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의 부수 유래
갑골문에서 가늘고 흩어진 털이 난 모양에서 유래한 상형자입니다.
깃털은 가늘고 촘촘함이란 개념까지 확장 되어 동물의 털, 가는 섬유와 관련된 의미로 쓰이고 있습니다.
毛이 포함된 대표 한자 예시
毯(담요 담) | 毛(터럭 모) + 炎(불꽃 염) | 불처럼 따뜻한 털이다 |
한자 부수의 유래
갑골문에서 가계의 기호나 깃발에서 유래한 것으로 원래는 귀족 씨족 단위를 뜻합니다.
이후 성(姓)과 연결되어 가문, 혈통, 성씨, 계보와 관련된 글자에 사용되었습니다.
氏이 포함된 대표 한자 예시
民(백성 민) | 氏(성 씨) + 丶 | 씨족 구성원을 의미하는 백성 |
청랑이 추천하는 다른 한자를 알고 싶다면 클릭하세요! |
한자 부수 스토리 : '말 무(毋)', '견줄 비(比)
한자 부수의 유래갑골문에서 아이를 안고 젖먹이는 여인의 모습에서 유래하여 입과 가슴이 강조된 모양으로 후에 부정·금지의 뜻도 파생되었습니다. 毋이 포함된 대표 한자 예시母(어머니 모)
jwsbook.com
'청랑 국어 식견 > 청랑 한자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자 부수 스토리 : '기운 기(气)', '물 수(水)' (0) | 2025.04.23 |
---|---|
한자 부수 스토리 : '말 무(毋)', '견줄 비(比) (0) | 2025.04.19 |
한자 부수 스토리 : '살 바른 뼈 알(歹)', '창 수(殳) (1) | 2025.04.14 |
한자 부수 스토리 : '날 일(日)', '가로 왈(曰) (1) | 2025.04.07 |
한자 부수 스토리 : '하품 흠(欠)', '그칠 지(止)' (1) | 2025.04.06 |
댓글