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랑 과학 식견/청랑 이슈 과학

규모 7.7 미얀마 강진, 지진 피해가 컸던 과학적 이유는?

by JadeWolveS 2025. 3. 30.

피해가 컸던 미얀마 지진

지진은 지구 내부에서 갑작스러운 에너지 방출로 인해 땅이 흔들리는 자연 현상입니다. 보통은 지각판(지구 표면을 이루는 단단한 판)들이 서로 부딪히거나 밀리거나 멀어지면서 쌓인 에너지가 한순간에 터질 때 발생합니다. 이번 미얀마 지진은 ‘사가잉 단층’이라는 큰 단층(지각이 갈라진 틈)에서 일어났으며, 이 지역은 여러 개의 지각판이 만나는 위험 지역입니다. 지진의 ‘규모’는 방출된 에너지의 크기를 나타내는데, 이번 지진은 규모 7.7로 매우 강력한 수준이었습니다.

‘진앙’은 지진이 발생한 땅속 지점을 말하고, ‘진원 깊이’는 지진이 일어난 지하의 깊이를 의미하는데, 얕을수록 지표면에 미치는 영향이 큽니다. 이번 지진은 진원 깊이가 10km로 얕았기 때문에 인근뿐만 아니라 멀리 떨어진 지역까지 피해를 입혔습니다. 이런 지진은 건물 붕괴, 다리 파손, 인명 피해 등 심각한 재난을 일으킬 수 있으며, 특히 인프라가 약한 국가일수록 피해가 더 큽니다. 이 지진은 정확히 무엇이며, 미얀마 지진은 왜 이렇게 강했는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진이란?

지구의 바깥쪽은 여러 개의 판(tectonic plate)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이 판들은 천천히 움직이면서 서로 충돌하거나, 밀거나, 갈라지기도 합니다. 지잔은 지각(지표면 아래의 암석층)이 오랫동안 쌓인 힘(응력)을 견디지 못하고 갑자기 균열이 생기거나 미끄러지며 에너지가 방출되는 현상입니다. 이때 생긴 에너지가 지진파(P파, S파 등) 형태로 지구를 타고 퍼지며 땅이 흔들리고 건물이 무너지는 등의 피해가 일어납니다.


미얀마 지진은 왜 강했을까?

1) 단층에서 발생

미얀마에는 ‘사가잉 단층(Sagaing Fault)’이라는 매우 긴 단층이 있습니다. 사가잉 단층은 미얀마를 남북으로 관통하는 길이며 약 1,200km의 활단층으로, 인도판과 버마판이 만나는 지각판 경계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 단층은 주향이동 단층으로, 양쪽 지각이 수평 방향으로 마찰하며 움직이는 구조입니다. 사가잉 단층은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활발한 단층 중 하나로, 과거에도 여러 차례 규모 7 이상의 강진을 일으킨 바 있습니다. 특히 만달레이, 네피도, 양곤 등 미얀마의 주요 도시들이 단층선 인근에 위치해 있어 지진 발생 시 큰 피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최근 미얀마에서 발생한 규모 7.7 강진 역시 이 단층 활동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습니다.

2)얕은 진원의 깊이

이번 지진의 진원 깊이는 약 10km입니다. 진원이 얕은 지진은 지하에서 발생한 에너지가 지표면까지 빠르게 전달되어 흔들림이 매우 강하게 나타납니다. 지진파가 지표면과 가까운 거리에서 퍼지기 때문에 에너지 손실이 적고, 건물과 도로 같은 구조물에 직접적인 충격을 줍니다. 같은 규모의 지진이라도 진원이 깊을 때보다 얕을 때 피해가 훨씬 커집니다. 특히 도시 지역에서 얕은 지진이 발생하면 붕괴, 균열, 인명 피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진원 깊이는 지진 피해의 심각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지진의 크기와 진도

1) 용어 설명

규모(Magnitude) 지진 자체의 에너지 크기. 로그 스케일로, 1 증가하면 약 32배 에너지 커짐 (예: 6.0 → 7.0은 32배)
진도(Intensity) 사람들이 실제로 느끼는 흔들림의 정도. 위치에 따라 다름

2) 진도 계산 공식 (지진계 기준)

(JMA 진도 계측법 기준)

 

  • : 진도 (Intensity)
  • : 진폭 (Amplitude, 땅이 얼마나 많이 흔들렸는지 (cm 또는 mm) )
  • T: 주기 (흔들림이 반복되는 데 걸리는 시간 초단위)
  • : 주파수 (Frequency = 1/T)
  • : 보정 상수 (측정기기, 지역 조건 등에 따라 다름)

진도 1 증가 = 약 10배 진폭 증가

  • 예를 들어:
    • 진도 5일 때 흔들림 세기 = X
    • 진도 6일 때 흔들림 세기 = 약 10X

즉, 진도가 1만 올라도 땅의 흔들림은 약 10배 강해집니다.

청랑이 추천하는 다른 글을 읽고 싶다면 클릭하세요!
 

산청 대형 산불 안동과 하동까지, 봄마다 산불이 잦은 이유는?

3~4월은 산불 조심 기간최근 전국 곳곳에서 대형 산불이 발생하면서 경남 하동군의 수령 900년 된 ‘하동 두양리 은행나무’가 불에 타는 피해를 입었습니다. 이 은행나무는 고려 시대 강민첨 장

jwsbook.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