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랑 경제 식견/청랑 경제 공부

블랭핑크 제니픽 '바나나킥', 농심 주가 2천억대 상승은 '밴드왜건' 효과?

by JadeWolveS 2025. 3. 24.

 

농심 바나나킥 '제니효과' 보다

블랙핑크 제니가 미국 토크쇼 ‘제니퍼 허드슨 쇼’에 출연해 농심의 과자 ‘바나나킥’을 가장 좋아한다고 소개했습니다. 제니는 바나나킥, 새우깡, 고래밥을 언급하며 바나나킥의 독특한 맛을 강조했고, 진행자도 긍정적으로 반응했습니다. 이 방송 장면은 유튜브에 업로드되며 전 세계적으로 화제가 됐고, SNS에서도 관련 과자들이 주목받았습니다. 이른바 ‘제니 효과’로 농심의 주가는 4 거래일 연속 상승하며 시가총액은 약 2640억 원 증가했습니다. 농심은 이를 활용해 자사 SNS에 토크쇼 콘셉트의 이미지를 올리며 마케팅에 나섰습니다. 제니가 토스쇼에 바나나킥을 언급하며 이 과자를 찾는 소비자가 늘었습니다. 여기에는 어떤 심리 경제학이 작용하고 있는 것일까요?

미국의 토크쇼 ‘제니퍼 허드슨쇼’에 출연해 농심의 바나나킥을 소개하는 블랙핑크 제니. 유튜브 채널 ‘Jennifer Hudson Show’ 캡처


밴드왜건 효과란?

밴드왜건 효과는 남들이 하면 따라 하는 심리를 의미합니다. ‘Bandwagon’이란 단어는 원래 퍼레이드에서 사람들을 태우는 마차를 의미했습니다. 많은 사람이 마차에 타기 원하면서 다른 사람도 “저기에 타야만 할 것 같아” 하며 따라 타는 모습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이런 심리가 작용한 것은 사람은 본능적으로 집단에 소속되고 싶어 하는 존재이기 때문입니다. 다수가 하는 걸 따라 하면 소외되지 않고 안정감을 느끼기 때문입니다. 또한 정보 부족 시 타인의 판단을 신뢰하기에 많은 사람이 선택했다는 건 그만한 이유가 있다는 의미로 받아들이기도 합니다. 

행동경제학 실험 사례

솔로몬 애쉬(Asch)의 동조 실험 (1951)


사람들에게 “가장 긴 선을 고르라”는 아주 쉬운 문제를 냈습니다.
그런데 주변에 일부러 틀린 답을 말하는 사람들을 배치했습니다.

결과는?
아무리 정답이 명확해도 실험 참가자의 37%가 일부러 틀린 답을 따라갔습니다.


 

청랑이 추천하는 다른 글을 읽고 싶다면 클릭하세요!
 

경제 용어 모음 : GDP - 경제를 움직이는 숫자의 비밀

GDP는 무엇일까?GDP는 한 나라 안에서 일정 기간(예: 1년) 동안 새로 만든 물건과 서비스가 얼마나 되는지를 돈으로 계산해 합쳐 놓은 숫자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에서 만든 자동차, 우리

jwsbook.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