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부수의 유래
갑골문을 보면, 사람이 몸을 구부리고 누워 있는 모습이나 시체를 상징하는 모양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입니다.
일부 해석에서는 ‘사람이 등을 구부린 모습’ 또는 ‘관 속에 있는 시신의 형태’를 본뜬 것이라는 주장도 있습니다.|
이후 신체 일부, 자리, 위치 등으로 의미가 확장되었습니다.
屍(시체 시)
尸(주검 시) + 死(죽을 사)가 죽은 몸이라는 뜻이 확실하게 강조되어서 屍(시체 시)
한자 부수의 유래
갑골문에서는 땅에서 새싹이 올라오는 형상을 본뜬 상형 문자입니다.
식물이 처음 땅을 뚫고 올라오는 모습과 닮아 "새싹, 풀" 등의 의미로 발전했습니다.
일부 해석에서는 ‘한 줄기의 잎이 솟아난 모양’을 표현한 것으로도 설명됩니다.
芔(풀 휘, 풀 무성할 휘)
屮(풀 철) + 屮(풀 철) + 屮(풀 철) 이 합쳐져 屮이 3 개가 겹쳐져 있어, 풀이 풍성하게 자란다 하여 芔(풀 휘, 풀 무성할 휘)
청랑이 추천하는 다른 한자를 알고 싶다면 클릭하세요! |
한자 부수 스토리 : '작을 소(小)', '절름발이 왕(尢)'
한자 부수의 유래 갑골문에 보면, 작은 물체나 미세한 입자를 표현한 모습에서 유래했다고 추정됩니다.한 해석에 따르면, 세 개의 점(작은 입자) 또는 팔을 벌린 작은 사람을 형상화한 것이라고
jwsbook.com
'청랑 국어 식견 > 청랑 한자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자 부수 스토리 : '장인 공(工)', '몸 기, 이미 이, 뱀 사(己) (0) | 2025.03.24 |
---|---|
한자 부수 스토리 : '메 산(山)', '내 천(川)' (2) | 2025.03.23 |
한자 부수 스토리 : '작을 소(小)', '절름발이 왕(尢)' (1) | 2025.03.21 |
한자 부수 스토리 : '갓머리 면(宀)', '마디 촌(寸) (2) | 2025.03.20 |
한자 부수 스토리 : '계집 녀(女)', '아들 자(子) (2) | 2025.03.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