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랑 세상 식견295

과거 가장 중요했던 식량은? 국가가 관리하던 쌀 생산한국은 일제 강점기를 벗어나 빠르게 산업화되기 시작했다. 농경을 중시하던 문화에서 산업화가 가속되며 농촌의 젊은 청년들은 도시로 일자리를 찾아서 모이기 시작했다. 최근 양곡법에 관한 정부 이슈가 터지면서 쌀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졌다. 나라에서 생산하는 쌀은 과거 국가가 관리했지만 글로벌 시대로 변화하고 쌀 소비량이 줄어들면서 이제 국가의 책임이 꼭 필요한지 궁금해지는 시대가 되었다. 과거 쌀은 국가에 어떤 의미였는지 역사를 통해 살펴보자.전략적 요충지 한강 차지 위한 삼국의 경쟁고구려, 백제, 신라 세 나라가 한강을 차지하기 위해 치열하게 싸울 때가 있었다. 시대별로 보면 한강을 차지했던 시기가 각국이 최전성기였던 사실을 알 수 있다. 한강이 중요했던 이유는 물자 수송이 편한.. 2023. 4. 12.
정치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는? 시대 변화 따라 달라지는 정치 관심도동서고금을 살펴보면 현대 국가의 면모를 갖추는 과정에서 많은 사건이 있었다. 과거에는 특정 남성들만이 정치에 참여했으나 모든 남성에게 선거권이 부여되었고 훗날 여성들에게도 선거권이 부여되었다. 남녀평등을 외친 지 얼마 되지 않아 이번에는 인종차별에 대한 거센 비판으로 인간의 존엄성을 중요시했다. 모든 인종은 평등하다는 근대 국가의 민주주의 체계가 자리를 잡는다. 과거와 달리 제대로 국가를 관리하는지 감시하는 사람들이 필요해졌고 서민들에게도 정치에 관심을 두고 참여할 것을 종용하고 있다. 과거와 현재의 일반 소시민들의 정치 관심도가 어떠했는지 살펴보자.정치에 관심을 가질 필요 없게 정사 펼친 요임금 고복격양(鼓腹擊壤)이라는 사자성어가 있다. 매우 살기 좋은 시절을 빗대어.. 2023. 4. 10.
대제국 이룬 마케도니아와 로마의 공통점은? 광물자원 취득, 대박 기회로 이어지기도포스코는 전기차 배터리 핵심 광물인 리튬 개발에 뛰어들었다. 아르헨티나의 리튬 염호를 호주기업으로부터 매입했는데 실제 리튬 매장량은 인수 당시 추산한 양보다 6배나 많았고 추산 가치도 35조에 육박했다. 리튬을 이용하여 앞으로 전기차 수요 증가로 포스코의 이익도 대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광물 자원하나를 취득한 것만으로도 기업 가치가 높아지는 시대다. 과거 금과 은이 나오는 광산을 손에 쥐면서 위대한 국가로 성장한 사례를 살펴보자. 대제국의 기반이 된 판가이온 금광동서양을 정복하며 헬레니즘 문명을 열었던 알렉산더 대왕(Alexandros the Great)의 아버지 필리포스 2세(Philippos II)는 그리스 국가들을 억압하던 페르시아가 위축된 틈을 타 트라키.. 2023. 4. 8.
잃어버린 한국 영토는 어디? 과거와 현재 모두 영토 분쟁국인 한국한국의 영토 분쟁하면 독도를 빼놓을 수 없다. 특히 일본은 초등학교 교과서에 "독도는 일본의 고유 영토"라고 명기하며 최근 한국을 자극하기도 했다. 이처럼 각국은 영토분쟁을 통해 총성 없는 싸움을 하고 있다. 자원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영토에 대한 고찰이 이뤄졌고 한국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은 영토 분쟁으로 속앓이 중 이다. 현대뿐만 아니라 과거 조선도 영토 분쟁으로 골치 아팠는데 그 역사를 살펴보자.조선과 청나라의 엇갈린 백두산정계비 해석백두산정계비(白頭山定界碑)는 1712년 백두산에 세운 비석으로 조선과 청의 국경선을 표시한 경계비이다. 비문에는 ‘서쪽의 압록과 동쪽의 토문을 분수령으로 삼는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훗날 러시아와 일본의 제국주의가 노골화되면서 청나라.. 2023. 4. 2.
남미에 흑인이 많은 이유는? 남미에도 많이 사는 흑인기술의 발전으로 하루면 지구 반대편으로 가는 시대이다. 다른 세상을 궁금해하는 사람들은 비행기에 몸을 실어 해외로 나간다. 여러 나라를 여행하다 보면 아프리카 다음으로 남미에서 많은 흑인을 보게 된다. 다양한 인종이 지구상에 살지만, 흑인 하면 떠오르는 곳은 아프리카다. 그러나 남미에도 아프리카 못지않게 많은 흑인이 살고 있는데 그 이유를 살펴보자. 원주민의 대안으로 강제 이송된 흑인16세기부터 유럽은 단맛에 푹 빠지기 시작했다. 카카오에 설탕을 타서 먹는 게 귀족들 사이에서 유행이었고 설탕은 다양한 식재료에도 첨가되어 유럽인들의 입맛을 사로잡았다. 설탕의 수요가 급증하자 포르투갈은 16세기에 브라질을 식민 지배하면서 사탕수수밭을 만들기 시작한다. 포르투갈의 설탕 생산은 성공적이었.. 2023. 3. 24.
과거 노비의 몸값은 얼마였을까? 인간의 가치를 돈으로 매기던 시대인간의 가치를 물건처럼 돈으로 매기던 시대가 있었다. 서양에서는 노예라고 불렸고 조선시대에는 노비라 불렸다. 그들은 외양간에 있는 소나 말보다 못한 삶을 살아야 했다. 신분의 차별을 받던 이들은 유럽에서는 프랑스혁명으로, 조선에서는 동학사상을 통해 모든 인간은 평등하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지금은 모든 인간에게 존엄성과 평등권이 주어졌지만, 노예나 노비들은 이름 없는 하나의 동물에 불과했다. 과거 그들의 가치는 얼마였는지 살펴보자.비극적인 노예 가치남미에 살던 원주민들은 서양인들에게 옮은 천연두로 인해 많은 목숨을 잃었다. 유럽 국가들은 부족한 노동력을 아프리카의 흑인 노예로 대체하기 시작했다. 자메이카 섬에 운반된 흑인 노예만 66만 2,400명에 이르렀는데 흑인 노예를 .. 2023. 3. 22.
기생들은 왜 사회적 비난을 받았는가? 놀라울 정도로 수입이 많았던 기생요즘 학생들에게 꿈을 물으면 유튜버나 연예인이 되고 싶다고 말한다. 이유는 많은 돈을 벌 수 있고 사회적 지위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힘들게 공부하는 것보다 많은 돈을 벌 수 있고 유명세까지 따르다 보니 변화된 시대 흐름에 따른 현상이다. 그렇다면 앞서 이야기한 연예인의 원조 격인 기생들은 수입이 얼마였을까? 일제 강점기 기생들의 수입은 놀라울 정도였으며 수입에 따른 과소비가 사회적 비난이 되기도 하였다. 기생들의 수입과 대중들의 지나친 관심과 비난이 현재의 연예인들에게 벌어지고 있는 사회적 문제점과 비교하여 살펴보자.비난도 수입에 비례하다일제 강점기에 악기와 문학을 다룰 줄 아는 기생은 으뜸으로 쳤다. 그렇다 보니 기생들을 전문적으로 가르치는 학교까지 있었다. 4년간.. 2023. 3. 17.
나라마다 운전석 방향이 다른 이유는? 운전석 위치엔 역사가 숨어있어세계 여행을 하다 보면 익숙하지만, 낯선 장면을 목격할 때가 있다. 대표적으로 운전석의 위치인데 한국은 운전석이 왼쪽이지만 영국, 일본 같은 나라는 운전석이 오른쪽에 있다. 나라마다 운전석의 위치가 다른 이유는 무엇일까? 어떤 사람들은 문화적 차이라는 말도 있지만 살펴보면 재밌는 역사가 숨어있다. 자동차 운전석의 위치에 담겨있는 역사를 살펴보자.마부의 영향 받은 우측 운전석자동차의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면 마차와의 상관관계를 떼어놓을 수 없다. 중세 시대의 교통수단은 마차였으나 증기기관의 발전과 함께 자동차로 대체되기 시작했다. 자동차 우측에 만들어진 이유도 마차를 모는 마부의 위치와 연관이 깊다. 마부는 말을 몰면서 오른손으로 채찍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자연스럽게 마차의.. 2023. 3. 14.
대중문화 스타의 시작은 누구? '기생' 한국 가요의 시작을 알리다한국의 대중가요와 트로트에 대해 세계가 주목하고 열광하고 있다. k-pop이라 불리는 한국 가요는 국가적 지원과 미래를 보고 투자한 1세대 뮤지션들의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더 깊숙이 들어가서 민중들의 슬픔을 달래며 함께한 한국의 민요와 가요들은 일제강점기 한국의 스타일을 키워낸 사람들이 있었다. 바로 천한 계층으로 설움을 받기도 했던 기생들이 한국 가요 문화의 실마리가 되어준 것이다. 한국 가요의 시작을 알렸던 기생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일제 강점기 시대의 대중스타 왕수복한국 가요의 서막을 열었던 사람은 왕수복(王壽福)이라는 기생이었다. 그녀는 평양 기생권번의 기생 학교를 나와 레코드 대중가수로 진출하기 위해 준비했다. 콜롬비아사에서 폴리돌 레코드사로 소속을 바.. 2023. 3.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