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랑 교육 식견/청랑 교육 이슈93

예비 고3 불수능 준비 어떻게 해야 할까? <1부> 2024년 수능 가채점 결과 고3 만점자 없어2024년 수능은 다른 수능과 달리 킬러문항을 없애고 변별력을 높이기 위해 전체적인 난이도를 높여 어려웠다는 평이다. 정시 비중이 커지고 의대 정원이 늘어난다는 소식에 수능 비중이 커지고 있어 내신과 수능까지 준비하는 예비 고3에게는 청천벽력 같은 소식이다. 그러나 위기가 기회이듯 불수능에 대비하며 학습한다면 수시 정시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을 수 있다. 기말고사 이후 수능 5개년 기출문제 풀어야기말고사 직후 예비 고3은 수능 준비를 위해 계획을 세워야 한다. 먼저 수능 5개년 기출문제를 풀어야 한다. 시중에 다양한 수능 대비 문제들이 많지만, 기출문제만 한 것이 없다. 시험 준비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어떤 시험인지 분석하는 게 우선이다. 수능 5개년 문제를.. 2023. 12. 4.
수능 만점자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수능 만점자, 재수생보다 현역 고3이 많아2023년 11월 16일 수능 난이도가 높아지면서 현재 고3 중 만점자가 없는 것으로 관측된다. 역대 수능 만점자들을 살펴보면 재수생보다 현역 고3이 압도적으로 많다. 수능을 준비할 시간이 재수생과 비교하면 턱없이 부족한 고3이지만 의외로 만점자가 재수생보다 많다. 만점자의 공통점을 통해 다가올 불수능에 대비하자. 규칙적인 습관이 가장 중요해수능 만점자는 학습 노하우의 가장 중요한 것을 규칙적인 습관으로 꼽았다. 수면 시간은 밤 11시 30분~12시 사이에 취침하여 아침 6시~ 6시 30분 사이에 일어났다. 수면 시간은 평균 6~7시간을 유지하였고 일과에 학습과 휴식 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했다. 만점자라 하면 새벽 늦은 시간까지 공부할 거라는 예상한다. 하지만 그들.. 2023. 12. 1.
사립초등학교 열풍이 불기 시작한 이유는? 공립초등학교보다 사립초등학교 열기가 뜨거워코로나 이전까지 사립초등학교와 공립초등학교의 경쟁률은 큰 차이가 없었다. 공립초등학교는 코로나 이후 비대면으로 수업을 진행했지만, 사립초등학교는 대면 수업을 할 수 있다면서 적극적인 행보를 보였다. 집에서 비대면 수업받는 초등학생은 맞벌이 부모님이 집에 없는 틈을 타 학습에 집중하지 않았다. 그리하여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가 급격히 하락하였고, 학부모들은 차후 코로나 같은 유행병에도 대면 수업을 진행하는 사립초등학교가 좋을 것이라는 판단을 한다. 사립초등학교 입학 경쟁률이 코로나 이후 7배 정도 상승한 것만 봐도 그 인기를 실감한다. 사립초등학교 열풍이 부는 이유를 알아보자. 학비 차이가 크지만 연간 비용 따지면 비싸지 않아2022년 서울 사립초등학교 38개 학생 .. 2023. 11. 29.
AI 시대 교육에는 어떤 변화가 필요할까? AI 시대를 대비한 교육방식 변화챗GPT 아버지' 샘 올트먼(Sam Altman)의 오픈 AI 해고부터 복귀까지 닷새간 촌극이 벌어졌다. 4차 산업 혁명을 맞아 AI 인공지능의 시대가 도래하면서 미래 인간의 수많은 직업이 위협받고 있다. 최근 한국은행의 발표에 따르면 AI 발전으로 사라질 직업에 의사, 변호사 등 전문직이 큰 위협을 받을 것이라 경고했다. AI 시대를 맞아 이제 자녀 교육방식도 전통적인 방식에서 새로운 방식으로 변화해야 할 시점이다. 단순 암기보다 사고력 높여야AI는 폭넓은 데이터를 받아들여 정보를 분류하고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얻는 방식을 도출하는 것을 말한다. 인간이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식을  AI가 모방하면서 방대한 지식을 쌓아서 활용하는 전문직군이 큰 위협을 받고 있.. 2023. 11. 28.
엘리트 교육의 성공률은? 부모의 재력이 곧 자녀의 능력인 시대2023년 11월 16일 수능이 끝나자, 고사장을 나오는 수험생들은 자신이 푼 시험지를 가채점하기 바빴다. 수능등급은 수시에서 합격 조건이 된다. 정시에서는 내신 경쟁에서 밀린 학생들에게 패자부활의 기회다. 수능 입김이 강해지면서 명문대 학생들의 부모 재력이 이슈가 되었다. 명문대생일수록 부모의 재력에 비례한다는 통계가 나왔다.청년들도 성공 공식에 노력 ×재능+거주지역 ×부모 경제력+열정+경험=능력’이라는 인식이 굳어지고 있다. 부모의 경제력이 성공의 필수요소라 인식하는 모습을 보면서 과거 최고의 엘리트 교육을 받았던 황제들이 성공한 인생을 살았는지 살펴보자. 조선 왕조에서 성공한 왕은 5명, 교육 성공률은 18%조선 왕실은 고려를 무너뜨리고 개국한 태조 이성계(李成.. 2023. 11. 27.
조선시대판 수능, 과거시험은 언제부터 준비했을까? 대학 입시의 최종 관문 수능1994년 이후 대학교 입학을 위한 '대학수학능력시험'이 만들어지게 되었다. 줄여서 '수능'이라 불리는 이 시험은 대학교에 가기 위해서 꼭 치러야 했고 매년 11월 셋째 주 목요일은 국가와 국민도 수능에 맞춰 일과를 시작한다. 수능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성적으로 줄 세우는 문제가 논란이 되자 그 대안으로 다양한 역량을 평가하는 '수시'가 생겼다. 그러나 수시도 공정성에 문제가 제기되면서 다시 수능의 영향력이 커지게 되었다.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12년 공부의 마침표라 불리는 수능 준비 과정에서 많은 학생이 스트레스를 받는다. 과거에도 입시 준비를 하며 스트레스받았던 수험생을 살펴보자. 양반의 과거 시험 준비 시작은 결혼조선의 신분제는 일률적으로 규정하기 어려우나, 크게 양반,.. 2023. 11.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