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입의 법칙'을 읽고 정리한 내용을 소개합니다.
몰입은 목표에 미치는 것이다.
책을 읽고 싶게 만든 목차
4장 영감몰입 방법 – 꿈을 실현시키는 실천법 – 간단하고 완벽한 영감몰입의 법칙
책 소개
몰입적 사고로 가능한 영감몰입
텔레비전 보는 시간을 줄이고 책 읽는 시간을 늘리는 것이 몰입 훈련의 기초 단계라 할 수 있다. 세상의 위인들이나 천재들은 대개 책벌레였다. 책벌레들은 몰입에 탁월한 능력을 보인다. 독서 습관으로 이미 몰입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이다. 집중과 몰입의 차이는 일차적으로 즐거움의 유무이다. 몰입을 하면 즐거움을 느낀다. 몰입을 하게 되면 쾌감을 느끼기 때문에 자발적으로 계속하게 된다. 창조적인 아이디어나 영감을 얻기 위해 몰입하는 것을 영감 몰입이라고 한다.
‘할 수 있다’는 자신감 성형수술
스스로 부정적인 자아 이미지를 가지고 있으면 아무리 노력해도 소용이 없다. 긍정적 자아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나 자신이 가치가 있고, 사랑받을 자격이 있으며, 성공할 자격이 있다고 스스로 믿어야 한다. 이스라엘의 엄마들은 아이가 말의 뜻도 모를 때부터 “네, 할 수 있어요”라는 말을 입에 달고 산다. 하루에도 몇 번씩 엄마가 먼저 “네, 할 수 있어요”라고 말을 하므로 아이들은 그 뜻을 알지도 못하면서 저절로 따라 하게 되는 것이다. 그렇게 반복된 “네, 할 수 있어요”는 저절로 두뇌에 각인되며, 아이는 ‘할 수 있다’라는 자신감을 자연스럽게 얻는다. 유대인들은 어릴 때 가정에서 성공의 첫 번째 준비 작업인 자신감을 얻는 셈이다.
몰입은 천재들만의 공유물이 아니다
변화의 반대말은 고정이다. 변화 사회에 있어서 자신의 발전을 가로막는 가장 큰 적은 고정관념이다. 우리는 그동안 뇌의 보상체제는 뇌의 칭찬 사탕인 도파민 분비를 통하여 1차적 보상으로 쾌감을 준다는 것을 몰랐다. 완전히 몇 시간 동안이고 미친 듯이 몰입할 수 있는 성취자들의 놀라운 집중력은 뇌가 주는 이러한 보상 때문이다. 몰입은 더 이상 천재들만의 공유물이 아니다. 몰입의 방법을 알고 두뇌 트레이닝을 한다면 누구나 몰입의 고수가 될 수 있다.
간단하고 완벽한 영감몰입의 법칙
꿈은 설계도이다. 설계도만 그려놓고 가만히 앉아 있는데 저절로 건물이 지어질 리는 없다. 꿈이라는 씨앗을 뿌린 뒤에는 반드시 거름도 주고 김도 매며 물을 뿌려야 수확을 거둘 수 있다. 생각한 뒤에는 반드시 행동이 뒤따라야 한다. 실천하지 않으면 이룰 수 있는 것이 이 세상에는 없다. 이것이 우주의 제1법칙인 ‘공짜는 없다’의 법칙이다. 몰입의 법칙은 우주의 제1법칙에 가장 잘 순응하는 법칙이다. 몰입의 법칙에는 비밀이 숨겨져 있다. 몰입 앞에는 항상 ‘즐거운’이라는 수식어가 따라다닌다. 몰입의 키워드는 즐거움이다. 몰입하기 위해서는 일심(一心)을 해야 한다. 일심이란 완전히 하나에 미치는 것을 말한다. 몰입하기 위해서는 앉으나 서나 목표 생각, 자나 깨나 목표만 생각해야 한다.
책을 보고 얻을 수 있는 것은?
몰입하기 위해서는 ‘뼈를 깎는 노력’처럼 고통의 어휘 대신에 ‘꿀맛 같은 몰입’처럼 즐거움의 어휘로 의식을 가득 채워야 한다는 점을 알려줍니다. 미치는 것이 곧 즐기는 것이라는 깨달음도 얻을 수 있습니다.
청랑이 추천하는 다른 책을 알고 싶다면 클릭하세요! |
몰입(황농문), 완전한 몰입이란 무엇인가?
'몰입'을 읽고 정리한 내용을 소개합니다.몰입이란 자연스럽게 흘러가 나도 모르는 사이에 어딘가에 집중하고 있는 상태다.책을 읽고 싶게 만든 목차1장 Work Hard에서 Think Hard로 '생각'을 이동하
jwsbook.com
'청랑 도서 추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책 : 생체시계만 알면 누구나 푹 잘 수 있다 - 삶의 질이 높아지는 방법 (4) | 2025.02.11 |
---|---|
오늘의 책 : K-반도체 벨트 토지를 사라 - 부동산 투자 전략에 필요한 시야 (4) | 2025.02.09 |
오늘의 책 : 초등 집중력 습관 - 내 아이 집중력을 찾는 방법 (6) | 2025.02.08 |
오늘의 책 : 도파민형 인간 - 도파민을 통제하는 방법 (4) | 2025.02.07 |
오늘의 책 : 나는 좀 단순해질 필요가 있다 - 집중력과 간결함의 관계 (4) | 2025.02.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