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부수의 유래
갑골문을 보면 일하는 도구(직각자, 공구) 또는 작업대를 형상화한 글자로 해석됩니다.
직각자(工)는 장인이 일할 때 직각자사용하는 도구이므로, "일하다", "제작하다", "기술", "노동"과 같은 의미로 발전했습니다.
功(공 공, 공로 공)
工(일) + 力(힘 력)이 합쳐져 힘(力)을 들여 일(工)함으로써 이루어진 성과라하여 功(공 공, 공로 공)
한자 부수의 유래
갑골문에서는 몸을 구부린 형상 또는 뱀처럼 휘어진 형태에서 유래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記(기록할 기)
言(말씀 언) + 己(자기 자신)이 합쳐져 말하는 것을 스스로 기록한다고 하여 記(기록할 기)
청랑이 추천하는 다른 한자를 알고 싶다면 클릭하세요! |
한자 부수 스토리 : '메 산(山)', '내 천(川)'
한자 부수의 유래 갑골문을 보면 산봉우리 세 개가 솟아 있는 모양을 본뜬 상형 문자입니다. 자연에서 가장 높은 곳 중 하나인 산을 직관적으로 표현한 글자로, 산의 기운, 지형적 요소와 관련
jwsbook.com
'청랑 국어 식견 > 청랑 한자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자 부수 스토리 : '작을 요(幺)', '엄호 엄, 집 엄(广) (0) | 2025.03.26 |
---|---|
한자 부수 스토리 : '수건 건(巾)', '방패 간(干) (1) | 2025.03.25 |
한자 부수 스토리 : '메 산(山)', '내 천(川)' (2) | 2025.03.23 |
한자 부수 스토리 : '주검 시(尸)', '풀 처(屮) (0) | 2025.03.22 |
한자 부수 스토리 : '작을 소(小)', '절름발이 왕(尢)' (1) | 2025.03.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