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요로운 한국 행복지수는 역행하다
핀란드가 8년 연속 세계에서 가장 행복한 나라로 선정됐으며, 덴마크, 아이슬란드, 스웨덴 등 북유럽 국가들이 상위권을 차지했습니다. 옥스퍼드대학교 월빙리서치센터는 갤럽 및 유엔 SDSN과 협력해 147개국을 대상으로 삶의 질을 평가했으며, GDP, 사회적 지원, 건강 기대수명, 자유, 관용, 부패 등을 변수로 고려했습니다. 경제력과 행복 순위가 반드시 일치하지 않았습니다.
예를 들어 전쟁 중인 이스라엘(8위)과 중미 국가 코스타리카(6위), 멕시코(10위)도 높은 순위를 기록했습니다. 반면 한국은 지난해보다 6단계 하락한 58위를 기록했으며, 대만(27위), 일본(55위) 등 아시아 여러 국가보다 낮았습니다. 전문가들은 행복의 핵심 요인으로 신뢰, 사회적 연결, 낙관주의, 관용 등을 꼽으며 단순한 경제적 풍요로는 행복을 보장할 수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자살률도 높은 한국은 어떻게 행복지수를 높여하는지 에피쿠로스 일화를 통해 배워봅시다.
에피쿠로스는 누구인가?
에피쿠로스(기원전 341~270)는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이자 에피쿠로스학파의 창시자로, 인간의 궁극적 목표는 쾌락이라기보다 정신적 평온(ataraxia)과 고통의 부재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과도한 욕망을 자제하고, 자연 현상을 이해함으로써 두려움과 미신에서 벗어나 스스로 행복을 추구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에피쿠로스는 아테네에 ‘더 가든(The Garden)’이라는 학교를 설립하여 소수의 친구들과 함께 단순하고 평화로운 공동체 생활을 실천했습니다. 그의 철학은 단순한 육체적 쾌락이 아니라, 지혜와 우정을 통한 내면의 만족을 강조하며, 현대에도 인간의 내적 평화를 추구하는 중요한 철학적 전통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빵과 물로도 충분한 행복을 찾은 에피쿠로스
에피쿠로스는 사람들이 보통 쾌락을 물질적 풍요나 사치스러운 생활에서 찾지만, 진정한 행복은 단순하고 소박한 삶 속에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를 실천하기 위해, 그는 친구들과 함께 아테네 교외의 작은 정원에서 공동체 생활을 하며 검소한 삶을 살았습니다.
어느 날 한 귀족이 찾아와 에피쿠로스에게 이렇게 말했습니다. "어떻게 당신은 값비싼 음식도 없이 행복할 수 있소?" 이에 에피쿠로스는 웃으며 빵과 물을 가리키며 답했습니다. "이것으로도 충분히 만족할 수 있다면, 왕의 식탁도 부러워할 필요가 없지." 그리고 그는 덧붙였습니다. "사람들은 언제나 더 많은 것을 원하지만, 행복이란 가진 것을 감사히 여기고 만족할 때 오는 법이다." |
이 일화는 행복이 외적인 화려함이나 물질적 풍요에 있는 것이 아니라, 만족을 아는 마음과 함께하는 사람들 속에서 발견될 수 있다는 가르침을 전합니다. 한국인은 소셜 미디어를 통해 비싼 명품 사거나 고급 음식 먹으며 여행 다니는 지인들의 일상을 보며 상대적 빈곤을 느끼며 불행함을 느낍니다. 그러나 에피쿠로스의 행복 관점에서 본다면 이것은 행복일 수가 없습니다.
좋아하는 사람가 따뜻한 차 한 잔, 편안한 대화, 평온한 일상에서 소소한 행복을 찾는 것이 진정한 만족일 것입니다. 행복은 물질적 풍요에 있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현재 가진 것에 얼마나 만족하고 있는지가 중요하다는 것을 말하고 있습니다. 남과 비교하지말고 항상 자신과 비교하며 더 나은 내가 된 것에 만족한다면 현대인의 스트레스 문제도 해결되지 않을까요?
청랑이 추천하는 다른 글을 읽고 싶다면 클릭하세요! |
행복의 기원(서은국), 행복은 어떤 감정인가?
'행복의 기원'을 읽고 정리한 내용을 소개합니다.이 책을 선택한 이유“생존과 번식, 행복은 진화의 산물이다”라는 책 표지를 보고 어떤 관점에서 그렇게 말했는지 궁금하여 읽게 되었습니다.
jwsbook.com
'청랑 코칭 식견 > 청랑 성장 방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본 생활능력 없는 초등학생들, 로마제국 상류층 자녀들과 닮았다? (1) | 2025.03.24 |
---|---|
중국 전기자동차 기술에 테슬라 주가 하락, 과거 비슷한 사례는? (0) | 2025.03.22 |
정준호 인맥 관리로 국회의원 출마 제안, 과거 인맥왕은? (1) | 2025.03.21 |
트럼프 푸틴 전화 회담, 푸틴의 지각으로 심리전이 낳을 결과는? (2) | 2025.03.21 |
유튜버 포기하는 2030, IKEA에서 배우는 레드오션 생존전략 (1) | 2025.03.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