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랑 경제 식견/청랑 경제 공부4

경제 용어 모음 : GNP - 우리 국민이 만든 재화와 서비스의 총가치 GNP는 무엇일까?GNP(국민 총생산)는 우리나라 사람들(기업 포함)이 전 세계 어디서든 만들어낸 물건과 서비스가 얼마나 되는지를 돈으로 계산한 숫자입니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 회사가 미국에서 핸드폰을 만들어서 판 돈, 우리나라 의사가 외국에서 진료를 해서 번 돈 등 이런 것도 GNP에 포함됩니다. 우리나라 사람이 벌어들인 돈이기 때문입니다.GNP는 왜 중요할까?GNP가 크면, 우리나라 사람들이 세계 여기저기서 열심히 일해서 돈을 잘 벌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그래서 우리나라 전체 소득이 많아지게 됩니다. 즉 GNP가 크면 국민이 잘 살 가능성이 커집니다. 나라의 경제 정책을 세울 때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예를 들어 외국에 투자할까? 국내를 더 키울까? 같은 결정을 하게 됩니다.GNP 개념 예시.. 2025. 3. 28.
물가 상승으로 라면 사재기 현상은 ‘손실 회피’ 때문? 물가 상승 여파에 라면 값 인상에 예민해지는 소비자올해 들어 라면, 맥주, 아이스크림 등 주요 가공식품 가격이 줄줄이 인상되고 있습니다. 농심과 오뚜기를 비롯해 오비맥주, 하이네켄, 하겐다즈 등도 각각 제품 가격을 2.9~16.9%까지 올렸습니다. 기업들은 원재료, 인건비, 환율 상승 등 누적된 원가 부담을 이유로 들고 있습니다. 물가 상승으로 소비자 10명 중 7명 이상이 가계경제 악화를 체감하고 있으며, 일부는 유통기한이 긴 제품을 미리 대량 구매하는 모습도 보이고 있습니다. 이처럼 물가 상승에 대량구매하려는 소비자 어떤 심리가 작용하는 것일까요?손실 회피(Loss Aversion)란?손실 회피(Loss Aversion)는 사람이 같은 크기의 이익보다 손실을 두 배 이상 더 강하게 느낀다는 심리적 경.. 2025. 3. 25.
블랭핑크 제니픽 '바나나킥', 농심 주가 2천억대 상승은 '밴드왜건' 효과? 농심 바나나킥 '제니효과' 보다블랙핑크 제니가 미국 토크쇼 ‘제니퍼 허드슨 쇼’에 출연해 농심의 과자 ‘바나나킥’을 가장 좋아한다고 소개했습니다. 제니는 바나나킥, 새우깡, 고래밥을 언급하며 바나나킥의 독특한 맛을 강조했고, 진행자도 긍정적으로 반응했습니다. 이 방송 장면은 유튜브에 업로드되며 전 세계적으로 화제가 됐고, SNS에서도 관련 과자들이 주목받았습니다. 이른바 ‘제니 효과’로 농심의 주가는 4 거래일 연속 상승하며 시가총액은 약 2640억 원 증가했습니다. 농심은 이를 활용해 자사 SNS에 토크쇼 콘셉트의 이미지를 올리며 마케팅에 나섰습니다. 제니가 토스쇼에 바나나킥을 언급하며 이 과자를 찾는 소비자가 늘었습니다. 여기에는 어떤 심리 경제학이 작용하고 있는 것일까요?밴드왜건 효과란?밴드왜건 효.. 2025. 3. 24.
경제 용어 모음 : GDP - 경제를 움직이는 숫자의 비밀 GDP는 무엇일까?GDP는 한 나라 안에서 일정 기간(예: 1년) 동안 새로 만든 물건과 서비스가 얼마나 되는지를 돈으로 계산해 합쳐 놓은 숫자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에서 만든 자동차, 우리나라 식당에서 만든 음식,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르치는 학원 수업, 이런 것들이 모두 GDP에 포함됩니다. 왜냐하면 이건 우리나라 안에서 만들어지고, 팔리는 새로운 가치이기 때문입니다.GDP는 왜 중요할까?GDP가 크다는 건 그 나라에서 만들어지는 물건과 서비스가 많다는 뜻입니다. 사람들이 많이 사고팔면 돈도 활발하게 돌게 됩니다. 그래서 GDP가 높을수록 경제가 활발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GDP 개념 예시동네 과자 공장:열심히 과자를 만들어서 1년에 100만 원어치 팔았습니다.동네 빵집 가게:1년에 200만.. 2025. 3.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