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랑 식견3612

도로명으로 외세의 기운을 누르다 조선총독부 자리에 박힌 말뚝들1995년 일제의 잔재 청산과 민족의 정기를 바로 세우자는 목적으로 경복궁 안에 세워진 조선총독부를 철거하게 되었다. 조선총독부 건물을 철거하니 바닥에 9,388개 말뚝이 박혀 있었다. 백두대간의 정기가 지나가는 길목에 일본이 박아 넣은 말뚝을 뽑아야 할지 그대로 둬야 할지 논란이 있었다. 결국 지반의 구조적 안전과 비용을 고려해서 말뚝을 그대로 두게 되었다. 일본이 건물의 지반을 다지기 위해 백두산에서 가져온 나무를 박은 것이라고 하지만 일각에서는 정기를 끊으려는 의도가 숨어 있었다는 지적도 있었다. 이렇듯 지반을 다지기 위해 쓰인 말뚝이 다른 의도로 쓰일 수 있다. 한국도 도로명으로 중국과 일본의 기운을 누르려는 의도가 있었다.을지로에 을지문덕 장군이 있다시청역에서부터 동.. 2023. 1. 16.
투자의 심리학 : 내 돈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경제 수업 '투자의 심리학'을 읽고 정리한 내용을 공유합니다.어린 시절에 주입된 정보는 성인이 되어서도 그 사람의 생각과 행동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처음 접하게 되는 정보를 기준으로 그 주변에서 해답을 구하려고 한다.앵커링 현상(Anchoring effect)앵커링 현상은 배가 닻(anchor)을 내리면 닻과 배를 연결한 밧줄의 범위 내에서만 움직일 수 있듯이 처음에 인상적이었던 숫자나 사물이 기준점이 되어 그 후의 판단에 왜곡 혹은 편파적인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말한다.앵커링 현상이 주식 시장에 적용되기도 한다.예시) 5,000원에 거래되던 주식 -> 4,500원으로 떨어짐, 500원 싸다는 생각에 매입 결정.앵커링 현상에 빠지는 이유 - 무지, 불확실성.거짓 정보의 홍수와 동조현상돈이 되는 시장이라면 예외 .. 2023. 1. 15.
조선 유교가 과학을 망치다 조선, 불교 폐단에 유교 중시했지만고려는 무역으로 상공업을 발전시켰다. 고려 말기에 귀족들은 물질의 풍요 속에 사치하기에 급급했고 불교 행사를 치를 때도 나랏돈을 흥청망청 낭비했다. 고려는 불교를 내세워 나라의 정책을 이치에 맞지 않게 운영했고 국고 낭비를 키웠다. 특히 신돈 같은 승려가 국가를 좌지우지하는 일을 막고자 조선은 유교를 정치체제로 삼았다. 그 결과 조선은 유교를 중시하면서 상공업과 무역을 등한시하여 기술 발전이 점점 퇴보하기 시작했다. 그 결과 조선은 서양의 신문물을 받아들이며 발전하기 시작한 일본에 임진왜란을 겪는 치욕을 겪어야 했다. 조선은 기술 발전에 힘쓰는 실학자들의 등장으로 잠깐의 도약을 꿈꾸기도 했으나 세도정치와 흥선대원군의 쇄국정책으로 과학기술 발전이 뒤처지면서 군사력이 막강해.. 2023. 1. 15.
지금 몇 시? 주식 매수 타이밍! 주식을 사면 바로 마이너스2021년 ‘주식 광풍’을 타고 수많은 개미들이 주식시장에 뛰어들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개미들은 주식을 해서 재미를 보지 못했다고 푸념한다. 오히려 자신이 주식을 사기만 하면 왜 주가가 떨어지느냐고 울상을 짓기도 한다. 이는 주식 투자가 그만큼 어려운 거고 관련 공부를 많이 해야 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매수하려는 기업에 대한 조사부터 회사가 돈을 잘 버는지를 점검하는 재무 상황, 주가에 대한 그래프를 분석하는 차트, 누가 사고파는지의 매동 등 파악해야 할 사안이 수두룩하다. 설령 이 모든 것을 알았다고 할지라도 이 정도는 겨우 주식을 매수할 준비가 되었을 뿐이다. 완벽하게 준비운동을 마쳤다고 판단하고 주식 매수를 샀는데도 또 결과는 마이너스. 남들은 주식으로 재미를 봤다며 휘파.. 2023. 1. 15.
천원을 경영하라 '천원을 경영하라'를 읽고 정리한 내용을 공유합니다.고민하는 집요함이 운명과 세상을 바꾼다다이소가 있게 한 원동력은 거창한 계획보다 작은 것 하나하나를 철저하게 지키고 당연한 것을 꾸준히 반복했던 것.열정에는 유효기간이 없다.철저하지 않으면 안 된다작은 것 하나도 소홀하면 결정타가 될 수 있다.바닷가재는 탈피를 제때 하지 않으면 껍질에 갇혀 죽는다 하지만 탈피만 제대로 한다면 수명이 100년 정도 된다.현실에 안주하지 말자.사업이란 자전거와 헬리콥터 타는 일과 같다 앞으로 나가려면 쉬지 않고 페달을 밝거나 프로펠러를 돌려야 한다.멈추었다가는 곧바로 넘어지고 추락할 수 있다.기본에 충실해지자본질을 파악해서 실천하는 것.작은 것부터 지키는 것.다이소 상품개발팀은 천원과 상품을 들고 나가 사람들이 상품이 아닌.. 2023. 1. 14.
시각적 학습법 가미한 교육의 이점 책 외면 영향 문해력 부족해져컴퓨터를 통해서만 인터넷을 접하던 시대에서 휴대용 스마트폰으로 언제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해지면서 세상은 많이 변했다. 젊은 세대들은 큰 영향을 받아 유튜브나 인스타그램으로 세상의 트렌드를 습득하고 있다. 더욱이 영상으로 정보를 쉽게 습득할 수 있어서 독서를 통한 정보 습득은 등한시되고 있다. 결과적으로 궁금한 부분은 영상을 통해 배우려는 경향이 강하고 책을 가까이하지 않다 보니 문해력이 부족해질 수밖에 없다. 책과 미디어 중 어떤 것을 통해 정보를 습득하는 것이 아이들의 학습에 더 도움이 되는지 많은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메타인지 학습법과 마인드셋 같은 교육이 최근 유행하면서 시각적 학습법이 더 널리 쓰이고 있다.비대면 교육이 학습 질 더 높여인간의 뇌는 정보를 저장.. 2023. 1. 14.
뛰어난 인물, 왜 둘째가 많지? 차남 전성시대당 태종 이세민(李世民)은 중국 역사에서 '정관(貞觀)의 치(治)‘로 기릴 정도로 태평성세를 이룬 훌륭한 황제이다. 중국 당(唐)나라 제2대 황제인 이세민은 당 고조 이연(李淵)의 차남이다. 이세민은 어릴 적부터 총명하고 사려가 깊었으며 무술과 병법에 능했고 동시에 결단력과 포용력까지 갖추었다. 수(隋) 왕조를 무너뜨리고 당나라를 세우는 데 공이 컸다. 장자가 아니라는 이유로 권력 싸움에 휩싸이지만 '현무문(玄武門)의 정변'의 일로 당 고조로부터 황위를 이어받게 되었다. 중국 역사상 존경받는 한족의 왕 당 태종이 등극하게 된 것이다. 역사에 큰 업적을 남긴 인물 중에서 차남이 많다. 100년 전 오스트리아 정신과 의사 아들러는 출생순위가 성격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발견했다. 차남의.. 2023. 1. 14.
자녀 교육은 맹자 어머니처럼 맹모삼천지교(孟母三遷之敎)맹자가 처음 어머니와 살았던 곳은 공동묘지 근처였다. 맹자는 함께 놀 만한 벗이 없는 데다 자주 장례를 치르는 모습을 본 터라 곡(哭)을 하는 등 장사 지내는 놀이를 했다. 이 광경을 목격한 맹자의 어머니는 안 되겠다 싶어서 이사했는데 하필 시장 근처였다. 그러자 이번에는 맹자가 시장에서 물건을 사고파는 장사꾼들의 흉내를 내면서 놀았다. 어머니는 이곳도 아니다 싶어 이번에는 글방 근처로 이사를 하였다. 그랬더니 맹자가 제사 때 쓰는 기구를 늘어놓고 절하는 법이며 나아가고 물러나는 법 등 예법에 관한 놀이를 하는 것이었다. 어머니는 이곳이야말로 아들과 함께 살 만하다고 판단, 마침내 그곳에 머물러 살았다고 한다. 아들 교육을 위해 3번이나 이사한 이러한 어머니의 노력으로 맹자는 유.. 2023. 1. 13.
'찐' 팀장의 슬기로운 회사생활 '찐 팀장의 슬기로운 회사생활'을 읽고 정리한 내용을 공유합니다.좋은 인성1. 진정성2. 겸손3. 이타심(본인 일만 잘한다고 절대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없다)4. 성실함업무역량1. 논리적 사고2. 외국어 능력(90% 이상이 비즈니스 영어)3. 협업보고의 요령3가지로 요약해서 발표하거나 보고해라(상대방의 이해력과 집중도를 높일 수 있다)이야기할 때 결론부터 말하는 게 좋다(시간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보고하기 위해서는 간단명료하게 전달하는 게 중요하다)아부와 배려의 차이아부 : 윗사람에게만 잘하는 것배려 : 모든 사람에게 잘하는 것일요일 오후 3분만 일하면 월요일, 한주가 수월해진다- 일찍 출근 못하더라도 늦게 출근하지는 말자(태도)- 인사를 잘하자- 어떤 일을 하는 게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 일을.. 2023. 1.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