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부수의 유래
갑골문에서 아이를 안고 젖먹이는 여인의 모습에서 유래하여 입과 가슴이 강조된 모양으로 후에 부정·금지의 뜻도 파생되었습니다.
毋이 포함된 대표 한자 예시
母(어머니 모) | 毋 + 점 두 개 추가 | 젖을 물리는 모양이 어머니 같다 |
한자 부수의 유래
갑골문에서는 사람 두 명이 나란히 앉아 있는 모양을 본떠서 둘을 맞대어 보는 행위를 통해 비교 또는 상호관계, 짝지음의 의미로 확장되었습니다.
比가 포함된 대표 한자 예시
皆(다 개) | 比(견줄 비) + 白(흰 백) | 비교해서 차이가 없이 하얗다. |
청랑이 추천하는 다른 한자를 알고 싶다면 클릭하세요! |
한자 부수 스토리 : '살 바른 뼈 알(歹)', '창 수(殳)
한자 부수의 유래 갑골문에서 부러진 뼈 또는 죽은 사람의 뼈를 묘사한 형상화했습니다. 사람이 죽은 후 남은 것을 상징하여 죽음, 파괴, 해골, 악(惡) 등의 뜻으로 확장되었습니다. 歹이 포함된
jwsbook.com
'청랑 국어 식견 > 청랑 한자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자 부수 스토리 : '기운 기(气)', '물 수(水)' (0) | 2025.04.23 |
---|---|
한자 부수 스토리 : '터럭 모(毛)', '성 씨(氏) (2) | 2025.04.21 |
한자 부수 스토리 : '살 바른 뼈 알(歹)', '창 수(殳) (1) | 2025.04.14 |
한자 부수 스토리 : '날 일(日)', '가로 왈(曰) (1) | 2025.04.07 |
한자 부수 스토리 : '하품 흠(欠)', '그칠 지(止)' (1) | 2025.04.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