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부수의 유래
본래는 수증기나 김이 피어오르는 모양에서 유래한 상형자입니다.
기체, 에너지, 숨결, 보이지 않는 힘과 관련된 의미로 확장되었습니다.
气이 포함된 대표 한자 예시
氣(기운 기) | 米(쌀 미) + 气(기운 기) | 밥을 먹으면 기운이 올라온다 |
한자 부수의 유래
갑골문에서 물이 흐르는 모습이 중앙 줄기에 좌우로 튄 물방울을 형상화한 상형자입니다.
흐름, 유동성, 생명력 등의 상징으로 물, 액체, 흐름, 세척, 자연현상 관련 글자에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水이 포함된 대표 한자 예시
河(물 하) | 氵(물 수) + 可(옳을 가) | 물이 바르게 흘러가는 곳 |
청랑이 추천하는 다른 한자를 알고 싶다면 클릭하세요! |
'청랑 국어 식견 > 청랑 한자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자 부수 스토리 : '터럭 모(毛)', '성 씨(氏) (2) | 2025.04.21 |
---|---|
한자 부수 스토리 : '말 무(毋)', '견줄 비(比) (0) | 2025.04.19 |
한자 부수 스토리 : '살 바른 뼈 알(歹)', '창 수(殳) (1) | 2025.04.14 |
한자 부수 스토리 : '날 일(日)', '가로 왈(曰) (1) | 2025.04.07 |
한자 부수 스토리 : '하품 흠(欠)', '그칠 지(止)' (1) | 2025.04.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