 순위
해외로서는 많은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는 기업으로서 순위로는 넷플릭스, Amazon prime, Disney plus, Tencent Video 등이 있으며 국내로서는 티빙, 쿠팡플레이, 웨이브, 왓챠 순으로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음.
OTT 플랫폼과 관련된 기업은??
- 스튜디오드래곤 : 드라마 콘텐츠를 기획 및 제작하여 미디어 플랫폼에 배급하고 VOD, OTT 등을 통한 유통 및 관련 부가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도깨비, 미스터 션사인, 사랑의 불시착 등 화제성 높은 드라마를 선보임.
- 알로이스 : 안드로이드 OTT 셋톱박스 전문 기업으로 축적된 기술 및 판매 채널을 바탕으로 OTT Middleware client solution이 탑재된 제품을 세계시장에 수출 중임.
- 아티스트스튜디오 : 주요 드라마, 예능, 공연 콘텐츠로 이를 기획 및 제작하여 방송국과 미디어 플랫폼, 해외시장에 공급하고 있음. 오징어 게임2의 흥행 기대감으로 실적 개선을 노리고 있음.
- CJ ENM : 방송채널사용사업자로서 현재 tvN, Mnet, OCN 등의 채널을 운영하고 있으며 주요 종속회사로 스튜디오드래곤이 드라마 콘텐츠를 제작 영위하고 있음.
청랑이 추천하는 다른 글을 읽고 싶다면 클릭하세요! |
미국 쿼드데믹, 중국 메타노뮤 바이러스 대확산 : 바이오 기업 관련주는?
세계적으로 고조되는 바이러스 전 세계적으로 바이러스와의 전쟁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인플루엔자(독감), 코로나19 등 다양한 전염병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미국에서는 쿼드데
jwsbook.com
'청랑 투자 식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반도체 클러스터 부동산 전망: 실리콘 밸리·선전·벵갈루루와 비교 분석 (3) | 2025.02.13 |
---|---|
2025년 정책 변화 총정리 : 최저임금 1만원, 택배 주 7일, 고교학점제 시행 등 (2) | 2025.02.10 |
파나마 운하 소유권, 그란란드에 이은 트럼프의 새로운 타겟? - 전략적 가치와 분쟁 가능성 (3) | 2025.02.06 |
미국 쿼드데믹, 중국 메타노뮤 바이러스 대확산 : 바이오 기업 관련주는? (4) | 2025.02.03 |
K조선, 트럼프 정책으로 급등 : 조선업 수혜주 분석 (3) | 2025.01.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