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랑 국어 식견/청랑 한자 공부

한자 부수 스토리 : '작을 소(小)', '절름발이 왕(尢)'

by JadeWolveS 2025. 3. 21.


한자 부수의 유래

 

갑골문에 보면, 작은 물체나 미세한 입자를 표현한 모습에서 유래했다고 추정됩니다.
한 해석에 따르면, 세 개의 점(작은 입자) 또는 팔을 벌린 작은 사람을 형상화한 것이라고 합니다.

尖(뾰족할 첨)

小(작을 소) + 大(큰 대) 이 합쳐저 큰 것 위에 작은 것이 놓인 형상으로 점점 가늘어지는 모양에서 尖(뾰족할 첨)



한자 부수의 유래

 

갑골문에서 보면, 한쪽 다리를 저는 사람을 묘사한 글자로 해석됩니다.
전체적으로 서 있는 사람의 모습이지만, 한쪽 다리가 구부러지거나 삐뚤어진 형태를 강조하여 절름발이를 상징한 것으로 보입니다.

尬(부끄러울 개, 어색할 개)

尢(절름발이 왕) + 介(낄 개) 가 합쳐져 다리를 저는 것처럼 불안정한 상태를 의미하여 尬(부끄러울 개, 어색할 개)

 

청랑이 추천하는 다른 한자를 알고 싶다면 클릭하세요!
 

한자 부수 스토리 : '갓머리 면(宀)', '마디 촌(寸)

한자 부수의 유래 갑골문에서 한 사람 위에 얹힌 지붕이나 덮개를 단순화한 상형자로 보입니다.한글 명칭 “갓머리 면”은, 마치 집이나 지붕 모양을 씌워 놓은 듯한 모습에서 붙은 이름입니다

jwsbook.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