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랑 속담 풀이

기행 일삼던 미국인 유튜버, 지나가던 행인에게 응징 당하다

by JadeWolveS 2024. 10. 28.
반응형

 

속담의 유래

"되로 주고 말로 받는다"는 속담은 원래 '되'와 '말'이라는 두 가지 한국 전통의 부피 단위에서 유래했습니다. '되'는 상대적으로 작은 단위이고, '말'은 훨씬 큰 단위로, 대략 10배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이 속담은 작은 손해나 행동이 예상치 못하게 큰 결과로 돌아올 때 쓰이곤 합니다. 본래부터 자신이 행한 일 이상의 결과를 맞닥뜨리는 상황을 빗대어 사람들이 사용해 왔습니다.

속담의 의미

이 속담은 작은 행동이나 악행이 훨씬 큰 벌이나 보복으로 돌아온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사소한 잘못을 저질렀더라도 결국 그에 대한 대가는 크고 무겁게 치러질 수 있음을 경고하는 말로, 특히 상대방에게 해를 끼쳤을 때에는 그 대가가 생각보다 훨씬 크고 무거울 수 있음을 강조합니다. 따라서 이 속담은 타인에게 불필요한 악행을 삼가고 항상 자신의 행동을 신중하게 돌아보라는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속담의 사례

최근 미국인 유튜버 조니 소말리가 한국에서 여러 차례 물의를 일으키며 문제가 된 일이 있었습니다. 그는 편의점에서 난동을 부리고, 평화의 소녀상에 입을 맞추는 등 다양한 기행을 방송으로 내보냈습니다. 그러던 중, 조니 소말리가 서울 거리에서 라이브 방송을 하던 중 한 행인에게 폭행당하는 일이 발생했습니다. 영상에서 유튜버를 폭행한 남성의 신원과 폭행 동기는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영상이 확산되자 "속이 뻥 뚫리는 정의의 일격" 등의 반응과 어떤 이유에서든 폭행은 안 된다는 반응도 다수 제기됐습니다. 이 사건은 그의 행동이 결국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되로 주고 말로 받는다'는 속담이 떠오르는 사례입니다.

 

 

오늘의 속담을 적용할 만한 사례가 있다면 댓글로 남겨보세요!

 

다른 속담 풀이를 알고 싶다면 클릭하세요!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