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랑 코칭 식견223

멋진 사람으로 기억 되려면 인간은 짧은 시간에 상대방 평가인간은 일면식도 없는 사람을 만났을 경우 아군인지 적군인지 구분하기 위해 상대를 경계하며 유심히 살피게 된다. 이런 무수한 과정을 거치며 인간은 짧은 시간 안에 상대방을 평가할 수 있게 되었다. 그렇다 보니 소개팅, 면접 등 다양한 부분에서 첫 만남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그러나 첫 만남이 아무리 좋아도 과정에서 문제가 생긴다면 첫 이미지는 역효과를 내기도 한다. 인간관계에서 멋진 사람으로 기억되려면 3가지를 잘하면 된다. 그 부분을 따라가 보자.첫인상이 나쁘면 200배 더 노력해야미국의 뇌 과학자 폴 왈렌(Paul J. Whalen)의 연구에 의하면 우리는 뇌의 편도체(amygdala)를 통해 0.1초도 안 되는 극히 짧은 순간에 상대방의 호감도와 신뢰도를 평가한다고 한다... 2022. 12. 30.
역관의 선행이 나라를 구하다 선행은 예상치 못한 결과를 가져와어느 치킨집 사장은 어린 두 형제가 배가 고파 가게 앞을 서성거리자 무료로 치킨을 대접했다. 그 이후로도 사장은 형제들이 찾아오면 치킨을 무료로 제공하며 선행을 베풀었다. 두 형제는 사장의 은혜에 감사함을 표하고 싶어 치킨 프랜차이즈 대표에게 편지를 보냈다. 이런 사실이 널리 알려지자 치킨집에는 고객들의 주문이 폭주했다. 이처럼 작은 선행은 예상치 못한 결과를 가져다준다. 개인적인 선행으로 조선을 구한 사례도 있다.유곽 기녀 도와준 역관 홍순언의 선행조선의 역관 출신인 홍순언(洪純彦)은 나라의 명을 받고 명(明)나라로 갔다가 유곽에서 기녀 류국화를 만났다. 홍순언은 단아하고 기품있는 기녀가 슬픔에 가득 차 있는 모습을 보고 연유를 물었다. 그러자 기녀는 아비가 국법으로 일.. 2022. 12. 28.
도덕성보다 능력을 선택한 세종 청탁 비리를 저지른 영의정 황희"세종 12년(1430) 11월 기록에는 제주감목관 태석균이 감목을 잘못하여 국마 1,000여 필이 죽었다. 처벌을 받게 된 태석균은 좌의정 oo에게 구명운동을 펼친 끝에, 좌의정 oo은 죄를 처결하기도 전에 태석균의 고신(告身)에 서명토록 압력을 넣고 형량도 솜방망이 수준인 장 1백 대로 마무리 지었다.", "정권을 잡은 여러 해 동안에 매관매직하고 형옥을 팔아 뇌물을 받았으나..." 세종실록 일부를 발췌한 내용이다. 위에 언급된 세종실록의 ‘좌의정 oo’는 명재상 황희이다. 청렴결백한 군신의 상징 '황희'가 이처럼 청탁 비리를 저질렀다니. 세종은 그러나 황희를 버릴 생각이 전혀 없었다. 황희의 숨은 역량을 세종은 꿰뚫고 있었기 때문이다. 황희는 세종이 추진하는 정책을 탁.. 2022. 12. 28.
복장이 명장을 이긴다 용장·지장·덕장, 복장엔 못 이겨동서고금을 살펴보면 모든 것을 완벽하게 갖춘 장군을 적으로 둔다면 전쟁에서 승리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손자병법에 따르면 용장(勇將·용감한 장수)은 지장(智將·지혜로운 장수)을 이기지 못하고, 지장은 덕장(德將·덕이 있는 장수)을 이기지 못하며, 덕장은 복장(福將·복이 많은 장수)을 이기지 못한다고 되어 있다. 아무리 뛰어난 장군일지라도 운이 따르지 않는다면 승리하기 어렵다는 뜻이다. 미국의 남북 전쟁 때 여러 면에서 탁월한 면모를 보였던 남군 장군 로버트 에드워드 리(Robert Edward Lee)가 알코올 의존증이 있던 북군 장군 율리시스 심슨 그랜트(Ulysses Simpson Grant)에 지고 말았다. 능력이 뛰어났음에도 진 이유가 뭐였을까?로버트 리 장군, 병사.. 2022. 12. 25.
노비가 병조참판이 되다 조선의 신분 제도를 뛰어넘어조선의 신분은 양인, 중인, 상민, 천민 등 4개로 나뉘어 있었다. 특히 천민 계급은 법적으로 관직에 오를 수 없었다. 그러나 천민의 신분을 뛰어넘어 종3품의 관직까지 올랐던 인물이 있었다. 바로 조선의 위대한 과학자 장영실이다. 그런 장영실보다 더 높은 관직에 올랐던 인물이 있었다. 그 이름은 반석평(潘碩枰)이다. 반석평의 최고 관직은 종2품인 형조참판. 형조참판은 오늘날 법무부 장관이다. 어떻게 노비에서 벼슬길에 나설 수 있었고 참판까지 올랐을까. 그 과정에 대해 알아보자.편견 없는 주인 만나 신분 상승반석평이 노비 신분일 때 좋은 주인을 만났었다. 주인의 이름이 알려져 있진 않으나 국왕을 보필하는 최고 책임자인 재상이었다. 그는 어린 노비의 총명함을 빨리 알아차렸다. 조선.. 2022. 12. 24.
술을 이용할 줄 알았던 황제 송 태조 조광윤의 술자리 활용법'포도주에 진실이 있음을'이라는 라틴어 속담이 있다. 친구끼리 깊은 우정을 쌓거나 남녀 사이에 진심을 전하게 돕는 조력자 역할을 하는 술. 역사서를 들춰보면 술자리를 통해서 큰일들이 성사된 사례가 적지 않다. 중국 황제 중에서 술자리를 이용해 피 한 방울 흘리지 않고 개국공신을 정리한 왕이 있다. 바로 중국 송나라 태조 조광윤(趙匡胤)이다. 애주가인 그가 술자리를 통해 자신의 고민을 어떻게 해결했는지 알아보자.술에 취해 얼떨결에 황제 된 조광윤가난한 군인의 아들인 조광윤은 21세 때 집을 나와 천하를 떠돌아다니다 곽위(郭威)라는 절도사의 부하가 되었다. 곽위는 950년에 후한(後漢)을 무너뜨리고 후주(後周)의 태조가 되었다. 이때부터 조광윤의 출셋길이 열리기 시작했으며, 근.. 2022. 12.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