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하는 것이 있다면 끝까지 버텨라'를 읽고 정리한 내용을 소개합니다.
끈기와 인내는 성공에 도달하기 위한 필수 조건이다.
책을 읽고 싶게 만든 목차
3장 태도가 성공의 반이다
책 소개
꺾이지 않고 버틸 수 있는 힘, 끈기
인내심은 목표와 꿈을 향해 꾸준히 나아갈 수 있는 능력, 다시 말해 ‘버틸 수 있는 능력’을 준다. <패스트 컴퍼니> 창업자는 열정적으로 자신의 아이디어를 믿었고 포기하지 않았다. 말 그대로 마지막 한 푼까지 떨어져서 더 이상 아무 선택권도 남지 않았던 그날, 그는 잡지 창간으로 이어지는 기회를 잡았고 결국에는 출판 대기업에 엄청난 금액으로 잡지를 매각할 수 있었다. 난관을 헤치고 참을성 있게 계속 노력한다고 해서 꼭 엄청난 보상을 거두게 된다는 뜻은 아니다. 다만 개인적으로 어떤 꿈을 가졌든 그것을 이룰 확률은 분명히 높아진다.
끝까지 포기하지 않는 사람
기본적으로 인내심 없이는 사랑할 수 없다. 핑크빛 감정이 희미해지고 개성을 가진 내가 다른 개성을 가진 인간과 마주 보고 함께 삶을 살아가려고 하면 그때 바로 진짜 실력이 나타난다. 현명한 인내심 말이다. 사랑에 있어 인내심의 매력적인 점은 우리가 서로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일 때 실제로 변화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인내심은 관계를 오래 지속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인다. 인내심은 사랑이 넘치고 성장할 수 있게 서로 사이의 표면을 부드럽게 만들어 사랑을 견고하게 만드는 사랑의 회반죽이다.
어떤 것은 기다릴 가치가 있다
인간의 정신은 원하는 것을 향해 노력할 때 참된 만족감을 느낀다. 원하는 것에 대한 기다림이 그것을 얻었을 때의 기쁨에 한몫하는 것이다. 효모가 제 역할을 한 후 갓 구운 빵 맛을 떠올려봐라. 이 기다림이 우리의 식욕을 돋운다. 기다림이 욕구를 즉각 만족시킬 때보다 더 큰 기쁨을 가져다준다는 사실을 안다면 인내심을 실천하기가 훨씬 쉬워진다. 기다림에는 또 다른 이점이 있다. 기다림은 진짜 원하는 것과 진짜 중요한 것을 알 수 있게 해준다. 어떤 것들은 기다릴만한 가치가 있다는 사실을 명심해라. 우리는 기다릴만한 가치가 있는 것을 판단하고 그것을 얻게 됐을 때 진심으로 소중히 여길 수 있다.
원하는 것이 있다면 집중하라
원하는 것을 얻겠다는 결심은 다른 사람들과 능숙하게 일하는 데 필요한 인내심을 준다. 원하는 것이 확고하지 않으면 쉽게 포기하거나 버려 버릴 수 있다. 원하는 것에 전념할 때 우리는 그 상황을 견딜 수 있는 능력을 갖는다. 결국 우리가 원하는 대로 될 것임을 알기 때문이다. 이런 결심은 강력한 힘이 있다. 매우 현실적인 방식으로 욕망의 간절함과 인내의 힘은 우리를 미래로 끌고 간다. 원하는 일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면 원하는 것을 훨씬 더 강하게 불타오르게 하기 위해 좌절의 에너지를 활용할 수 있을지 생각해 보자. 어떤 사람이나 사물이 내가 가는 길을 방해하면 할수록 나는 내가 진정으로 원하는 것에 더 집중할 뿐이다. 이런 결심은 시간을 지나 보내기 위한 속임수 그 이상의 효과가 있다. 실제로 꿈이 현실이 될 확률을 높인다.
책을 보고 얻을 수 있는 것은?
다양한 격언과 인내심을 높이기 위한 방법을 알 수 있습니다.
청랑이 추천하는 다른 책을 알고 싶다면 클릭하세요! |
결국 성공하는 사람들의 원칙(짐 론), 어떤 삶의 태도가 성공을 부를까?
'결국 성공하는 사람들의 원칙'을 읽고 정리한 내용을 소개합니다. 성공하는 사람은 보통 사람들과 반대로 행동한다.이 책을 선택한 이유성공하는 사람들의 삶의 태도는 어떤지 알고 싶어서 이
jwsbook.com
'청랑 국어 식견 > 청랑 도서 추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책: 훔치고 싶은 부자들의 비밀 수업 - 부자가 되기위한 방법 (0) | 2025.04.03 |
---|---|
오늘의 책 추천 : 선택과 집중 원리 - 성장의 필수 전략 (3) | 2025.03.19 |
오늘의 책 : 미래의 나를 구하러 갑니다 - 실행력을 높이는 방법 (1) | 2025.03.18 |
오늘의 책 : 몰입, 두 번째 이야기 - 몰입의 법칙 (2) | 2025.03.16 |
오늘의 책 : 검색 엔진 상위 노출을 위한 홈페이지 검색 엔진 최적화(SEO) - 상위 노출 조건 (0) | 2025.03.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