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랑 세상 식견/청랑 이슈 식견264 남자가 화장하는 이유는? 화장, 더 이상 여성만의 전유물 아니야화장은 여성의 전유물이라는 말도 옛말이 되어가고 있다. 요즘은 남자도 화장에 관심을 가지면서 남성 화장품을 출시하는 회사가 늘어나고 있다. 화장하는 남자는 자기관리 하는 남자라는 인식이 생겨났고 깔끔한 외모를 더욱 빛나게 해주는 역할도 하고 있다. 젊은 세대가 남자 연예인의 화장 방식을 따라 얼굴에 다양한 색조 화장을 하자 기성세대는 이를 탐탁지 않게 여기기도 한다. 그러나 과거에 남자도 화장하는 시대가 있었는데 그 역사를 살펴보자.용모 뛰어난 남자가 여자처럼 화장했던 화랑신라는 '화랑'이라는 제도가 있었다. 화랑은 젊은 청년과 청소년의 수련기관이었다. 화랑의 전신은 '원화 제도'에서 시작되었다. 원화 제도는 신라에서 가장 뛰어난 외모를 가진 여자 둘을 뽑아 그들을 .. 2023. 5. 19. 문화권 금기 음식에 대한 색다른 해석 나라마다 다른 음식 문화 가지고 있어'장사천재 백사장'이란 프로그램은 타국에서 음식을 만들어서 파는 좌충우돌 과정을 보여주는 예능 프로그램이다. 더 본 코리아 대표 백종원은 모로코라는 생소한 나라와 자금 300만 원으로 장사를 시작해야 한다는 점 때문에 시청자의 주목을 받았다. 출연진은 이슬람 문화를 존중하여 할랄 인증받은 재료로 만든 제품을 팔았지만, 야시장 측의 제재로 장사를 시작한 지 1시간 만에 영업을 종료할 수밖에 없었다. 이처럼 나라마다 음식을 대하는 문화가 다르다. 이슬람교는 돼지고기는 먹을 수 없고 힌두교는 소고기를 먹을 수 없다. 종교적 신념에 따른 부분이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경제적인 측면에서 금기시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처럼 두 종교에서 금지하는 음식의 생산량과 상관관계를 찾아보자. .. 2023. 5. 4. 전 세계 국가들은 왜 마약을 두려워 할까? 마약 청정국은 옛말이 된 한국강남의 학원가 근처에서 학생이 무료 음료수를 건네받아 마시고 몸이 이상해서 검사하니 마약 양성 반응이 나왔다. 피자 한 판 가격이면 학생들도 마약을 시킬 수 있게 된 한국은 더 이상 마약 청정국이 아니다. 마약을 호기심으로 접하다 점점 중독 증세를 보이는 젊은 세대들이 늘어나고 있다. 최근 마약 관련 혐의가 급증하고 있는 것도 나라가 경계하고 있다. 마약에 대해 이처럼 엄격한 잣대를 들이미는 것은 과거 마약으로 흔들리는 국가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마약의 무서움을 역사로 알아보자. 아편전쟁 패배로 무너진 청나라중국 청나라는 영국과 무역을 통해 상당한 이익을 챙기고 있었다. 청나라의 홍차(紅茶)는 영국에서 인기를 끌었고 차(茶)를 팔고 받은 막대한 은이 청나라로 유입되었다. 영.. 2023. 5. 2. 약자가 강자에 대항하기 위한 좋은 방법은? 불편한 동맹 해야 하는 한국중국이 군사력을 키우면서 대만을 침공할 수도 있다는 일부 가설과 미국과 잦은 충돌이 발생하고 있다. 인접한 한국은 경계할 수밖에 없다. 한국은 일본의 식민 지배 시절 만행에 그 분노는 여전히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그러나 중국으로 인해 불편하지만, 일본과 동맹으로 나라를 지켜야 하는 신세가 되었다. 과거 원수 관계인 국가들이 필요에 따라서 동맹을 맺었던 사실을 살펴보자. 고구려 남하정책에 나·제 동맹 이뤄져백제는 전라도, 충청도, 경기도 지역을 지배했고 신라는 경상도 일대를 지배하는 국가였다. 고구려의 장수왕(長壽王)이 국내성에서 평양으로 천도(遷都)하면서 고구려와 경계를 두고 있는 백제와 신라는 긴장하게 되었다. 강력한 고구려의 남하 정책으로 백제의 수도 한성이 함락되었다. .. 2023. 5. 1. 영원한 약자는 없다? 소수민족 탄압하는 중국 중국에는 56개가 넘는 소수민족이 살고 있다. 최근 신장지구에 살고 있는 위구르족에 대한 인권 탄압으로 중국은 각국의 입에 오르내리고 있다. 중국은 유구한 역사에 비해 한족이 지배했던 왕조는 많지 않다. 타민족이 한족을 지배했던 경우가 많았고 그들의 탄압에 못 이겨 반란을 일으켜 한족이 세운 왕조들이 나왔었다. 중국은 지금 소수민족을 탄압하면서 과거의 한족이 탄압받던 일을 반복하고 있다. 작은 부족에 불과했던 민족들이 중국을 지배했던 과거 역사를 살펴보자. 청 왕조 중국 통일 후 탄압받은 한족 여진족은 만주 일대에서 생활하던 유목민족이었다. 과거 고조선, 고구려, 발해의 지배 아래 있었으나 고려시대부터는 영향권을 상실하는 바람에 만주 일대는 소수 부족의 치열한 전쟁터가 되었다. 중.. 2023. 4. 30. 자연재해를 정치적으로 이용한 사례는? 정쟁의 명분 되는 자연재해2017년 11월 포항에서 발생한 지진은 한국을 혼란에 빠뜨렸다. 한국은 지진으로부터 안전한 국가라는 인식을 무참히 깨부쉈다. 지진을 경험해 본 적이 없는 세대들에게 포항지진은 큰 경각심을 심어주었다. 포항지진으로 포항에서 수능을 준비하던 학생들은 난처한 상황에 부닥치기도 했다. 이처럼 자연재해로 인해 곤란한 상황에 놓이자, 정부의 대처 방식에 대해서 물고 늘어지며 정쟁으로 몰고 가는 일들이 있었다. 과거에도 자연재해를 명분 삼아 백성과 권력가들을 흔들려고 했던 사건들을 살펴보자. 이성적 접근 방식으로 견제 벗어난 천추태후고려 7대 임금 목종(穆宗)의 어머니인 천추태후(獻哀王后)는 어린 아들을 대신에 12년간 고려를 섭정하였다. 그녀가 고려를 통치하는 동안 불만을 가진 세력들은 .. 2023. 4. 29. 외세 침략으로 피난길에 올랐던 왕은? 외세 탄압에 망명정부 세워 대항한 국가조선은 일본의 식민 지배가 시작되면서 독립을 위해 중국에 망명정부를 세워 일본에 대항했다. 독일에 점령당했던 프랑스도 영국에 망명정부를 세워 훗날을 기약할 수 있었다. 최근에는 티베트가 중국에 강제 합병되자 티베트의 지도자 달라이 라마가 망명정부를 세워 평화적인 시위를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나라가 위태로운 상황에서도 지도자가 포기하지 않는다면 훗날 나라를 되찾을 수 있다는 사실을 과거 피난 행렬에 올랐던 왕들을 통해 살펴보자. 거란군을 피해 일시적으로 후퇴한 고려 현종고려는 개국 초기부터 북방에서 힘을 키워 발해를 멸망시킨 요나라와 국경을 마주하게 되었다. 요나라는 송나라를 공략하기 전에 후방을 안정시키기 위해 고려를 복속시키려 했다. 그러나 같은 민족인 발해를 .. 2023. 4. 27. 약소국이 강대국 사이에서 살아남으려면? 중립 지키기 힘든 상황의 한국한국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에 중립적인 자세를 보였다. 그러나 최근 한국 정부는 미국 정부의 대러시아 정책에 따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민간인을 대량 학살한다면 우크라이나에 무기 지원의 가능성을 시사했다. 세계 패권 다툼을 미국과 유럽이 연합하여 러시아, 중국에 대항하는 모양새가 되었다. 한국은 제3국으로 중립을 지키며 실리를 도모하면 좋겠지만 정치적 판단이 여의찮은 모양새다. 한국 정부와 비슷한 처지에 있었던 과거 사건들을 살펴보자. 명나라 청나라 사이 중립 외교 펼친 광해군조선과 명나라는 임진왜란(壬辰倭亂)으로 많은 국력을 소비하게 되었다. 그 사이 여진족은 누르하치를 중심으로 흩어진 부족을 통합하며 세력을 키워 청나라를 세웠다. 요동반도까지 세력을 넓힌 청나라는 명나.. 2023. 4. 24. 한국이 무기 수출국이 된 비결은? 무기 수입국에서 수출국으로 바뀐 한국전쟁으로 폐허가 되었던 한국은 세계적인 군사 강국으로 우뚝 서게 되었다. 과거 미국에 무기를 수입하던 국가에서 이제는 한국에서 개발한 신무기를 전 세계적으로 수출하는 국가로 바뀌었다. 뛰어난 기술력을 인정받아 다른 나라들은 한국이 개발한 신무기에 관심을 가진다. 한반도의 과거 고대국가에서부터 다양하게 개발된 신무기를 살펴보자. 당나라가 탐낸 신라 쇠뇌 기술나당 연합군이 고구려와 백제를 멸망시킨 후 신라와 당나라는 영토를 나누는데 큰 이견을 보이며 사이가 나빠졌다. 결국 두 나라는 전쟁을 준비하려고 했다. 당나라는 당시 신라의 쇠뇌가 1000보나 날아가는 것을 알고 쇠뇌 기술자 구진천(仇珍川)을 자국으로 데려갔다. 당나라 황제는 구진천에게 쇠뇌를 만들어 보라고 하였.. 2023. 4. 23. 이전 1 ··· 19 20 21 22 23 24 25 ··· 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