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랑 교육 식견/청랑 교육 이슈93 '알파 수컷' 늑대의 리더십 '알파 수컷'의 대표적인 동물 늑대동물 무리의 리더를 흔히 ‘알파 수컷’이라 한다. 알파 수컷의 대표적인 동물로는 늑대가 있다. ‘늑대’는 동화 속에 다양한 소재로 많이 나온다. 동화 속에 늑대가 많은 이유는 무엇일까? 고대부터 인류와 친숙한 야생동물이 늑대. 늑대는 북극을 중심으로 유라시아, 북아메리카, 중앙아시아, 사막지대 등 다양한 지대에서 살아간다. 늑대 서식지는 산림과 초원지대이기 때문에 유목 생활을 하던 인류와 겹치는 경우가 많았다. 늑대가 두려움의 대상이 된 이유는 인간이나 가축을 잡아먹었기 때문이다. 그렇다 보니 야생동물 중 가장 많은 연구가 이뤄진 것도 늑대이다. 그렇다면 늑대를 통해서 인간은 어떤 도움을 받았는지 역사 속에서 살펴보자.늑대 사냥법 전투에 적용한 칭기즈칸몽골에 태어나 인류.. 2023. 2. 9. 공부의 첫걸음은 이것부터 국어는 배움의 기초 작업시대가 아무리 변해도 부모들의 자식 교육에 대한 열정은 뜨겁다. 특히 요즘 젊은 세대 부모들의 자식 공부 걱정은 태산보다 더 높은 듯하다. 태어나지도 않은 아기를 위한 태아 교육 동화책이 나오고 있으니 말이다. 그런데 아이 교육에 있어서 가장 주안점을 둬야 할 부분은 어떤 정보를 제대로 받아들이도록 하느냐와 또 그것을 어떻게 인식하도록 만드느냐를 꼽고 싶다. 정보 습득과 습득된 정보를 통해 인식의 과정을 가르치는 과목이 국어이다. 어떤 분야에 새롭게 도전할 때 국어의 기본이 탄탄하게 갖춰져 있다면 학습의 진행 속도는 한결 빨라질 것이다.수학의 성공 열쇠도 국어초등학교 때 곧잘 하던 수학을 중학교에 들어가서부터는 점점 어려워하다가 결국 흥미를 잃고 포기까지 하는 학생들을 많이 봐 왔.. 2023. 2. 6. 정월 대보름 전통놀이 '줄다리기' 정월 대보름은 설날만큼 큰 명절조선 시대에는 음력(陰曆) 설날만큼 큰 명절이 정월 대보름(上元)이었다. 해가 바뀌고 음력 1월 15일, 새해 처음 대하는 보름달이라 그 의미가 컸다. 정월 대보름에는 마을마다 질병과 재앙에서 벗어나고 한 해 농사가 잘되길 바라는 동제(洞祭)를 지내거나 쥐불놀이, 지신밟기, 사자놀이 등 많은 놀이를 즐겼다. 그중에서 가장 유명한 놀이가 줄다리기. 대보름 줄다리기는 이 동네 저 동네 마을 전체 주민의 놀이이자 축제로 자리 잡았었고, 세계 유형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점점 잊히고 있는 놀이문화인 줄다리기의 역사와 의미를 알아보자.농경문화 민족 줄다리기 즐겨중국에서는 오(吳)와 초(楚) 두 나라의 싸움에서 줄다리기가 유래된 것으로 보고 있다. 우리나라의 줄다리기는 15세기에 편찬된.. 2023. 2. 5. 간디는 문제 많은 인물이다? '마하트마 간디의 불편한 진실'의 저자 'E.M.S. 남부디리파드'는 간디를 완전무결한 성인이라기보다 문제의 인물로 평가하고 있다. 통념상 한국에서는 간디를 인도의 민족 해방 운동의 지도자로서 영국의 제국주의를 상대로 인도의 비폭력 불복종 운동을 이끈 인물이라 널리 알려져 있다.영국군 징집 독려한 간디간디는 영국에서 법 공부를 마치고 인도로 돌아왔다. 자국의 현실은 비참한 상태였다. 그는 세계 1차 대전이 발발하자 영국 편에 서서 도움을 준다면 인도의 자치정부 수립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했던 것 같다. 그래서 1차 세계 대전 당시 “인도의 모든 촌락마다 20명씩 징병해 영국을 도와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그 결과 전쟁에 참여한 인도인은 사망자가 9만 명에 이르렀다. 수많은 젊은 인도 청년들이 전장에서 목.. 2023. 1. 31. 뛰어난 학생 선별법은 공자처럼<2부> 사람 살피는데 공자도 실수했다중국 춘추시대의 유학자 공자(孔子)에게는 담대 자우(澹臺子羽)와 재여(宰予)라는 제자가 있었다. 이들이 가르침을 받으러 왔을 때 담대 자우는 외모가 너무 형편없어 재주와 덕이 박할 것이라 짐작했고, 재여는 언변이 고상하고 세련되어 높이 평가했다. 그러나 공자는 “용모만 보고 자우한테 실수했고, 말씨만 보았다가 재여한테 실망했다(以容取人乎 失之子羽 以言取人乎 失之宰予)”라고 밝힌 바 있다. 사람 보는데 실수한 공자는 군자가 사람을 쓸 때 구분하는 법을 남겼다. 공자의 인재 구분법을 통해 요즘의 뛰어난 학생을 찾는데 적용해 보자. 급한 약속을 하여 그 신용을 본다군자가 급하게 약속하면 신하들은 그 약속을 중요시하거나 자기 일 처리에 급급한 나머지 약속을 지키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2023. 1. 30. 뛰어난 학생 선별법은 공자처럼<1부> 사람 살피는데 공자도 실수했다중국 춘추시대의 유학자 공자(孔子)에게는 담대 자우(澹臺子羽)와 재여(宰予)라는 제자가 있었다. 이들이 가르침을 받으러 왔을 때 담대 자우는 외모가 너무 형편없어 재주와 덕이 박할 것이라 짐작했고, 재여는 언변이 고상하고 세련되어 높이 평가했다. 그러나 공자는 “용모만 보고 자우한테 실수했고, 말씨만 보았다가 재여한테 실망했다(以容取人乎 失之子羽 以言取人乎 失之宰予)”라고 밝힌 바 있다. 사람 보는데 실수한 공자는 군자가 사람을 쓸 때 구분하는 법을 남겼다. 공자의 인재 구분법을 통해 요즘의 뛰어난 학생을 찾는데 적용해 보자.먼 곳에 심부름시켜 그 충성을 본다먼 곳에 심부름을 보내면 몸이 힘들고 고단하며 자신에게 득 되는 일이 없으니 하기를 꺼리기에 충성심을 확인할 수 있다는.. 2023. 1. 29.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